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개운사 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천 개운사 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of Gaeunsa Temple, Gimcheon
김천 개운사 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김천 개운사 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영문명칭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of Gaeunsa Temple, Gimcheon
한자 金泉 開雲寺 地藏菩薩坐像 및 十王像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학사대2길 18 (황금동)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40호
지정일 2003년 4월 17일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보살상
수량/면적 19구
웹사이트 김천 개운사 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개운사 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은 개운사 명부전에 있는 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을 비롯한 총 19구의 불상이다. 조선 숙종 11년(1685)에 조성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나 확실하지는 않다. 이 불상들은 원래 증산면 쌍계사에 봉안(奉安: 받들어 모심)되어 있었다. 일제강점기인 1943년 조선총독부 주관으로 개최된 고미술품 전시회 출품을 위해 반출되었다가, 대한민국 독립 이후 개운사에서 명부전을 새로 지으면서 다시 옮겼다.

불단(佛壇: 부처를 모셔 놓은 단) 가운데에 앉아 있는 지장보살(地藏菩薩)은 저승 세계에서 고통받는 중생을 모두 구원하기 전에는 성불하지 않겠다고 맹세한 보살이다. 지장보살 좌우에는 사람들의 악한 마음을 없애준다는 무독귀왕(無毒鬼王)과, 사후세계를 경험하고 이승에 돌아와 자신이 본 바를 세상에 알린 젊은 스님 모습의 도명존자(道明尊者)가 서 있다. 불단의 양옆에는 저승에서 죽은 자의 죄를 심판하는 10명의 재판관인 시왕(十王)을 비롯해 시왕의 재판을 보조하는 판관, 실무관리인 녹사, 사자 등의 권속들이 대칭으로 놓여 있다.

영문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of Gaeunsa Temple, Gimcheon

These 19 statues enshrined in Myeongbujeon Hall of Gaeunsa Temple depict a Ksitigarbha Bodhisattva triad, the Ten Underworld Kings, and their retinue. It is not known for certain when these statues were made, though it is said that they date to 1685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e statues were originally enshrined in Ssanggyesa Temple in Jeungsan-myeon. In 1943,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the statues were exhibited in downtown Gimcheon as part of a fine art exhibition oversee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After Korea regained independence in 1945, the statues were left where they were until Myeongbujeon Hall of Gaeunsa Temple was newly built to enshrine them.

The Buddhist triad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altar. It consists of Ksitigarbha Bodhisattva, seated in the center, with the Demon King Wudu on the left and a sage monk named Daoming on the right. Ksitigarbha, or the Bodhisattva of Great Vows, took on the responsibility of rescuing unfortunate beings from hell and vowed to postpone Buddhahood until all beings are saved from the world of suffering. On either side of the main altar are the statues of the Ten Underworld Kings, who preside over the judgment of the dead. Pairs of judges, officials, and underworld messengers are positioned perpendicularly at the sides.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김천_개운사_지장보살좌상 Object 김천_개운사_지장보살좌상
김천_개운사_시왕상 Object 김천_개운사_시왕상
김천_개운사_지장보상좌상_및_시왕상 Heritage L37-0440-0000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40호로 지정되어있다.
김천_개운사 Place 김천_개운사
개운사_명부전 Place 개운사_명부전 현재 봉안처
쌍계사_명부전 Place 쌍계사_명부전 과거 봉안처
김천_청암사 Place 김천_청암사 과거 소장처
943년_고미술_전시 Event 1943년_고미술_전시
조선총독부 Actor 조선총독부 1943년 전시회를 주관했다.
광복 Event 광복(1945) 광복 이후 개운사에 봉안되었다.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김천_개운사_지장보상좌상_및_시왕상 김천_개운사_지장보살좌상 hasPart
김천_개운사_지장보상좌상_및_시왕상 김천_개운사_시왕상 hasPart
김천_개운사_지장보상좌상_및_시왕상 개운사_명부전 currentLocation
김천_개운사_지장보상좌상_및_시왕상 쌍계사_명부전 formerLocation
김천_개운사_지장보상좌상_및_시왕상 김천_청암사 formerLocation
김천_개운사_지장보상좌상_및_시왕상 1943년_고미술_전시 isRelatedTo
김천_개운사_지장보상좌상_및_시왕상 광복 isRelatedTo
조선총독부 1943년_고미술_전시 performed
김천_개운사 개운사_명부전 hasPart

참고자료

  • [서울 화계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무독귀왕, 도명존자 설명 인용.
  • 김천 개운사 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디지털김천문화대전, http://gimcheon.grandculture.net/gimcheon/toc/GC03200572 → 전체 불상 이미지 배치 확인 가능
  • 추석 연휴에 가볼만한 김천의 명소, 김천내일신문, 2014.8.29. http://www.gcnaeil.com/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297&idx=29217 → 청암사의 본사인 쌍계사는 증산면 유성리 옥동마을에 있었던 대찰로 1951년 7월 14일 북한군 패잔병들이 임시 증산면사무소로 사용하고 있던 쌍계사에 불을 질러 전소되었다. / 남산동 개운사에 1685년 조성된 쌍계사 목조지장보살상과 시왕상이 이전 봉안되어 있는데 2003년에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 440호로 지정이 되었다. 1943년 일본인들이 조선총독부에서 주관한 고미술전시회출품을 위해 옮겨왔다가 해방이 되면서 김천역에 방치한 것을 개운사에서 명부전을 신축해 봉안한 것이다.
  • 우리 고장 어제와 오늘 <18> 양금동(陽金洞)편, 김천신문, 2015.10.7. http://m.kimcheon.co.kr/view.php?idx=41824 → 고성산과 남산 사이에 자리한 개운사(開雲寺)는 1918년 춘담화상(春潭和尙)에 의해 창건된 이래 팔공산 동화사의 포교당으로 운영됐다. 1926년 교구개편으로 문경 김용사의 포교당으로 변경됐다가 문경이 직지사의 교구에 속하게 되면서 김천시내 포교당으로 운영되면서 직지사의 말사가 됐다. / 창건 당시에는 30평 규모의 목조 극락전과 요사 1동이 전부였다가 1945년 명부전을 신축했다. / 명부전에는 2003년 4월 17일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 440호로 지정된 목조지장보살좌상과 목조시왕상 등 19구가 봉안돼 있다. 이들 유물은 1685년 조성된 이래 증산면 쌍계사 명부전에 봉안돼 있었는데 1943년 일본인들이 고미술품전시회에 출품하기 위해 김천역으로 옮겼다가 해방이 되면서 쌍계사로 반납하지 않고 방치돼 있던 것을 개운사에서 명부전을 신축해 봉안하게 된 것이다. / 지장보살의 복장유물인 신묘장구대다라니경의 종이재질을 분석한 결과 조성연대가 밝혀졌고 1977년 4월12일 진신사리 1과가 발견돼 1996년 삼층석탑에 봉안했다.-> 문화재청 등의 설명 중에는 복장유물이 모두 도난되어 조성연대를 확인할 수 없다고 되어있어 사실확인 필요함.
  • 김천 개운사 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석탑이 보이는 풍경, 다음 블로그 https://blog.daum.net/ecnoon/796 → 실제 답사 사진(2012)
  • 죽어서는 어딜 가나-개운사 명부전, 보리숭이의 방, 다음 블로그 https://blog.daum.net/borisu_gim/8101031 → 시왕상 상세 사진(2006)
  • 청암사, 디지털김천문화대전 http://gimcheon.grandculture.net/gimcheon/toc/GC03201161
  • 쌍계사 터, 디지털김천문화대전 http://gimcheon.grandculture.net/gimcheon/multimedia/GC032P2399
  • 『김천 개운사 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보수공사 보고서, 김천시; 개운사; 서진문화유산 공편.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되어 있다고 확인됨(열람 원할 시 신청 필요)
  • 조태건, 「김천 개운사 명부전 시왕상 연구」, 『김천 개운사 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연구』, 김천시; 개운사; 서진문화유산 공편, 2015. -> 확인 안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