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필균(朴弼均)"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인명사전|대표표제=박필균|한글표제=박필균|한자표제=朴弼均|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인물|유형=정치·행정가/관료/문신|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영조|집필자=박은화|자= 정보(正甫) |호=|봉작=|시호= 장간(章簡) |출신=양반|성별=남자|출생=1685년(숙종 11)|사망=1760년(영조 36) 8월 2일|본관=반남(潘南)|주거지=|묘소소재지=|증조부= 박미(朴瀰) |조부= 박세교(朴世橋) |부= 박태길(朴泰吉) |모_외조=칠원 윤씨(漆原尹氏): 윤선적(尹宣績)의 딸|형제=|처_장인=여주 이씨(驪州李氏) : 이응(李膺)의 딸 →(자녀)1남|자녀=(1자)박사유(朴師愈)|유명자손=|저술문집=|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1066|실록연계=}}
+
{{인명사전|대표표제=박필균|한글표제=박필균|한자표제=朴弼均|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인물|유형=정치·행정가/관료/문신|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영조|집필자=박은화|자= 정보(正甫) |호=|봉작=|시호= 장간(章簡) |출신=양반|성별=남자|출생=1685년(숙종 11)|사망=1760년(영조 36) 8월 2일|본관=반남(潘南)|주거지=|묘소소재지=|증조부= 박미(朴瀰) |조부= 박세교(朴世橋) |부= 박태길(朴泰吉) |모_외조=칠원 윤씨(漆原尹氏): 윤선적(尹宣績)의 딸|형제=|처_장인=여주 이씨(驪州李氏) : 이응(李膺)의 딸 →(자녀)1남|자녀=(1자)박사유(朴師愈)|유명자손=|저술문집=|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1066|실록연계=}}
  
 
=='''총론'''==
 
=='''총론'''==
9번째 줄: 9번째 줄:
 
=='''영조 시대 활동'''==
 
=='''영조 시대 활동'''==
  
그는 어려서부터 종숙부인 박세채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1725년(영조 1) [[정시(庭試)]][[문과(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으며, 그 해 5월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설서(說書)]]가 되었다.[『영조실록(英祖實錄)』영조 1년 5월 17일, 『방목(榜目)』] 1729년(영조 5) 1월 [[예문관(藝文館)]][[봉교(奉敎)]]가 되었다가, 그 해 12월에 삭직(削職)되어 별겸춘추(別兼春秋)에 차출(差出)되었다.[『영조실록』영조 5년 1월 1일, 영조 5년 12월 25일] 1730년(영조 6) 6월 사간원 [[정언(正言)]]이 되었는데, 이 때 그는 양조(兩朝)의 변무(辨誣)와 김창집(金昌集) · 이이명(李頤命)의 신원을 촉구하는 상소를 올렸다.[『영조실록』영조 6년 6월 23일, 영조 6년 8월 19일] 그러나 이것이 사당(私黨)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으면서 그 해 8월에 파직되었으나, 다른 대간들의 비호에 힘입어 1731년(영조 7) 4월 다시 사간원 정언이 되었다.[『영조실록』영조 6년 8월 20일, 영조 6년 8월 30일, 영조 7년 4월 20일]
+
그는 어려서부터 종숙부인 박세채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1725년(영조 1) [[정시(庭試)]][[문과(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으며, 그 해 5월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설서(說書)]]가 되었다.[『영조실록(英祖實錄)』영조 1년 5월 17일, 『방목(榜目)』] 1729년(영조 5) 1월 [[예문관(藝文館)]][[봉교(奉敎)]]가 되었다가, 그 해 12월에 삭직(削職)되어 별겸춘추(別兼春秋)에 차출(差出)되었다.[『영조실록』영조 5년 1월 1일, 영조 5년 12월 25일] 1730년(영조 6) 6월 사간원 [[정언(正言)]]이 되었는데, 이 때 그는 양조(兩朝)의 변무(辨誣)와 김창집(金昌集) · 이이명(李頤命)의 신원을 촉구하는 상소를 올렸다.[『영조실록』영조 6년 6월 23일, 영조 6년 8월 19일] 그러나 이것이 사당(私黨)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으면서 그 해 8월에 파직되었으나, 다른 대간들의 비호에 힘입어 1731년(영조 7) 4월 다시 사간원 정언이 되었다.[『영조실록』영조 6년 8월 20일, 영조 6년 8월 30일, 영조 7년 4월 20일]
  
 
1733년(영조 9) 4월  [[홍문관(弘文館)]][[부수찬(副修撰)]]을 시작으로, 홍문관 [[교리(校理)]]와 사헌부 [[지평(持平)]], 홍문관 [[수찬(修撰)]], 사간원 정언 등을 번갈아 하였다.[『영조실록』영조 9년 4월 4일, 영조 9년 5월 12일, 영조 9년 5월 16일, 영조 10년 1월 4일, 영조 14년 9월 21일] 그러다가 1740년(영조 16) 6월 [[승정원(承政院)]] 예방승지(禮房承旨)를 거쳐, 그 해 8월 승정원 도승지(都承旨)가 되었다.[『영조실록』영조 16년 8월 16일] 1741년(영조 17) 6월 [[의금부(義禁府)]][[동지사(同知事)]]가 되었고, 그 해 8월 경기도관찰사(京畿道觀察使)가 되었으며, 그 해 12월 사간원 대사간이 되었다.[『영조실록』영조 17년 6월 2일, 영조 17년 8월 15일, 영조 17년 12월 1일] 1744년(영조 20) 2월 사헌부 대사헌이 되었다.[『영조실록』영조 20년 2월 28일] 1748년(영조 24) 3월 예조 [[참판(參判)]]이 되었고, 1750년(영조 26) 2월 호조 참판이 되었다.[『영조실록』영조 24년 3월 25일, 영조 26년 2월 25일]
 
1733년(영조 9) 4월  [[홍문관(弘文館)]][[부수찬(副修撰)]]을 시작으로, 홍문관 [[교리(校理)]]와 사헌부 [[지평(持平)]], 홍문관 [[수찬(修撰)]], 사간원 정언 등을 번갈아 하였다.[『영조실록』영조 9년 4월 4일, 영조 9년 5월 12일, 영조 9년 5월 16일, 영조 10년 1월 4일, 영조 14년 9월 21일] 그러다가 1740년(영조 16) 6월 [[승정원(承政院)]] 예방승지(禮房承旨)를 거쳐, 그 해 8월 승정원 도승지(都承旨)가 되었다.[『영조실록』영조 16년 8월 16일] 1741년(영조 17) 6월 [[의금부(義禁府)]][[동지사(同知事)]]가 되었고, 그 해 8월 경기도관찰사(京畿道觀察使)가 되었으며, 그 해 12월 사간원 대사간이 되었다.[『영조실록』영조 17년 6월 2일, 영조 17년 8월 15일, 영조 17년 12월 1일] 1744년(영조 20) 2월 사헌부 대사헌이 되었다.[『영조실록』영조 20년 2월 28일] 1748년(영조 24) 3월 예조 [[참판(參判)]]이 되었고, 1750년(영조 26) 2월 호조 참판이 되었다.[『영조실록』영조 24년 3월 25일, 영조 26년 2월 25일]
21번째 줄: 21번째 줄:
 
=='''후손'''==
 
=='''후손'''==
  
시호는 장간이다. 부인 여주 이씨(驪州李氏)는 이응(李膺)의 딸인데, 자녀는 1남 박사유(朴師愈)를 두었다. 손자는 연암(燕巖)박지원(朴趾源)이다.
+
시호는 장간이다. 부인 여주 이씨(驪州李氏)는 이응(李膺)의 딸인데, 자녀는 1남 박사유(朴師愈)를 두었다. 손자는 연암(燕巖)박지원(朴趾源)이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2018년 1월 9일 (화) 22:45 기준 최신판




총론

[1685년(숙종 11)~1760년(영조 36) = 76세]. 조선 후기 영조(英祖) 때의 문신. 사간원(司諫院)대사간(大司諫)사헌부(司憲府)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다. 시호는 장간(章簡)이고, 자는 정보(正甫)이며, 초명은 박필현(朴弼賢)이다. 본관은 반남(潘南)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아버지는 박태길(朴泰吉)이고, 어머니 칠원 윤씨(漆原尹氏)는 진사(進士)윤선적(尹宣績)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첨정(僉正)박세교(朴世橋)이며, 증조할아버지는 금양군(錦陽君)박미(朴瀰)이고, 증조할머니는 선조(宣祖)의 다섯째 딸 정안옹주(貞安翁主)이다. 박세채(朴世采)가 종숙부이다.

영조 시대 활동

그는 어려서부터 종숙부인 박세채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1725년(영조 1) 정시(庭試)문과(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으며, 그 해 5월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설서(說書)가 되었다.[『영조실록(英祖實錄)』영조 1년 5월 17일, 『방목(榜目)』] 1729년(영조 5) 1월 예문관(藝文館)봉교(奉敎)가 되었다가, 그 해 12월에 삭직(削職)되어 별겸춘추(別兼春秋)에 차출(差出)되었다.[『영조실록』영조 5년 1월 1일, 영조 5년 12월 25일] 1730년(영조 6) 6월 사간원 정언(正言)이 되었는데, 이 때 그는 양조(兩朝)의 변무(辨誣)와 김창집(金昌集) · 이이명(李頤命)의 신원을 촉구하는 상소를 올렸다.[『영조실록』영조 6년 6월 23일, 영조 6년 8월 19일] 그러나 이것이 사당(私黨)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으면서 그 해 8월에 파직되었으나, 다른 대간들의 비호에 힘입어 1731년(영조 7) 4월 다시 사간원 정언이 되었다.[『영조실록』영조 6년 8월 20일, 영조 6년 8월 30일, 영조 7년 4월 20일]

1733년(영조 9) 4월 홍문관(弘文館)부수찬(副修撰)을 시작으로, 홍문관 교리(校理)와 사헌부 지평(持平), 홍문관 수찬(修撰), 사간원 정언 등을 번갈아 하였다.[『영조실록』영조 9년 4월 4일, 영조 9년 5월 12일, 영조 9년 5월 16일, 영조 10년 1월 4일, 영조 14년 9월 21일] 그러다가 1740년(영조 16) 6월 승정원(承政院) 예방승지(禮房承旨)를 거쳐, 그 해 8월 승정원 도승지(都承旨)가 되었다.[『영조실록』영조 16년 8월 16일] 1741년(영조 17) 6월 의금부(義禁府)동지사(同知事)가 되었고, 그 해 8월 경기도관찰사(京畿道觀察使)가 되었으며, 그 해 12월 사간원 대사간이 되었다.[『영조실록』영조 17년 6월 2일, 영조 17년 8월 15일, 영조 17년 12월 1일] 1744년(영조 20) 2월 사헌부 대사헌이 되었다.[『영조실록』영조 20년 2월 28일] 1748년(영조 24) 3월 예조 참판(參判)이 되었고, 1750년(영조 26) 2월 호조 참판이 되었다.[『영조실록』영조 24년 3월 25일, 영조 26년 2월 25일]

1754년(영조 30) 3월 다시 사간원 대사간이 되었는데, 이 때 그는 장헌세자(莊獻世子)의 서연(書筵)을 중지한 잘못과 조정의 언로폐쇄, 과거제의 문란 및 백관들의 기강의 해이함을 진계(陳戒)하는 상소를 올려 인정을 받았다.[『영조실록』영조 30년 3월 22일, 영조 30년 4월 3일] 그는 그 뒤 돈녕부(敦寧府)동지사(同知事)가 되었으며, 1758년(영조 34) 7월에는 중추원(中樞院)지사(知事)가 되었다.[『영조실록』영조 34년 7월 24일] 1760년(영조 36) 8월 2일 세상을 떠났는데, 당시 나이는 76세였다.[『영조실록』영조 36년 8월 2일, 『연암집(燕巖集)』]

성품과 일화

박필균(朴弼均)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성품이 자못 한소(寒素)하여 벼슬에 있을 때 청백리로 알려졌으며, 깨끗한 선비라는 평을 받았다.[『영조실록』영조 36년 8월 2일] 영조는 그의 나이가 많은 것을 불쌍히 여기고 이어서 그의 마음이 편안하고 욕심이 없는 것을 칭찬한 다음, 후한(後漢) 탁무(卓茂)의 고사(故事)를 인용하여 특별히 중추원 지사에 제수하였다.[『영조실록』영조 34년 7월 24일]

후손

시호는 장간이다. 부인 여주 이씨(驪州李氏)는 이응(李膺)의 딸인데, 자녀는 1남 박사유(朴師愈)를 두었다. 손자는 연암(燕巖)박지원(朴趾源)이다.

참고문헌

  • 『영조실록(英祖實錄)』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 『연암집(燕巖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