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반남 고분군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나주 반남 고분군
Ancient Tombs in Bannam, Naju
나주 반남 고분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나주 반남 고분군
영문명칭 Ancient Tombs in Bannam, Naju
한자 羅州 潘南 古墳群
주소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 대안리 103 등
지정(등록) 종목 사적 제513호
지정(등록)일 2011년 7월 28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고분군
수량/면적 121,425㎡
웹사이트 나주 반남 고분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반남 고분군에는 대형 옹관 고분 수십 기가 분포한다. 대형 옹관 고분이란 지상에 분구(墳丘)를 쌓고 그 안에, 시신을 안치한 커다란 옹(항아리)을 매장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영산강 유역 고대 사회의 독특한 고분 양식이다.

대형 옹관 고분은 3세기부터 6세기까지 약 3세기 동안 영산강 유역에서 크게 유행하였다. 3세기 무렵에는 옹관 절반을 지하에 묻는 반지하식이었으나 4세기 중반부터는 지상식으로 변하였다. 또한 분구가 대형화되어 크기가 40~50미터에 이른다.

대형 옹관 고분은 나주 반남 일대는 물론 영암, 함평, 무안 등 영산강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옹관 고분의 밀집도로 보아 반남 지역이 고대 지배 세력의 중심이었음을 알 수 있다.

대형 옹관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은 영산강 유역 계통의 유물이 주를 이루지만 후기에 출토된 유물에는 백제, 일본의 유물이 섞여 있고 가야의 특징도 일부 나타난다. 당시 사회가 백제, 가야, 일본 등과 활발하게 교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영문

Ancient Tombs in Bannam, Naju

This archaeological site comprises about 40 ancient tombs distributed across Daean-ri, Sinchon-ri, and Deoksan-ri Villages of Bannam-myeon Township in Naju. Most of the tombs are large jar coffin tombs, which were particularly popular between the 3rd and the 6th centuries CE along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Such tombs have also been found in Yeongam, Hampyeong, and Muan, but the dense distribution of such tombs in Bannam suggests that this area was an ancient center of power.

The tombs’ construc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period. In earlier tombs, the jar coffin was partially buried in the ground and then covered with earth to create a mound. However, from the mid-4th century, the earthen mound was built first, and then a hole was dug in the mound to place the jar coffin inside. This required a bigger mound.

The majority of the artifacts found inside these tombs originate from the local area, however there are also artifacts from Japan, the Baekje kingdom (18 BCE-660 CE), and possibly the Gaya confederacy (42-562), showing that the local population actively traded with its neighbors.

영문 해설 내용

반남고분군은 나주 반남면의 대안리, 신촌리, 덕산리 일대에 분포하는 40여 기의 무덤을 말한다. 이곳의 고분 대부분은 3세기부터 6세기까지 영산강 유역에서 크게 유행한 대형 옹관 고분이다. 대형 옹관 고분은 영암, 함평, 무안에서도 발견되었으나, 반남 지역에 대형 옹관 고분이 밀집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지역이 고대 지배 세력의 중심이었음을 알 수 있다.

대형 옹관 고분의 축조 방식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다. 초반에는 옹관 절반을 지하에 묻고 흙을 덮어 분구를 조성하였다. 그러나 4세기 중반부터는 지상에 분구를 쌓은 후 정상부의 흙을 되파고 내부에 옹관을 매장하는 방식으로 조성되었고, 분구가 대형화되었다.

대형 옹관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은 영산강 유역 계통의 유물이 주를 이루지만, 일본, 백제, 가야의 유물도 일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당시 이 일대의 토착 세력이 백제, 가야, 일본 등과 활발하게 교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