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김천 청암사 보광전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암사보광전
청암사 보광전,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대표명칭 청암사보광전
한자 靑巖寺普光殿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지정(등록)일 1994년 4월 16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불전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청암사 보광전,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해설문

국문

청암사 보광전은 조선 숙종 15년(1689)에 장희빈의 무고*로 인해 인현 왕후가 폐위되었을 때 복위** 기도를 하기 위해 지었다고 전해지는 건축물이다. 현재의 건물은 1911년에 화재로 인해 다 타 버린 후 이듬해 다시 지어진 것이다.

이 건물의 규모는 정면 3칸, 옆면 2칸이며 팔작지붕***의 형태를 지녔다. 현존하는 전통 건축 가운데 다포 양식****과 익공 양식*****이 절충되어 있어 조선 시대에서 일제 강점기로의 건축 양식의 변천을 살필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 무고(巫蠱): 무술(巫術)로써 남을 저주함.
  • 복위(復位): 폐위되었던 제왕이나 후비(后妃)가 다시 그 자리에 오름.
  • 팔작지붕(八作지붕): 위 절반은 박공지붕으로 되어 있고 아래 절반은 네모꼴로 된 지붕.
  • 다포 양식(多包樣式): 기둥머리 위와 기둥과 기둥 사이의 공간에 공포를 짜 올리는 건축 양식.
  • 익공 양식(翼工樣式): 기둥 상부에서 기둥머리를 양옆으로 연결하는 부재인 창방과 직교하여 기둥 위 지붕의 무게를 전달해 주는 건축 부재인 보를 받치는 짧은 부재를 이용한 건축 양식.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청암사 보광전은 1689년에 처음 지었다고 한다. 숙종(재위 1674-1720)의 왕비인 인현왕후(1667-1701)가 후궁의 모함으로 폐위되었을 때 복위 기도를 하기 위해 지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전의 건물은 1911년에 화재로 다 타버렸고, 지금의 건물은 이듬해 다시 지은 것이다.

정면 3칸, 옆면 2칸 규모이며 팔작지붕을 얹었다. 조선시대에서 일제강점기로의 건축 양식의 변천을 살필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전각 안에는 관음보살상과 여러 불화가 모셔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