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大願)스님(신계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대원(大願)스님은 금강산 신계사 법기암에서 주석했으며, 비구니 법기문중의 초조이다. 대원(大願)스님의 생몰연대를 정확히 알지 못하지...)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대원(大願)스님은 금강산 신계사 법기암에서 주석했으며, 비구니 법기문중의 초조이다. 대원(大願)스님의 생몰연대를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스님의 법을 이은 2대 충휴 스님, 3대 처금스님과 창섬스님 등 후계 법손들이 분단 전까지 금강산 법기암을 중심으로 활동했다고 한다. </br> | + | 대원(大願)스님은 [https://www.singyesa.org/ 금강산 신계사] 법기암에서 주석했으며, 비구니 법기문중의 초조이다. 대원(大願)스님의 생몰연대를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스님의 법을 이은 2대 충휴 스님, 3대 처금스님과 창섬스님 등 후계 법손들이 분단 전까지 금강산 법기암을 중심으로 활동했다고 한다. </br> |
대원스님의 법제자인 혜해(慧海)스님은 경주 흥륜사 폐사지를 복원하여 천경림 선원을 개원하였다. 이때 향곡스님과 비구니 원만스님의 원력이 큰 힘이 되었다. | 대원스님의 법제자인 혜해(慧海)스님은 경주 흥륜사 폐사지를 복원하여 천경림 선원을 개원하였다. 이때 향곡스님과 비구니 원만스님의 원력이 큰 힘이 되었다. | ||
'''출처''':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제70호(2022.3)] 《조선후기 금강산 일대의 비구니 암자와 비구니의 활동》, 탁효정(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연구교수). p. 39. 주석. | '''출처''':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제70호(2022.3)] 《조선후기 금강산 일대의 비구니 암자와 비구니의 활동》, 탁효정(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연구교수). p. 39. 주석. | ||
[[분류 : 비구니스님]] | [[분류 : 비구니스님]] |
2024년 3월 13일 (수) 20:37 판
대원(大願)스님은 금강산 신계사 법기암에서 주석했으며, 비구니 법기문중의 초조이다. 대원(大願)스님의 생몰연대를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스님의 법을 이은 2대 충휴 스님, 3대 처금스님과 창섬스님 등 후계 법손들이 분단 전까지 금강산 법기암을 중심으로 활동했다고 한다.
대원스님의 법제자인 혜해(慧海)스님은 경주 흥륜사 폐사지를 복원하여 천경림 선원을 개원하였다. 이때 향곡스님과 비구니 원만스님의 원력이 큰 힘이 되었다.
출처: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제70호(2022.3)] 《조선후기 금강산 일대의 비구니 암자와 비구니의 활동》, 탁효정(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연구교수). p. 39.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