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봉황동 유적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해 봉황동 유적
Archaeological Site in Bonghwang-dong, Gimhae
김해 봉황동 유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김해 봉황동 유적
영문명칭 Archaeological Site in Bonghwang-dong, Gimhae
한자 金海 鳳凰洞 遺蹟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봉황동 253번지 외
지정번호 사적 제2호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분류 유적건조물/유물산포지유적산포지/육상유물산포지/선사유물
시대 청동시대
수량/면적 120,609㎡
웹사이트 김해 봉황동 유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봉황동 유적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발굴 조사가 이루어진 회현리 패총*과 금관가야의 대표적인 생활 유적지인 봉황대가 합쳐져 확대 지정된 곳이다. 이곳은 고인돌, 조개무지, 항구 시설, 봉황 토성 등이 발굴되어 청동기 시대부터 가야 시대까지의 복합 유적의 성격을 지닌다. 또한 가야인의 생활상과 더불어 가야 왕권의 존재를 보여 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회현리 패총*은 조개껍데기 등이 쌓여 만들어진 조개무지이다. 이곳에서 발견된 각종 철기 및 골각기**, 토기와 탄화미*** 등은 가야 시대 생활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이곳에서 발견된 중국 화폐 화천(貨泉)은 당시의 국제 교역 상황을 잘 보여 준다.

봉황대는 조선 시대에 김해 부사를 지낸 정현석이 ‘언덕의 모양이 봉황이 날개를 편 모습과 같다’ 하여 대를 쌓고 봉황대라 부른 것에서 유래하였다. 구릉 주변에서는 가야 시대의 다양한 생활 유적 및 유물들이 발견되었으며, 구릉 위에는 황세 장군과 여의낭자가 어린 시절 함께 지냈다고 전해지는 황세 바위 등이 위치하고 있다. 봉황대 서쪽에서는 가야 시대 토성과 대규모 창고형 건물터가 확인되었고 옛 봉황초등학교 남쪽에서는 가야 시대의 배가 발견되어 당시 중국과 일본을 연결하던 가야의 해상 왕국으로서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2003년에 왕궁 추정지 동쪽에서 봉황토성의 일부가 확인되었으며 2015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왕궁 추정지 발굴 조사에서는 4세기의 대형 건물터와 화로 모양 그릇 받침, 원통 모양 토기, 굽다리 접시, 유리구슬, 굽은옥 등 가야 왕릉에서 볼 수 있는 화려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2019년에는 왕궁 추정지 인근에서 대형 적심**** 건물터가 발견되었는데, 약 20m 높이의 왕궁 관련 시설로 추정되어 가야 왕궁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 패총: 해안, 강변 등에 살던 선사 시대인이 버린 조개나 굴 등의 껍데기가 쌓여 무덤처럼 이루어진 유적.
  • 골각기: 석기 시대에, 동물의 뼈, 뿔, 이빨 따위로 만든 도구나 장신구.
  • 탄화미: 유적에서 출토된 곡물의 하나로, 불에 타거나 지층 안에서 자연적으로 탄화되어 남아 있는 쌀.
  • 적심: 마루나 서까래의 뒷목을 보강하기 위해 큰 원목을 눌러 박은 것.

영문

Archaeological Site in Bonghwang-dong, Gimhae

This site is home to dolmens, shell mounds, tombs, dwelling sites, and earthen fortifications dating from the Bronze Age (1500-300 BC) to the Gaya confederacy (42-562 CE) period. It includes the Shell Mound in Hoehyeon-ri, which was the first archeological site ever to be excavated in Korea, and Bonghwangdae Hill, which is the largest archeological site relating to Geumgwan Gaya, a member state of the Gaya confederacy.

Shell mounds consist of clam, oyster, and other shells and waste disposed of by prehistoric people. At the Shell Mound in Hoehyeon-ri, which was first excavated in 1907, a variety of artifacts were found, such as various kinds of ironware, bone tools, and burnt rice, which aid in the understanding of the agricultural practices and life of the Gaya people. In addition, currency from Xin China (9-23 CE) was found here, indicating that there was exchange between China and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during ancient times.

At Bonghwangdae Hill, various archeological sites and artifacts were found, including a site that is presumed to have been a royal palace during the Gaya period. The name Bonghwangdae means “Platform of the Phoenix” as the shape of the hill is said to resemble a phoenix’s wings.

In 2003, part of an earthen fortification was found in the eastern area of the presumed royal palace site. Through excavations beginning in 2015, four large building sites and ornate Gaya artifacts such as brazier-shaped vessel stands, cylinder-shaped pottery, mounted dishes, glass beads, and curved jade beads were discovered. In 2019, the site of a large building that would have stood about 20 m in height was found near the royal palace site, and it is presumed to relate to the royal palace. In addition, traces of a port where vessels could be docked and Gaya-period ships were found, suggesting that the sea once reached as far inland as this site. These findings attest to the Gaya confederacy’s role as a maritime power linking China and Japan.

영문 해설 내용

봉황동 유적은 청동기시대부터 가야시대까지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인돌, 패총, 무덤, 집터, 토성 등이 모여 있는 곳이다. 한국 최초로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던 회현리 패총과 금관가야 최대의 유적지인 봉황대를 포함한다.

패총은 선사시대 사람들이 버린 조개나 굴 등의 껍데기와 생활 쓰레기가 쌓여 만들어진 유적이다. 1907년 발굴조사 결과 회현리 패총에서는 다량의 유물들이 발견되었는데, 특히 각종 철기, 골각기, 불에 탄 쌀은 가야시대의 농경와 생활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이곳에서 발견된 중국 신(新)나라의 화폐는 당시 한반도 남부 지방이 고대 중국의 국가들과 교류했던 사실을 보여준다.

봉황대에서는 가야시대의 왕궁으로 추정되는 터를 비롯하여 다양한 유적과 유물이 발견되었다. 봉황대라는 이름은 언덕의 모양이 봉황이 날개를 편 모습과 같다는 데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2003년에는 왕궁 추정지 동쪽에서 토성의 일부가 확인되었으며, 2015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왕궁 추정지 발굴조사에서는 4세기의 대형 건물터와 화로 모양 그릇 받침, 원통 모양 토기, 굽다리 접시, 유리구슬, 굽은옥 등 가야 왕릉에서 볼 수 있는 화려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2019년에는 왕궁 추정지 인근에서 대형 건물터가 발견되었는데, 약 20m 높이의 왕궁 관련 건물로 추정된다. 또 선박을 댈 수 있는 항구의 흔적과 가야시대의 배가 발견되어 과거 이 인근까지 바닷물이 들어왔음을 짐작해 볼 수 있으며, 당시 중국과 일본을 연결하던 해상왕국 가야의 면모를 볼 수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