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우경재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산 우경재
Ugyeongjae Hall, Gyeongsan
대표명칭 경산 우경재
영문명칭 Ugyeongjae Hall, Gyeongsan
한자 慶山 寓敬齋
주소 경상북도 경산시 옥곡동 554-2
지정번호 경산시 향토문화유산(향토기념물) 제2호



해설문

국문

경산 우경재는 근대말 유학자 정기연(1877~1952)이 나라를 잃은 후 은거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글을 쓰며 항일운동을 하던 곳이다.

정기연은 1896년부터 우암 송시열의 후손인 송병선과 송병순 형제에게 유학을 배우며 기호학파의 이름난 유학자로 성장하였다. 을사조약과 한일합병조약으로 두 스승이 자결한 후 나라와 두 스승을 모두 잃은 정기연은 우경재에 은거하면서 후손들을 가르치며 집안에서는 일본어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고 한글을 쓰도록 장려하였다. 또한 『탁와집(琢窩集)』을 저술하여 국한문 혼용에 앞장서고 전통예학을 다시 정리하였고, 제사상 차리는 방법을 쉽게 익히도록 한글 놀이기구인 ‘습례국(習禮局)'을 만들어 유학전통의 계승과 수호하는 데에 혼신의 힘을 기울였다. 『탁와집』과 탁와 선생에 관한 자료는 영남대학교 도서관의 ‘탁와문고’에서 연구·보관되고 있으며, ‘습례국’은 국립한글박물관에 생활사 자료로 보관되어 있다.

우경재는 정면 4칸, 측면 1칸반의 ‘ㄱ’자형 팔작지붕 건물로 1914년 가을에 완공되었다. 우경재는 모든 일을 경건한 마음으로 하라는 뜻으로, 건물과 관련된 기록으로는 송철헌이 1923년에 남긴 『우경재기(寓敬齋記)』가 있다.

건물은 전체적으로 소박한 구성이나, 건물 앞면에 누를 두고 옆면에 난간이 있는 쪽마루를 두어 격식을 높이고자 하였다. 재실 건물에서 전면에 누마루를 두는 양식은 경산 지역에서는 흔하지 않은 모습이다.

영문

Ugyeongjae Hall, Gyeongsan

Ugyeongjae Hall was established in 1914 by the Confucian scholar Jeong Gi-yeon (1877-1952, pen name: Takwa). After Korea’s sovereignty was forcefully taken by Japan in 1910, Jeong Gi-yeon retired to this place where he taught students, composed written works, and engaged in the anti-Japanese movement. The name Ugeyongjae means “Hall Where Reverence Resides” and conveys the meaning that all things should be done with a reverential spirit.

Jeong Gi-yeon studied Confucianism from 1896 under the brothers Song Byeong-seon (1836-1905) and Song Byeong-sun (1839-1912), both renowned Confucian scholars and patriots. The two brothers committed suicide: one in 1905, when Japan deprived Korea of its diplomatic rights, and the other after Japan formally annexed Korea in 1910. With both his teachers having passed away, Jeong established Ugeongjae Hall as a place of retirement. He forbade the use of Japanese in his home and encouraged writing only in Hangeul, the Korean alphabet.

The Collected Works of Jeong Gi-yeon (Takwajip) include literary works written in Hangeul, rather than only in classical Chinese which was the traditional written language of Confucian scholars. This shows that Jeong was a pioneer in the use of the mixed Korean-Chinese script. He also organized traditional ritual studies and shared them widely, thus helping pass down the Confucian tradition. He also created a board game that was written in Hangeul to familiarize common people with the proper preparation of the ancestral ritual table. His collected works and other related materials are kept at the library of Yeungnam University, and his board game is kept at the National Hangeul Museum.

Ugyeongjae Hall has a hip-and-gable roof and an overall quaint appearance. It consists of a wooden-floored hall in the center, an elevated wooden porch to the left, and an underfloor-heated room with a narrow wooden veranda to the right.

영문 해설 내용

우경재는 유학자 정기연(1877-1952, 호: 탁와)이 1914년에 지었다. 1910년 한국이 일제에 의해 국권을 잃은 뒤, 정기연은 이곳에서 은거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글을 쓰며 항일운동을 하였다. 우경재라는 이름은 ‘모든 일을 경건한 마음으로 하라’는 뜻을 담고 있다.

정기연은 1896년부터 저명한 유학자이자 애국자였던 송병선(1836-1905)과 송병순(1839-1912) 형제에게 유학을 배웠다. 1905년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강제로 박탈하고, 1910년 한일병합조약까지 체결하자, 송병선과 송병순은 자결하였다. 두 스승을 모두 잃은 정기연은 우경재에 은거하면서, 집안에서는 일본어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고 한글만을 쓰도록 장려하였다.

일반적으로 유학자들은 한문으로 글을 썼지만, 정기연의 문집인 『탁와집』에는 한글로 쓴 저술도 포함되어 있다. 이를 통해 정기연이 국한문 혼용에 앞장섰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기연은 전통예학을 정리하여 널리 알리고, 유학전통을 계승하는 데 힘썼다. 그리고 한글 놀이기구를 만들어, 일반인들이 제사상 차림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정기연의 문집을 비롯하여 그와 관련된 자료는 영남대학교 도서관에 보관되고 있으며, 그가 만든 한글 놀이기구는 국립한글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우경재는 팔작지붕 건물로 전체적으로 소박한 모습이다.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 누마루를 두고 오른쪽에 온돌방을 두었다. 온돌방 앞에는 난간이 있는 쪽마루를 두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