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구니 인명사전

"정목스님(正牧, 1960生, 비구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bigun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릴레이션 데이터)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6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indicator name=인명사전>비구니 인명사전</indicator>
 
<indicator name=인명사전>비구니 인명사전</indicator>
 
{{인물정보
 
{{인물정보
|표제 = 정목(正牧)스님
+
|표제= 정목(正牧)스님
|사진 = 418 정목(正牧).jpg]]
+
|사진= 418 정목(正牧).jpg
|법명 = 정목(正牧)
+
|법명= '''정목(正牧)'''
|법호 = 프라즈나(prajńā)
+
|법호= 프라즈나(prajńā)
|속명 = 이신혜
+
|속명= 이신혜
|본관 = 여양(驪陽)
+
|출생= 1960.06.12.
|출생 = 1960년
+
|출가= 1976년
|출가 = 1976년
+
|입적=  
|종단 =
+
|사찰= '''정각사''' </br>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1가 277-8
|입적 =  
+
|특이사항=
|사찰 = 정각사 (서울 성북구 삼선동1가 277-8 ) 서울 종로구 부암동 360 유나방송
 
 
}}
 
}}
  
18번째 줄: 17번째 줄:
 
정목(正牧)스님은 광우(光雨)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여 활발한 방송 포교를 하고 마음공부전문방송 유나 개설하고 정각사 주지를 역임한 대한민국 비구니 스님이다.
 
정목(正牧)스님은 광우(光雨)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여 활발한 방송 포교를 하고 마음공부전문방송 유나 개설하고 정각사 주지를 역임한 대한민국 비구니 스님이다.
 
==생애==
 
==생애==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vertical-align: middle; text-align: left; background-color: white; width:70%"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vertical-align: middle; text-align: left; background-color: white; width:84%"  
 
|-
 
|-
 
!연도 !! 내용
 
!연도 !! 내용
24번째 줄: 23번째 줄:
 
|1960 || 서울 출생  
 
|1960 || 서울 출생  
 
|-
 
|-
|1976 || [http://xn--q20bm8bgy1a0fc8wd.kr/ 서울 정각사]에서 [[광우(光雨)스님|광우스님]]을 은사로 출가
+
|1976 || [http://xn--q20bm8bgy1a0fc8wd.kr/ 서울 삼선동 정각사]에서 [[광우스님(光雨, 1926生, 비구니)|광우스님]]을 은사로 출가
 
|-  
 
|-  
|1976 ||[[지관스님|지관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
|1976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65178  지관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
 
|-
|1980 || 해인사 금강계단에서 [[고암(古庵)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
|1980 || [http://www.haeinsa.or.kr/ 해인사]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07496 금강계단]에서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55412 고암(古庵)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
 
|-
 
|1982~1984 || 대학생 불교연합회 종로지부 7개 대학 지도법사
 
|1982~1984 || 대학생 불교연합회 종로지부 7개 대학 지도법사
38번째 줄: 37번째 줄:
 
|1986~1990 || 서울대학병원 지도법사
 
|1986~1990 || 서울대학병원 지도법사
 
|-
 
|-
|1988~1989 || 삼소회(불교, 천주교, 원불교의 여성종교인 모임) 창립 및 활동
+
|1988~1989 || [http://www.seniorsinmun.com/news/articleView.html?idxno=344  삼소회](불교, 천주교, 원불교의 여성종교인 모임) 창립 및 활동
 
|-   
 
|-   
 
|1990 ||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졸업
 
|1990 ||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졸업
 
|-
 
|-
|1990~1993 || 전화상담기관 ‘자비의 전화’ 창립 및 이사 취임
+
|1990~1993 || 전화상담기관 [http://www.kbcd.org/kbcd_new/about/about_05.html ‘자비의 전화’] 창립 및 이사 취임
 
|-
 
|-
|1990~1995 || 불교방송 최초의 승려 MC로 ‘차 한잔의 선율’, ‘거룩한 만남’ 진행
+
|1990~1995 || 불교방송 최초의 승려 MC로 ‘차 한잔의 선율’</br>  ‘거룩한 만남’ 진행
 
|-
 
|-
|1994~1995 ||  ‘맑고 향기롭게’ 추진위원
+
|1994~1995 || [http://www.clean94.or.kr/ ‘맑고 향기롭게’] 추진위원
|-
 
|1986~1996 || [http://www.baekyangsa.com/intro.php 백양사] [https://cafe.daum.net/squirrel4u/Bpz4/4288?svc=cafeapi 천진암] 도감(주지)
 
 
|-
 
|-
 
|1998 || 선다암 창건, 부처님 오신 날과 연말에 ‘아픈 어린이돕기 사랑의 운동’ 전개
 
|1998 || 선다암 창건, 부처님 오신 날과 연말에 ‘아픈 어린이돕기 사랑의 운동’ 전개
 
|-
 
|-
|1999 || 지장암 감원 <ref> 감원(監院): 절을 감독하고 승려들의 모든 일을 맡아 보살피는 직책 </ref> 소임 (겸임)
+
|1999 || KBS FM에서 종교프로그램 진행
 
|-
 
|-
|1997 || 정진선원에서 2년 안거
+
|2004 || 선다암 주석, 마음고요선원 운영
 
|-
 
|-
|1999 || 문경 윤필암 하안거 성만. 월정사 포교원 연꽃유치원 원감
+
|2007 || [http://www.una.or.kr/junggak/intro.php 마음공부전문방송 유나] 개설
 
|-   
 
|-   
 
+
|2022 || [https://blog.naver.com/jeonggaksa2016  서울 성북구 정각사] 주지
 +
|-
 
|}
 
|}
  
===기타사항===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vertical-align:middle; text-align:left; background-color:white; width:84%"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vertical-align:middle; text-align:left; background-color:white; width:70%"  
 
 
|-
 
|-
|style="width:120px" | 문중|| 봉래(蓬萊)
+
|style="width:120px" | 문중|| [[계민(戒珉)문중|계민문중(戒珉)]]
 
|-
 
|-
|수행지침|| 탐(貪)·진(眞)·치(癡) 벗겨내니 원래 완벽하게 갖추어진 자성광명(自性光明) 절로 드러나네.
+
|수행지침|| 매순간 마음의 현상들을 관찰하며 깨어 있기</br>무상과 고, 무아의 속성 깨닫기</br> 진리의 길을 걷기 위한 열반 증득의 유일한 길 따라 수행하기
 
|-
 
|-
|생활신조|| 최선을 다하자.
+
|저서 및 작품|| [http://www.yes24.com/Product/Goods/316909 『마음고요』], [http://www.yes24.com/Product/Goods/2635189 『산빛 이야기』], [http://www.yes24.com/Product/Goods/1933387 『마음 밖으로 걸어가라』], [http://www.yes24.com/Product/Goods/3082363 『티벳 사자의 서(오디오북)』], [http://www.yes24.com/Product/Goods/8001629 『오늘은 내 기쁜 생의 첫날』], [http://www.yes24.com/Product/Goods/11547432 『비울수록 가득하네』], [ㅍ 『꽃도 꽃피우기 위해 애를 쓴다』], [http://www.yes24.com/Product/Goods/64416728 『마음아 행복하여라』(공저)], [http://www.yes24.com/Product/Goods/87632511 『달팽이가 느려도 늦지 않다』], [http://www.yes24.com/Product/Goods/96883633 『잠 못 드는 사람에게 밤은 길고』], [http://www.yes24.com/Product/Goods/105375843 광우편/정목정리 『묘법연화경 한글 독송본』] 등
 
|-
 
|-
|상훈|| 전남 장성경찰서 감사장 수상(1989) 외 다수
+
|상훈|| 불교방송 공로패, 제18회 한국방송대상 사회자상 외 다수
 
|-
 
|-
|특기|| 인테리어
+
|수계제자 || 현산(玄山)·현동(玄東)·현오(玄悟)·현견(玄見)·현조(玄照)  
|-
 
|취미|| 붓글씨
 
|-
 
|수계제자 || 지훈(地熏)·지용(地湧)·지륜(地輪)·지광(地光)·지현(地賢)·해만(海曼)·지욱(地煜)·지우(地雨)·지중(地中)·지도(地導)·지경(地經)·지범(地凡)·지성(地成)
 
 
|}
 
|}
  
 
==활동 및 공헌==
 
==활동 및 공헌==
  
===출가의 계기===
+
===출가===
은공(恩空) 정안(淨岸)스님은 1951년 강릉 연곡에서 태어났다. 속명은 진경희이다. 전국에 콜레라가 창궐하던 1970년, 스님도 콜레라에 걸려 심하게 앓던 중 문득 마음 깊은 곳에서 ‘내 갈 길이 따로 있는데 왜 여기서 이렇게 헤매고 있을까?’ 하는 소리를 듣고 가슴이 트여 이듬해인 1971년 2월 1일 오대산 지장암(강원 평창)에서 출가하였다.
+
[[파일:418-01.jpg|섬네일|한국비구니연구소. </br> 사진출처:『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 538]]
[[파일:431-01.jpg|섬네일]]
+
[[파일:418-02.jpg|섬네일|실크로드 순례 중 교하고성의 허물어진 대웅전 터 앞에서] </br>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 540]]
 +
[[파일:418-03.jpg|섬네일|BBS 불교방송 ‘거룩한 만남 차 한 잔의 선율’ 진행시 스텝들과 함께 한국비구니연구소. </br> 사진출처:『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 541]]
 +
[[파일:418-04.jpg|섬네일|달라이라마의 일본 법회 후(2004.1) </br>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 542 ]]
 +
[[File:정목스님과 광우스님.jpg|섬네일|[정목스님과 은사이신 광우스님]</br> 사진출처 : 법보신문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05640]]
 +
[[File:정각사 미래탑.jpg|섬네일|[정각사 미래탑]</br> 사진출처: 유나방송 http://www.una.or.kr/junggak/intro.php]]
 +
[[File:유나방송 전경.jpg|섬네일|[유나방송 전경]</br> 사진출처: 유나방송 http://www.una.or.kr/intro/location.php
 +
]]
 +
 
 +
praina 정목(正牧)스님은 1960년 음력 6월 12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경주이며, 이름은 이신혜이다.
 +
스님은 부처님과 일찍 인연을 맺어 6세 때부터 절에서 자랐다. 그런 영향 때문인지 국민학교 글짓기 시간이나 장래 희망을 이야기할 때면 조금도 망설임 없이 스님이 되겠다고 답하였다.
 +
스님은 중학교를 졸업한 뒤 당연하다는 듯이 삭발을 결심했다. 이에 은사스님이 놀라며 좀 더 커서 하기를 권하였으나 조르다시피 하여 삭발을 하였다. 1976년, 스님의 나이 17세 때였다.
 +
 
 +
삼선동 정각사에서 [[광우스님(光雨, 1926生, 비구니)|광우스님]]을 은사로 출가한 정목스님은 1980년 해인사 금강계단에서 고암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를 수지했으며, 해인사 삼선암에 주석하시던 [[성문스님(性文, 1893生, 비구니)|성문 큰스님]]이 노스님이시다.
 +
 
 +
 
 +
===수학과 포교활동과  삼소회(三笑會)를 창립===
 +
정목스님은 1985년 동국대학교 선학과를 졸업하였고, 1990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였다.
 +
스님은 대학에서 공부에 열중하는 한편 포교 일선에도 열정을 쏟았다. 1982년부터 1984년까지 대학생 불교연합회 종로지부 7개 대학 지도법사, 1984년부터 1985년까지 은석국민학교 불교학생회 지도법사, 1986년부터는 서울대병원 지도법사를 역임하였다. 그리고 1988년에는 불교, 천주교, 원불교의 여성 종교인 모임인 삼소회(三笑會)를 창립하는 등 활발하게 활동했다. 또한 1990년부터 1993년에 이르는 동안 전화상담 기관 ‘자비의 전화’를 창립하고 이사를 역임하였다.
 +
 
 +
===불교방송 최초의 승려 MC로 활동===
 +
스님의 진가가 유감없이 드러난 것은 1990년 불교방송 최초의 승려 MC로서 ‘차 한 잔의 선율’과 [https://www.bbsi.co.kr/HOME/radio/radio_onair_detail.html?ProgramCode=94 ‘거룩한 만남’]을 진행하기 시작하면서부터였다. 스님의 호소력 강한 목소리는 불자는 물론 다른 종교를 믿는 사람들까지 사로잡았다. 마침내 종교인으로서는 처음으로 한국방송대상 사회상 및 방송 프로듀서 연합회 사회상을 수상하는 등 전문 방송인을 뛰어넘는 재능을 인정받았다.
  
===수학과 불사===
+
===노래 ‘바람 부는 산사’===
출가 후 스님은 [http://www.unmunsa.or.kr/ 운문사] 강원과 중앙승가대학교를 졸업하고 [http://xn--q20bm8bgy1a0fc8wd.kr/ 오대산 지장암]으로 돌아와 재무 소임을 맡았다. 그러던 중 전라남도 장성 [http://www.baekyangsa.com/ 백양사] [https://cafe.daum.net/squirrel4u/Bpz4/4288?svc=cafeapi 천진암]에서 사찰을 지켜달라는 요청이 들어왔다. 당시 스님은 중국 유학과 천일지장기도를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선뜻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
다재다능한 스님은 방송뿐 아니라 노래로도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지금도 널리 불리고 있는 ‘바람 부는 산사’는 노래는 물론 노랫말까지 직접 지어 음반을 낸 곡이다.
  
그런데 하루는 꿈을 꾸게 되었는데 꿈속에 운문사 강원과 중앙승가대학교의 많은 대중스님들이 발우를 펴고 있었다. 늦게 도착한 스님에게 누군가가 스님 자리라면서 자리를 마련해 주는 것이 아닌가. ‘꿈에 스님을 만나면 부처님을 만나는 것과 같다고 하는데 많은 스님들이 법석을 여는 꿈을 꾸다니….’
+
<poem>
  
스님은 꿈이 천진암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직감하고 천진암을 제2의 고향으로 삼기로 작정, 천진암으로 내려가 불사에 혼신을 다하였다. 천진암은 고려시대에 창건된 유서 깊은 사찰이었으나 당시에는 낡은 법당과 허물어져가는 요사채만으로 그 명맥을 겨우 유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
                '''바람 부는 산사'''
  
스님은 천일지장기도를 하면서 건물을 보수하고 부족한 생활용수를 보충하기 위해 지하수를 개발했고, 비가 오면 우산을 쓰고 이용했던 화장실을 수세식으로 바꾸었으며, 천진암 입구의 도로를 확장하고 포장한 후 법당과 삼성각과 요사채를 보수하여 천진암의 면모를 일신하였다.
+
      아무것도 없는 종이 위에 산은 그려도
 +
      바람은 바람은 그릴 수 없어
 +
      벽을 향하여 참선하는 님의 모습 그려도
 +
      마음은 마음은 그릴 수 없네
 +
      솔바람이 우우~ 잠을 깨우는
 +
      산사에 바람소리가 들릴 뿐
 +
      마음은 그 어디에도 없어라
 +
      내 영혼 깊은 곳을 적시는
 +
      산사에 바람소리
 +
      산사에 바람소리
  
또한 호남에 비구니 선원이 거의 없는 사실이 안타까워 파도처럼 밀려오던 각종 어려움을 극복하고 1996년 10월 15일 삼천일 지장기도 불사 회향을 하면서 호남에 첫 비구니 선원인 천진암 백암선원(白岩禪院)을 개원하고 해 첫 동안거를 열었다.
+
      해 저물고 달이 뜬 산사에 가냘픈 촛불이
 +
      바람에 바람에 꺼질듯이 흔들리고
 +
      달빛이 창문에 배이니 소나무 그림자
 +
      파도처럼 파도처럼 출렁이네
 +
      솔 바람이 우~~잠을 깨우는
 +
      산사의 바람소리가 들릴 뿐
 +
      마음은 어디에도 없어라
 +
      내 영혼은 깊은 곳을 적시는
 +
      산사의 바람소리
 +
      산사의 바람소리
  
===은사와 상좌의 입적===
 
1995년 가을, 갑작스럽게 존경하던 은사스님이 입적했고 다음해인 1996년에는 꽃다운 나이의 제자를 떠나보냈다. 이에 정안스님은 생사 문제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되었다. 스님은 3년만 열심히 정진하면 생사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래서 가람 수호와 포교 의무를 일단 접어둔 채 천진암은 제자에게 일임하고, 지장암은 권속에게 부탁한 후 오로지 참선 수행에만 몰입하였다.
 
  
===오대산 지장암 면모 일신===
+
</poem>
[[파일:431-03.jpg|섬네일|지장암의 모습]]
 
스님은 공부를 하면 할수록 공부와 일상생활이 둘이 아니며 자신이 머물고 있는 처처가 다 배움터요, 행하는 모든 일이 공부 아님이 없다는 자각이 분명해졌다. 이에 스님은 지장암으로 돌아왔고 5년간 상상을 초월하는 커다란 화두와 직면하게 되었다.
 
  
나날의 생활 속에서 부딪치는 화두, 곧 육신을 죽일 것인가, 설자리를 버릴 것인가, 마음을 죽일 것인가 등등이 꼬리를 물고 우후죽순처럼 일어나기 시작했다. 스님은 공동체 삶속에서 발생하는 각종 에피스드를 수행의 재료로 삼아 어려움을 통해 겸손을, 가난한 살림살이를 통해 감사를 배웠다고 한다.  
+
‘바람 부는 산사’의 가사는 정목스님이 젊은 시절 문경의 심원사라는 작은 절에 머물 때 전기도 들어오지 않고 찾아오는 이도 없는 심심산골 작은 암자에 교교하게 내리비추는 달빛과 문창살에 어른거리는 나무 그림자를 바라보며 쓴 글인데, 훗날 한 작곡가가 노래로 만든 것이다.
  
또한 북방 최초의 비구니 선원이라는 명성에 조금이라도 부응할 수 있도록 지장암 내 기린선원을 정비하여 많은 대중이 살 수 있게끔 조건을 갖추는데 공헌했다.
+
===서울대병원의 지도법사===
 +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한 스님은 1986년에서 1990년까지 서울대병원의 지도법사로 있던 시절에 참으로 많은 것을 체험하였다. 수많은 환자들과 아픔을 함께하면서 인생관과 종교관도 크게 바뀌었다.
  
==사찰==
+
끝내 병마를 이기지 못하고 삶을 마감하는 환자들의 허망한 인생을 지켜보면서 스님은 생사가 둘이 아니라는 믿음을 가지면서도 한편으로는 사랑하는 이를 떠나보내는 사람들의 고통을 바라보며 이승과 저승의 이어질 수 없는 간극을 절감하곤 했다. 그렇게 병원 지도법사로서 5년 세월을 보내면서 스스로 겸허해짐은 물론 출가의 본질에 대해 큰 깨달음을 얻었다. 
* 보덕사(☎ 041-353-9306):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삼화리 207-36
+
 
{{  구글지도 | 위도= 36.955771 | 경도=126.625625 | 줌=17 }}
+
===‘자비의 전화’ 상담원===
 +
스님은 늘 시간이 모자랄 만큼 바쁜 와중에서도 부족한 잠을 쫓아가며 ‘자비의 전화’ 상담원으로 밤새도록 불자들과 자리를 함께했다. 이 ‘자비의 전화’는 어느 날 갑자기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다. ‘자비의 전화’를 만들기 위해 스님은 ‘사랑의 전화’라는 상담기관의 교육과정을 모두 밟았고 몇 년간 자원봉사를 하며 미리 실무를 익혔다. 그리고 불교에서도 ‘사랑의 전화’ 같은 전화상담 기관을 만들자고 발의하여 창립한 것이 바로 ‘자비의 전화’이며, 정목스님은 창립 멤버로 활동하였다.
 +
 
 +
===불교방송 ‘거룩한 만남===
 +
서울대병원 지도법사 이후 미국 유학을 준비하고 있던 스님에게 뜻밖의 인연이 찾아왔다. 바로 불교방송이다. 불교방송의 한 뛰어난 프로듀서가 기획한 프로그램 ‘거룩한 만남’은 특히 정목스님의 개성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훗날 다른 방송사들의 이웃돕기 프로그램의 모태가 되기도 한 이 ‘거룩한 만남’을 통해 스님은 자비와 보시의 참된 정신을 수많은 불자들에게 심어주며 종교의 벽을 뛰어넘는 감동을 세상에 널리 전했다.
 +
 
 +
‘거룩한 만남’의 사연들은 기구한 내용으로 가득 차 있었다. 주택가에 버려진 옷장이나 이불장에 들어가 사는 집 없는 고양이 아홉 마리에게 먹이를 주며 사는 할아버지 할머니 이야기, 걷지도 못하고 말도 못하는 뇌성마비 지체장애자가 비명 같은 발음으로 ‘어머니 은혜’를 노래 부르는 이야기, 죽음을 눈앞에 둔 노인이 심장병 환자를 보살피고, 걷는 것도 힘겨운 그 노인이 정성을 다해 물을 주며 기르는 두 개의 떡잎 이야기 등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사연들이 가슴 속 깊이 감동의 물결을 자아냈다. 그처럼 어려운 가운데서도 희망을 일구며 사는 이웃들을 위해, 무수히 상처받고 버려진 사람들을 위해 스님은 온 마음으로 위로하고 격려하였다. 그리고 희로애락을 함께 나누며 그들을 껴안고 보듬었다.
 +
 
 +
===은사 광우스님의 가르침===
 +
이런 스님에게도 힘겨운 고비가 있었다. 26세 되던 해, 스님은 출가자로 살아가는 자신의 삶에 대해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회의에 빠졌다. 스스로가 구도의 길을 걷기에는 부족한 점이 너무 많다고 생각한 탓에 문득문득 자신의 겉모습을 견뎌낼 수가 없었던 것이다. 차라리 밖으로 나가서 힘껏 일하고 양심껏 벌어 사회에 보탬이 되게 사는 것이 옳은 일이 아닐까 싶었다. 신도들의 시주에 의지하는 것이 죄악으로 느껴진 스님은 은사이신 광우스님에게 자신의 뜻을 밝히며 가사 장삼을 올렸다.
 +
 
 +
이에 광우스님은 잠시 침묵하다가 이윽고 다음같이 말씀하셨다.
 +
 
 +
“네가 이곳에서 고통이 있다면 이곳에서 해결해야지. 지금 여기를 떠나 고통을 해결할 곳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땅에서 넘어진 자, 땅을 짚고 일어나는 것이란다.”
 +
 
 +
갈등과 회의 속에서 고뇌하던 스님은 광우스님의 깊은 애정의 말씀을 듣고 새롭게 마음을 다잡아나갔다.
 +
“은사스님의 그 말씀은 무지했던 제 마음의 눈을 뜨게 해주셨고, 지금까지도 소중하게 간직하며 살고 있습니다. 그 후로 출가자로서의 길을 걷는 것을 후회한 일이 없었지요.”
 +
 
 +
===선다암(禪茶庵)과 ‘마음 고요’===
 +
1995년 스님은 방송을 비롯한 일체의 대외 활동을 중지하였다. 선다암(禪茶庵)이란 작은 암자에서 수행 정진하던 스님은 2000년 5월 강남구 신사동에 ‘마음 고요’라는 이름의 작은 수행처를 열고 명상과 마음공부를 위한 다양한 수행법을 지도했다.
 +
 
 +
===스님의 저서===
 +
스님은 2002년 서간집 [http://www.yes24.com/Product/Goods/316909 『마음고요』]을 시작으로[http://www.yes24.com/Product/Goods/2635189 『산빛 이야기』], [http://www.yes24.com/Product/Goods/1933387 『마음 밖으로 걸어가라』], [http://www.yes24.com/Product/Goods/3082363 『티벳 사자의 서(오디오북)』], [http://www.yes24.com/Product/Goods/8001629 『오늘은 내 기쁜 생의 첫날』], [http://www.yes24.com/Product/Goods/11547432 『비울수록 가득하네』], [ㅍ 『꽃도 꽃피우기 위해 애를 쓴다』], [http://www.yes24.com/Product/Goods/64416728 『마음아 행복하여라』(공저)], [http://www.yes24.com/Product/Goods/87632511 『달팽이가 느려도 늦지 않다』], [http://www.yes24.com/Product/Goods/96883633 『잠 못 드는 사람에게 밤은 길고』], [http://www.yes24.com/Product/Goods/105375843 광우편/정목정리 『묘법연화경 한글 독송본』] 등의 책을 썼다.
 +
또 수많은 사람들을 사로잡았던 그 음성으로 CD를 출반하기도 하였는데 〈정목스님이 들려주는 법구-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같이〉와 〈정목스님과 함께 듣는 부모은중경〉은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
 
 +
===마음공부전문방송 유나 개설===
 +
2007년 오랜 세월 방송 포교를 해온 정목스님은 마음공부의 길을 열기 위해 유나방송의 문을 열었다.
 +
 
 +
유나는 종교의 벽을 넘어 마음공부를 통해 의식 성장을 추구하는 곳이며 유나 회원들은 각자의 신념과 종교를 존중받으며 동시에 보다 깊고 넓은 정신세계를 지향한다.(출처: 유나 http://www.una.or.kr/intro/intro.php)
 +
* 마음공부전문방송 유나 http://www.una.or.kr/main/main.php
 +
* 유튜브, 정목스님의 유나방송 https://www.youtube.com/channel/UCzWYpokwcpsQDHYKMFybpvQ
 +
 
 +
===정각사 중창===
 +
 
 +
정각사는 1958년 정목 스님의 은사 광우 스님이 ‘누구라도 믿을 수 있는 불교, 누구라도 행할 수 있는 불교, 누구라도 전할 수 있는 불교’라는 기치 아래  창건한 비구니 사찰이다. 정목 스님이 2009년 제2대 주지로 취임하여 광우스님이 40년간 구매해 둔 주변 가옥의 담을 허물고 리모델링하여 하는 등 사찰 면모를 일신하였다. 정목 스님은 도량 전체를 재정비·중창하여 2023년 현재  600평 규모의 가람으로 일구어 놓았다.
 +
 
 +
==성북구 정각사==
 +
 
 +
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jeonggaksa2016
 +
</br>  http://www.una.or.kr/junggak/intro.php
 +
 
 +
서울 성북구 삼선동 정각사는 1958년에 정목스님의 은사이신 광우스님이 창건했다.
 +
</br>  2015년 정각사에 조성한 미래탑이 세계 건축상을 수상하였다.
  
 
== 참고자료==
 
== 참고자료==
*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 뜨란출판사, 2007, pp. 459~463.
+
*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p. 537~542.
*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 431.
+
* 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 418.
* 오대산 기린선원 남대 지장암 [홈페이지], http://namdaejja.webbit.kr/
+
* 하춘생. 『한국의 비구니 문중』. 해조음, 2013, p. 137, 345
* 월정사 지장암 감원 정안스님 입적 [불교신문],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34475
+
* 매일경제, [매경이 만난 사람] 정목스님, 고통과 치유를 말하다 (2012년) https://www.mk.co.kr/news/special-edition/5370811
* 佛心도 반해버린 산 병풍과 계곡 물소리, 백암산 천진암 [자비화 카페], https://cafe.daum.net/squirrel4u/Bpz4/4288?svc=cafeapi
+
* 아사아경제, '치유 어머니' 정목스님과 행복한 만남 (2012년) https://www.asiae.co.kr/article/2012100410391456197&mobile=Y
 +
* 이데일리, 정목스님, 명동성당서 마이크 잡은 까닭 (2014년)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423926606317536
 +
* BTN, 정각사 미래탑 점등식 (2015년) http://www.btnnews.tv/news/articleView.html?idxno=33917
 +
* 서울대병원, DJ, 베스트셀러, 강사로 유명한 정목 스님, 저소득층 환자 지원금 2억원 서울대학교병원에 전달 (2015년) http://www.snuh.org/m/board/B003/view.do?bbs_no=2526&searchKey=&searchWord=&pageIndex=1
 +
* BTN, [BTN뉴스]정각사 미래탑 세계건축상 수상 (2016년) https://www.youtube.com/watch?v=DxxEjcSZa2E
 +
* EBS, [EBS 초대석] 만나는 모든 이들이 나의 거울이다 - 정목 스님 정각사 (2021년) https://www.youtube.com/watch?v=KwDqizdzLNI
 +
* BTN, 도대체 복이라는 것은 무엇인가? [정목스님 법문 몰아보기] (2021년) https://www.youtube.com/watch?v=232Qy-M0_58
 +
* 불교신문, 바람처럼 가버린 스님의 젊은시절 이야기 (2021년)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210321
 +
* 유나방송, [희망인터뷰]본각스님1부/유나방송으로 초대합니다~/본각스님의 특별한 외출 (2021년) https://www.youtube.com/watch?v=I_jeDMEHOZY
 +
* 법보신문, 스승서 제자로 이어져 다시 꽃피운 ‘본래성불’의 가르침 (2021년)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05640
 +
* 대전인터넷뉴스, 세종 전통문화체험관 정목스님 ‘관계를 통한 성장’ 특강 (2022년) http://daejeonpress.co.kr/news/view.php?idx=52150
 +
* 불교신문, 바람처럼 가버린 스님의 젊은시절 이야기 (2022년)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210321
  
 
==시맨틱 데이터==  
 
==시맨틱 데이터==  
125번째 줄: 206번째 줄:
 
! style="width:150px" | 식별자 || 범주 || 유형 || 표제 || 한자 || 웹 주소
 
! style="width:150px" | 식별자 || 범주 || 유형 || 표제 || 한자 || 웹 주소
 
|-
 
|-
| [[정안스님(淨岸, 1951生, 비구니) | 정안(淨岸)스님]] || 본항목 ||  || 정안스님(淨岸, 1951~2014)|| 淨岸 ||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정안스님(淨岸,_1951生,_비구니)
+
| [[정목스님(正牧, 1960生, 비구니)|정목(正牧)스님]] || 본항목 ||  || 정목스님(正牧, 1960~ )|| 正牧 ||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정목스님(正牧,_1960生,_비구니)
 
|-
 
|-
 
|}
 
|}
133번째 줄: 214번째 줄:
  
 
===릴레이션 데이터===
 
===릴레이션 데이터===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tyle="width:120px" | 항목1 || style="width:240px" | 항목2 || style="width:180px" | 관계
+
! 항목1 || 항목2 || 관계 || style="width:300px" | 속성
 
|-
 
|-
| [[정안스님(淨岸, 1951生, 비구니) | 정안(淨岸)스님]] || [[봉래(蓬萊)문중]] || ~의 일원이다
+
| [[정목스님(正牧, 1960生, 비구니)|정목스님(正牧)]] || [[계민(戒珉)문중|계민문중(戒珉)]] || ~의 일원이다 ||
 
|-
 
|-
| [[정안스님(淨岸, 1951生, 비구니) | 정안(淨岸)스님]] || [[혜종(慧宗)스님]] || ~의 수계제자이다
+
| [[정목스님(正牧, 1960生, 비구니)|정목스님(正牧)]] || [[광우스님(光雨, 1926生, 비구니)|광우스님(光雨)]] || ~의 수계제자이다 ||
 
|-
 
|-
| [[정안스님(淨岸, 1951生, 비구니) | 정안(淨岸)스님]] || [[오대산 남대 지장암]] || ~에서 출가하다
+
| [[정목스님(正牧, 1960生, 비구니)|정목스님(正牧)]] || [[서울 정각사]] || ~에서 출가하다 ||
 
|-
 
|-
| [[정안스님(淨岸, 1951生, 비구니) | 정안(淨岸)스님]] || [[만화(萬化) 희찬(喜燦)스님|희찬(喜燦)스님(1919~1983; 비구스님)]] || ~으로부터 사미니계를 받다
+
| [[정목스님(正牧, 1960生, 비구니)|정목스님(正牧)]] || [[가산지관(伽山智冠)|지관스님(智冠)]] || ~(으)로부터 계를 받다 || 사미니계
 
|-
 
|-
| [[정안스님(淨岸, 1951生, 비구니) | 정안(淨岸)스님]] || [[청하당(淸霞堂) 성원(性源) 대선사|성원(性源)스님(1927~2004; 비구스님)]] || ~으로부터 비구니계를 받다
+
| [[정목스님(正牧, 1960生, 비구니)|정목스님(正牧)]] || [[고암상언(古庵祥彦)|고암스님(古庵)]] || ~(으)로부터 계를 받다 || 비구니계
 
|-
 
|-
| [[정안스님(淨岸, 1951生, 비구니) | 정안(淨岸)스님]] || [[오대산 남대 지장암]] || ~의 감원(주지)를 역임하다
+
| [[정목스님(正牧, 1960生, 비구니)|정목스님(正牧)]] || [[BBS불교방송]] ||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 프로그램 진행자(차한잔의선율, 거룩한만남)
 
|-
 
|-
| [[정안스님(淨岸, 1951生, 비구니) | 정안(淨岸)스님]] || [[백양사 천진암]] || ~의 감원(주지)를 역임하다
+
| [[정목스님(正牧, 1960生, 비구니)|정목스님(正牧)]] || [[불교상담개발원 자비의전화]] || ~() 건립하다 ||
 
|-
 
|-
| [[정안스님(淨岸, 1951生, 비구니) | 정안(淨岸)스님]] || [[남대 지장암 기린선원]] || ~을 중창하다
+
| [[정목스님(正牧, 1960生, 비구니)|정목스님(正牧)]] ||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 지도법사(7개 대학교)
 
|-
 
|-
| [[정안스님(淨岸, 1951生, 비구니) | 정안(淨岸)스님]] || [[백양사 천진암 백암선원]] || ~을 설립하다
+
| [[정목스님(正牧, 1960生, 비구니)|정목스님(正牧)]] || [[서울대학교병원]] ||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 포교법사
 +
|-
 +
| [[정목스님(正牧, 1960生, 비구니)|정목스님(正牧)]] || [[서울 선다암]] || ~을(를) 창건하다 ||
 +
|-
 +
| [[정목스님(正牧, 1960生, 비구니)|정목스님(正牧)]] || [[마음공부전문방송 유나]] || ~을(를) 건립하다 ||
 +
|-
 +
| [[정목스님(正牧, 1960生, 비구니)|정목스님(正牧)]] || [[서울 정각사]] ||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 주지(감원)
 
|}
 
|}
 +
<big>''' ❁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대문 한국 비구니 인명사전 데이터 아카이브]'''</big>로 가기
 +
 +
==지도==
 +
* '''정각사''' :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1가 277-8
 +
{{구글지도 | 위도= 37.5848 | 경도=127.007939 | 줌=17}}
  
 
==주석==
 
==주석==
 +
<references/>
 +
 +
 +
==다른 비구니 스님==
 +
 +
</br>
 +
 +
<big> '''■ [[한국비구니 | 대한민국 주요 비구니 스님]] '''</big>

2024년 4월 28일 (일) 19:02 기준 최신판



정의

정목(正牧)스님은 광우(光雨)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여 활발한 방송 포교를 하고 마음공부전문방송 유나 개설하고 정각사 주지를 역임한 대한민국 비구니 스님이다.

생애

연도 내용
1960 서울 출생
1976 서울 삼선동 정각사에서 광우스님을 은사로 출가
1976 지관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1980 해인사 금강계단에서 고암(古庵)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1982~1984 대학생 불교연합회 종로지부 7개 대학 지도법사
1984~1985 은석국민학교 불교학생회 지도법사
1985 동국대학교 선학과 졸업
1986~1990 서울대학병원 지도법사
1988~1989 삼소회(불교, 천주교, 원불교의 여성종교인 모임) 창립 및 활동
1990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졸업
1990~1993 전화상담기관 ‘자비의 전화’ 창립 및 이사 취임
1990~1995 불교방송 최초의 승려 MC로 ‘차 한잔의 선율’
‘거룩한 만남’ 진행
1994~1995 ‘맑고 향기롭게’ 추진위원
1998 선다암 창건, 부처님 오신 날과 연말에 ‘아픈 어린이돕기 사랑의 운동’ 전개
1999 KBS FM에서 종교프로그램 진행
2004 선다암 주석, 마음고요선원 운영
2007 마음공부전문방송 유나 개설
2022 서울 성북구 정각사 주지
문중 계민문중(戒珉)
수행지침 매순간 마음의 현상들을 관찰하며 깨어 있기
무상과 고, 무아의 속성 깨닫기
진리의 길을 걷기 위한 열반 증득의 유일한 길 따라 수행하기
저서 및 작품 『마음고요』, 『산빛 이야기』, 『마음 밖으로 걸어가라』, 『티벳 사자의 서(오디오북)』, 『오늘은 내 기쁜 생의 첫날』, 『비울수록 가득하네』, [ㅍ 『꽃도 꽃피우기 위해 애를 쓴다』], 『마음아 행복하여라』(공저), 『달팽이가 느려도 늦지 않다』, 『잠 못 드는 사람에게 밤은 길고』, 광우편/정목정리 『묘법연화경 한글 독송본』
상훈 불교방송 공로패, 제18회 한국방송대상 사회자상 외 다수
수계제자 현산(玄山)·현동(玄東)·현오(玄悟)·현견(玄見)·현조(玄照)

활동 및 공헌

출가

한국비구니연구소.
사진출처:『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 538
실크로드 순례 중 교하고성의 허물어진 대웅전 터 앞에서]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 540
BBS 불교방송 ‘거룩한 만남 차 한 잔의 선율’ 진행시 스텝들과 함께 한국비구니연구소.
사진출처:『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 541
달라이라마의 일본 법회 후(2004.1)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 542
[정목스님과 은사이신 광우스님]
사진출처 : 법보신문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05640
[정각사 미래탑]
사진출처: 유나방송 http://www.una.or.kr/junggak/intro.php
[유나방송 전경]
사진출처: 유나방송 http://www.una.or.kr/intro/location.php

praina 정목(正牧)스님은 1960년 음력 6월 12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경주이며, 이름은 이신혜이다. 스님은 부처님과 일찍 인연을 맺어 6세 때부터 절에서 자랐다. 그런 영향 때문인지 국민학교 글짓기 시간이나 장래 희망을 이야기할 때면 조금도 망설임 없이 스님이 되겠다고 답하였다. 스님은 중학교를 졸업한 뒤 당연하다는 듯이 삭발을 결심했다. 이에 은사스님이 놀라며 좀 더 커서 하기를 권하였으나 조르다시피 하여 삭발을 하였다. 1976년, 스님의 나이 17세 때였다.

삼선동 정각사에서 광우스님을 은사로 출가한 정목스님은 1980년 해인사 금강계단에서 고암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를 수지했으며, 해인사 삼선암에 주석하시던 성문 큰스님이 노스님이시다.


수학과 포교활동과 삼소회(三笑會)를 창립

정목스님은 1985년 동국대학교 선학과를 졸업하였고, 1990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였다. 스님은 대학에서 공부에 열중하는 한편 포교 일선에도 열정을 쏟았다. 1982년부터 1984년까지 대학생 불교연합회 종로지부 7개 대학 지도법사, 1984년부터 1985년까지 은석국민학교 불교학생회 지도법사, 1986년부터는 서울대병원 지도법사를 역임하였다. 그리고 1988년에는 불교, 천주교, 원불교의 여성 종교인 모임인 삼소회(三笑會)를 창립하는 등 활발하게 활동했다. 또한 1990년부터 1993년에 이르는 동안 전화상담 기관 ‘자비의 전화’를 창립하고 이사를 역임하였다.

불교방송 최초의 승려 MC로 활동

스님의 진가가 유감없이 드러난 것은 1990년 불교방송 최초의 승려 MC로서 ‘차 한 잔의 선율’과 ‘거룩한 만남’을 진행하기 시작하면서부터였다. 스님의 호소력 강한 목소리는 불자는 물론 다른 종교를 믿는 사람들까지 사로잡았다. 마침내 종교인으로서는 처음으로 한국방송대상 사회상 및 방송 프로듀서 연합회 사회상을 수상하는 등 전문 방송인을 뛰어넘는 재능을 인정받았다.

노래 ‘바람 부는 산사’

다재다능한 스님은 방송뿐 아니라 노래로도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지금도 널리 불리고 있는 ‘바람 부는 산사’는 노래는 물론 노랫말까지 직접 지어 음반을 낸 곡이다.


                 바람 부는 산사

       아무것도 없는 종이 위에 산은 그려도
       바람은 바람은 그릴 수 없어
       벽을 향하여 참선하는 님의 모습 그려도
       마음은 마음은 그릴 수 없네
       솔바람이 우우~ 잠을 깨우는
       산사에 바람소리가 들릴 뿐
       마음은 그 어디에도 없어라
       내 영혼 깊은 곳을 적시는
       산사에 바람소리
       산사에 바람소리

       해 저물고 달이 뜬 산사에 가냘픈 촛불이
       바람에 바람에 꺼질듯이 흔들리고
       달빛이 창문에 배이니 소나무 그림자
       파도처럼 파도처럼 출렁이네
       솔 바람이 우~~잠을 깨우는
       산사의 바람소리가 들릴 뿐
       마음은 그 어디에도 없어라
       내 영혼은 깊은 곳을 적시는
       산사의 바람소리
       산사의 바람소리

‘바람 부는 산사’의 가사는 정목스님이 젊은 시절 문경의 심원사라는 작은 절에 머물 때 전기도 들어오지 않고 찾아오는 이도 없는 심심산골 작은 암자에 교교하게 내리비추는 달빛과 문창살에 어른거리는 나무 그림자를 바라보며 쓴 글인데, 훗날 한 작곡가가 노래로 만든 것이다.

서울대병원의 지도법사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한 스님은 1986년에서 1990년까지 서울대병원의 지도법사로 있던 시절에 참으로 많은 것을 체험하였다. 수많은 환자들과 아픔을 함께하면서 인생관과 종교관도 크게 바뀌었다.

끝내 병마를 이기지 못하고 삶을 마감하는 환자들의 허망한 인생을 지켜보면서 스님은 생사가 둘이 아니라는 믿음을 가지면서도 한편으로는 사랑하는 이를 떠나보내는 사람들의 고통을 바라보며 이승과 저승의 이어질 수 없는 간극을 절감하곤 했다. 그렇게 병원 지도법사로서 5년 세월을 보내면서 스스로 겸허해짐은 물론 출가의 본질에 대해 큰 깨달음을 얻었다.

‘자비의 전화’ 상담원

스님은 늘 시간이 모자랄 만큼 바쁜 와중에서도 부족한 잠을 쫓아가며 ‘자비의 전화’ 상담원으로 밤새도록 불자들과 자리를 함께했다. 이 ‘자비의 전화’는 어느 날 갑자기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다. ‘자비의 전화’를 만들기 위해 스님은 ‘사랑의 전화’라는 상담기관의 교육과정을 모두 밟았고 몇 년간 자원봉사를 하며 미리 실무를 익혔다. 그리고 불교에서도 ‘사랑의 전화’ 같은 전화상담 기관을 만들자고 발의하여 창립한 것이 바로 ‘자비의 전화’이며, 정목스님은 창립 멤버로 활동하였다.

불교방송 ‘거룩한 만남

서울대병원 지도법사 이후 미국 유학을 준비하고 있던 스님에게 뜻밖의 인연이 찾아왔다. 바로 불교방송이다. 불교방송의 한 뛰어난 프로듀서가 기획한 프로그램 ‘거룩한 만남’은 특히 정목스님의 개성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훗날 다른 방송사들의 이웃돕기 프로그램의 모태가 되기도 한 이 ‘거룩한 만남’을 통해 스님은 자비와 보시의 참된 정신을 수많은 불자들에게 심어주며 종교의 벽을 뛰어넘는 감동을 세상에 널리 전했다.

‘거룩한 만남’의 사연들은 기구한 내용으로 가득 차 있었다. 주택가에 버려진 옷장이나 이불장에 들어가 사는 집 없는 고양이 아홉 마리에게 먹이를 주며 사는 할아버지 할머니 이야기, 걷지도 못하고 말도 못하는 뇌성마비 지체장애자가 비명 같은 발음으로 ‘어머니 은혜’를 노래 부르는 이야기, 죽음을 눈앞에 둔 노인이 심장병 환자를 보살피고, 걷는 것도 힘겨운 그 노인이 정성을 다해 물을 주며 기르는 두 개의 떡잎 이야기 등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사연들이 가슴 속 깊이 감동의 물결을 자아냈다. 그처럼 어려운 가운데서도 희망을 일구며 사는 이웃들을 위해, 무수히 상처받고 버려진 사람들을 위해 스님은 온 마음으로 위로하고 격려하였다. 그리고 희로애락을 함께 나누며 그들을 껴안고 보듬었다.

은사 광우스님의 가르침

이런 스님에게도 힘겨운 고비가 있었다. 26세 되던 해, 스님은 출가자로 살아가는 자신의 삶에 대해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회의에 빠졌다. 스스로가 구도의 길을 걷기에는 부족한 점이 너무 많다고 생각한 탓에 문득문득 자신의 겉모습을 견뎌낼 수가 없었던 것이다. 차라리 밖으로 나가서 힘껏 일하고 양심껏 벌어 사회에 보탬이 되게 사는 것이 옳은 일이 아닐까 싶었다. 신도들의 시주에 의지하는 것이 죄악으로 느껴진 스님은 은사이신 광우스님에게 자신의 뜻을 밝히며 가사 장삼을 올렸다.

이에 광우스님은 잠시 침묵하다가 이윽고 다음같이 말씀하셨다.

“네가 이곳에서 고통이 있다면 이곳에서 해결해야지. 지금 여기를 떠나 고통을 해결할 곳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땅에서 넘어진 자, 땅을 짚고 일어나는 것이란다.”

갈등과 회의 속에서 고뇌하던 스님은 광우스님의 깊은 애정의 말씀을 듣고 새롭게 마음을 다잡아나갔다. “은사스님의 그 말씀은 무지했던 제 마음의 눈을 뜨게 해주셨고, 지금까지도 소중하게 간직하며 살고 있습니다. 그 후로 출가자로서의 길을 걷는 것을 후회한 일이 없었지요.”

선다암(禪茶庵)과 ‘마음 고요’

1995년 스님은 방송을 비롯한 일체의 대외 활동을 중지하였다. 선다암(禪茶庵)이란 작은 암자에서 수행 정진하던 스님은 2000년 5월 강남구 신사동에 ‘마음 고요’라는 이름의 작은 수행처를 열고 명상과 마음공부를 위한 다양한 수행법을 지도했다.

스님의 저서

스님은 2002년 서간집 『마음고요』을 시작으로『산빛 이야기』, 『마음 밖으로 걸어가라』, 『티벳 사자의 서(오디오북)』, 『오늘은 내 기쁜 생의 첫날』, 『비울수록 가득하네』, [ㅍ 『꽃도 꽃피우기 위해 애를 쓴다』], 『마음아 행복하여라』(공저), 『달팽이가 느려도 늦지 않다』, 『잠 못 드는 사람에게 밤은 길고』, 광우편/정목정리 『묘법연화경 한글 독송본』 등의 책을 썼다. 또 수많은 사람들을 사로잡았던 그 음성으로 CD를 출반하기도 하였는데 〈정목스님이 들려주는 법구-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같이〉와 〈정목스님과 함께 듣는 부모은중경〉은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마음공부전문방송 유나 개설

2007년 오랜 세월 방송 포교를 해온 정목스님은 마음공부의 길을 열기 위해 유나방송의 문을 열었다.

유나는 종교의 벽을 넘어 마음공부를 통해 의식 성장을 추구하는 곳이며 유나 회원들은 각자의 신념과 종교를 존중받으며 동시에 보다 깊고 넓은 정신세계를 지향한다.(출처: 유나 http://www.una.or.kr/intro/intro.php)

정각사 중창

정각사는 1958년 정목 스님의 은사 광우 스님이 ‘누구라도 믿을 수 있는 불교, 누구라도 행할 수 있는 불교, 누구라도 전할 수 있는 불교’라는 기치 아래 창건한 비구니 사찰이다. 정목 스님이 2009년 제2대 주지로 취임하여 광우스님이 40년간 구매해 둔 주변 가옥의 담을 허물고 리모델링하여 하는 등 사찰 면모를 일신하였다. 정목 스님은 도량 전체를 재정비·중창하여 2023년 현재 600평 규모의 가람으로 일구어 놓았다.

성북구 정각사

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jeonggaksa2016
http://www.una.or.kr/junggak/intro.php

서울 성북구 삼선동 정각사는 1958년에 정목스님의 은사이신 광우스님이 창건했다.
2015년 정각사에 조성한 미래탑이 세계 건축상을 수상하였다.

참고자료

시맨틱 데이터

노드 데이터

식별자 범주 유형 표제 한자 웹 주소
정목(正牧)스님 본항목 정목스님(正牧, 1960~ ) 正牧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정목스님(正牧,_1960生,_비구니)

※ 범례

  • 범주: 본항목, 문맥항목
  • 문맥항목 유형: 승려(비구니), 승려(비구), 인물, 단체, 기관/장소, 사건/행사, 물품/도구, 문헌, 작품, 개념/용어,

릴레이션 데이터

항목1 항목2 관계 속성
정목스님(正牧) 계민문중(戒珉) ~의 일원이다
정목스님(正牧) 광우스님(光雨) ~의 수계제자이다
정목스님(正牧) 서울 정각사 ~에서 출가하다
정목스님(正牧) 지관스님(智冠) ~(으)로부터 계를 받다 사미니계
정목스님(正牧) 고암스님(古庵) ~(으)로부터 계를 받다 비구니계
정목스님(正牧) BBS불교방송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프로그램 진행자(차한잔의선율, 거룩한만남)
정목스님(正牧) 불교상담개발원 자비의전화 ~을(를) 건립하다
정목스님(正牧)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지도법사(7개 대학교)
정목스님(正牧) 서울대학교병원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포교법사
정목스님(正牧) 서울 선다암 ~을(를) 창건하다
정목스님(正牧) 마음공부전문방송 유나 ~을(를) 건립하다
정목스님(正牧) 서울 정각사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주지(감원)

한국 비구니 인명사전 데이터 아카이브로 가기

지도

  • 정각사 :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1가 277-8



주석


다른 비구니 스님


대한민국 주요 비구니 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