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묘련사 현수제승법수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해 묘련사 현수제승법수
Hyeonsu jeseung beopsu (Comprehensive Glossary of Buddhist Concepts by Monk Fazang) of Myoryeonsa Temple, Gimhae
대표명칭 김해 묘련사 현수제승법수
영문명칭 Hyeonsu jeseung beopsu (Comprehensive Glossary of Buddhist Concepts by Monk Fazang) of Myoryeonsa Temple, Gimhae
한자 金海 妙蓮寺 賢首諸乘法數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54호
지정일 2019년 8월 1일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1권 1책
웹사이트 김해 묘련사 현수제승법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현수제승법수(賢首諸乘法數)』는 불교의 법수(法數)*를 차례대로 배열하여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만든 불교 사전이다. 1500년(연산군 6)에 경상도 합천 가야산 봉서사(鳳栖寺)에서 처음 판각되었다.

묘련사『현수제승법수』는 1500년에 경상도 합천 가야산(伽倻山) 봉서사(鳳栖寺)에서 개판(開板)**했다는 간기와 해인사 승려 등곡(燈谷)의 발문(跋文)***이 있어 간행 시기와 장소를 분명히 알 수 있다. 시주자들의 인명이 수록되어 있으며 인쇄와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불교사와 서지학 연구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 법수(法數): 불교의 교의 가운데 어떠한 숫자로 이루어진 것
  • 개판(開板): 출판물을 처음으로 찍어 냄
  • 발문(跋文): 책의 끝에 본문 내용의 대강이나 간행과 관련된 사항 등을 짧게 적은 글

영문

Hyeonsu jeseung beopsu (Comprehensive Glossary of Buddhist Concepts by Monk Fazang) of Myoryeonsa Temple, Gimhae

The Comprehensive Glossary of Buddhist Concepts by Monk Fazang is a Buddhist glossary compiled by the Chinese monk Fazang (643–712) which arranges Buddhist concepts according to their categories to make them easy to find. It was first published in Korea in 1500 at Bongseosa Temple in Hapcheon, Gyeongsangnam-do.

This copy of the Comprehensive Glossary of Buddhist Concepts by Monk Fazang kept at Myoryeonsa Temple is the first edition to be printed in Korea, having printed with woodblocks in 1500 at Bongseosa Temple. It features an afterword on the book’s publication by the monk Deunggok from Haeinsa Temple, which includes a record of when and where it was published and a list of the publication patrons. Furthermore, its printing quality and preservation condition are good, making it a valuable resource in the study of Buddhist history and bibliography.

영문 해설 내용

『현수제승법수』는 법장(643-712)이 편찬한 불교의 법수(法數)를 차례대로 배열하여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만든 불교 사전이다. 1500년에 경상남도 합천 가야산 봉서사에서 처음 판각되었다.

묘련사가 소장한 『현수제승법수』는 1500년에 봉서사에서 간행한 원간본으로, 해인사 승려 등곡이 간행 경위를 기록한 발문이 남아 있다. 간행 시기와 장소, 시주자들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으며, 인쇄와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불교사와 서지학 연구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