대왕릉(익산 쌍릉)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대왕릉(익산 쌍릉)
Large Royal Tomb (Twin Tombs, Iksan)
익산 쌍릉,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대왕릉(익산 쌍릉)
영문명칭 Large Royal Tomb (Twin Tombs, Iksan)
한자 大王陵(益山 雙陵)
주소 전라북도 익산시 석왕동 6-13
지정번호 사적 제87호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왕실무덤/고대
시대 백제
수량/면적 55,534㎡
웹사이트 익산 쌍릉,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무덤 2기 가운데 북쪽 봉분이 큰 것은 대왕릉이라고 불렸다. 무덤방은 화강암을 매끈하게 다듬어서 만든 백제 후기 굴식돌방이다.

둥그런 봉분은 지름이 25m 정도이며, 높이가 3.8m이다. 무덤방은 길이가 4.0m, 너비가 1.75m, 높이가 2.25m이다. 백제왕릉이라고 하는 부여 능산리 굴식돌방 무덤과 같은 모양인데, 길이가 3.26m로 능산리에서 가장 큰 동하총보다도 크다. 남면 중앙에 널길*이 있는데 널문*으로 닫혀있었다. 무덤방 바닥 한가운데에 길이가 2.71m, 너비가 0.85m, 높이가 0.25m인 관대*가 만들어져 있다. 2017년 조사에서 판축 기법으로 봉분을 쌓은 것을 확인했는데, 백제 고분 가운데 첫 사례였다. 대왕릉은 무덤방의 모양이나 크기, 인골 분석을 통해 백제 30대 무왕의 무덤일 가능성이 크다고 추정한다.


  • 널길(羨道) : 고분의 입구에서 시신을 안치한 방까지 이르는 길
  • 널문(羨門) : 시신을 안치한 방 입구
  • 관대(棺臺) : 무덤 안에 시신을 넣은 관을 얹어놓던 평상이나 낮은 대(널받침)

영문

Large Royal Tomb (Twin Tombs, Iksan)

This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is presumed to date to the 7th century during the Baekje period (18 BCE-660 CE). It is the larger of the Twin Tombs of Iksan and is presumed to belong to a Baekje king.

The burial mound measures about 25 m in diameter and 3.8 m in height. It was made by creating a frame made of wooden boards and packing it with dirt. The Twin Tombs of Iksan are the first examples of this construction method to be discovered among the ancient tombs of the Baekje kingdom. The burial chamber is located underneath the burial mound and measures 4 m in length, 1.75 m in width, and 2.25 m in height. It was built of smoothly cut granite. At the center of the chamber, a platform for a coffin was installed. The platform measures 2.71 m in length, 0.85 m in width, and 0.25 m in height.

During excavations in 2017, a wooden box with human bones was found in the burial chamber. Analysis of the bones revealed that they belonged to “a male aged 50 or older who died between the years 620 and 659.” These findings raise the possibility that the tomb belonged to King Mu (r. 600-641), the 30th ruler of the Baekje kingdom, who founded a secondary capital in Iksan.

영문 해설 내용

이 굴식돌방무덤은 7세기에 만들어진 백제의 무덤이다. 쌍릉 중 큰 봉분이며, 백제 왕의 무덤인 것으로 추정된다.

봉분은 지름 약 25m, 높이 3.8m이다. 판자로 틀을 만들고 그 안에 흙을 쌓아 다지는 방식으로 만들었는데, 이러한 축조 방식은 백제의 고분 중 쌍릉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봉분 아래의 무덤방은 길이 4m, 너비 1.75m, 높이 2.25m 이다. 매끈하게 다듬은 화강암을 사용해서 만들었다. 무덤방 중앙에는 관을 올려놓기 위한 받침대가 마련되어 있으며, 받침대의 규모는 길이 2.71m, 너비 0.85m, 높이 0.25m이다.

2017년의 발굴조사 때 무덤방에서 인골이 담긴 나무 상자가 발견되었으며, 분석 결과 ‘620~659년 사이에 숨진 50대 이상의 남성’의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에 따라 이 무덤의 주인은 익산에 새로운 도읍을 건설하고자 했던 백제의 제30대 임금 무왕(재위 600-641)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참고자료

  • 백제왕도 핵심유적 익산지역 발굴조사 마스터플랜 수립 보고서, 문화재청, 2020.12. -> 2017년 100년 만에 다시 실시된 쌍릉 발굴조사를 통해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사실들이 밝혀졌다. 대왕릉은 봉분의 크기가 기존에는 30m로 알려져 있었으나, 조사결과 동서 약 25m, 남북 약 28m로 확인되었다. 봉분 높이는 동쪽 기반층을 기준으로 약 380㎝ 내외로 확인되었다. 대왕릉의 봉분 축조에 있어 가장 큰 특징은 당시 건축기술에 이용되던 판축기법을 접목시켜 조성한 점이다. 이는 보고된 횡혈식석실묘 가운데 유일한 것으로서, 소왕릉 역시 동일한 기법으로 봉분을 성토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판축기법은 백제 무왕(재위 600~641년) 때 조성된 미륵사지와 제석사지 등지에서도 확인된 바 있어 시기적인 연관성을 담보할 수 있다. 특징적인 것은 현실 내 관대 상부에 목함이 있었으며, 목함 내부에서는 한 사람분의 인골 102개체가 발견되었다. 카톨릭대학교 의대 응용해부학연구소 팀의 분석결과, 성별은 남성, 나이는 최소 50대 이상의 60~70대 노년층으로 판명되어, 그 주인공이 무왕일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가 발표되었다.
  • 신라서 온 선화공주는 익산 쌍릉에 없었다, 한겨레, 2019.9.19. 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910100.html -> 주목되는 것은 소왕릉이 지난해 발굴된 대왕릉을 그대로 빼어닮은 왕릉급의 얼개임이 확연히 드러났다는 점이다. 소왕릉의 봉분은 지름 12m, 높이 2.7m 정도다. 암갈색 점질토와 적갈색 모래질점토를 번갈아 쌓아올린 판축기법을 썼는데, 대왕릉 판축기법과도 유사하다. 석실은 백제 말기 사비시대 왕릉의 전형적인 얼개인 육각형 단면의 굴식돌방(횡혈식석실)이다. 길이 340㎝, 폭 128㎝, 높이 176㎝로 대왕릉의 석실 규모(길이 400㎝, 폭 175㎝, 높이 225㎝)보다 작으나 측벽 2매, 바닥석 3매, 덮개돌 2매, 후벽 1매, 고임석 1매의 짜임새는 같으며, 석재 가공 또한 대왕릉처럼 정교하다. / 소왕릉은 지난해 발굴한 대왕릉에서 약 180여m 떨어져 있으며, 함께 묶여 쌍릉으로 불리고 있다. 대왕릉과 소왕릉은 향가 <서동요>에 나오는 연애담 설화의 주인공으로 익산에 백제의 왕도를 새롭게 닦으려 했던 무왕과 그의 부인 선화공주가 각각 묻힌 무덤이라고 <고려사> 등에 기록이 전해져 왔다. 실제로 지난해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대왕릉 재발굴 당시 나온 인골이 ‘620~659년 숨진 60대 전후 남성’이란 분석결과를 내놓으며 무덤 주인이 무왕임을 사실상 확증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