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민 전공비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시민 전공비
Stele of Kim Si-min
김시민 전공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김시민 전공비
영문명칭 Stele of Kim Si-min
한자 金時敏 戰功碑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 (본성동)
지정(등록) 종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호
지정(등록)일 1972년 2월 12일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김시민 전공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김시민 전공비는 임진왜란 때 진주성에서 왜적을 물리쳐 공을 세웠으나 그 과정에서 사망한 김시민의 전공을 새긴 비석이다.

선조 25년(1592) 목사 김시민을 중심으로 한 장수들과 의병, 백성들이 힘을 합쳐 3,800명의 군사로 2만여 명의 왜적을 물리치고 진주성을 온전히 지킨 과정을 기록해 놓았다. 대략적인 내용은 김시민이 뛰어난 전략으로 왜적을 물리쳤으나 죽은 척 숨어 있던 왜병의 총탄에 맞아 사망하고, 그 뒤 나라에서 공훈을 인정하여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이름을 올린 사실을 밝힌 것이다.

전공비는 진주 고을 백성들의 열망에 따라 평안도 병마절도사를 지낸 남이흥(南以興)이 광해군 11년(1619)에 세웠다. 글은 성여신이 짓고 글씨는 한몽인이 썼다.

  • 한몽인은 한몽삼의 초명임.

영문

Stele of Kim Si-min

This stele was erected in 1619 to commemorate the achievements of Kim Si-min (1554-1592), a military offici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Kim Si-min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578 and served various official posts. Following the outbreak of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 he was appointed as the magistrate of Jinju and defended Jinjuseong Fortress. During the battle at the fortress, 3,800 Korean troops defended the area against 30,000 Japanese troops. The Korean troops managed to kill nearly 20,000 enemies, however, Kim was shot by enemy fire and died in the battle. In 1604, Kim was posthumously honored as a meritorious subject and promoted to chief state councilor, the highest position in the government.

This stele was erected at the request of the local people of Jinju. Its inscription was composed and calligraphed, respectively, by two scholars from Jinju, namely Seong Yeo-sin (1546-1632) and Han Mong-in (1589-1662).

영문 해설 내용

조선시대의 무신 김시민(1554-1592)의 전공을 기리기 위해 세운 1619년에 세운 비이다.

김시민은 1578년 과거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지냈다. 임진왜란이 발발한 직후 진주목사로 임명되어 진주성을 지키게 되었다. 3,800명의 군사로 3만 명의 왜군과 맞서 싸우며 2만 명의 적군을 사살하였으나, 김시민은 적의 총탄의 맞아 전사하였다. 1604년 공신으로 기록되었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이 비석은 진주 백성들의 요청에 따라 세워졌으며, 비문은 진주 출신 학자들인 성여신(1546-1632)과 한몽인(1589-1662)이 각각 짓고 썼다.

참고자료

  • 1차 진주성 싸움(‘진주성대첩’)은 1592년 이순신이 지휘한 한산도대첩과 1593년 권율이 지휘한 행주대첩과 함께 큰 승리를 거둔 임진왜란 3대 대첩으로 꼽힌다.
  • 진주성 싸움은 영남에서 호남으로 나아가는데 중요한 길목이 되던 이곳을 지킴으로써 왜적의 호남진출을 막아내어, 불리했던 당시의 상황을 뒤집고 다시 전열을 가다듬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