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광수(鄭光受)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총론

[?~1801(순조 1) = ?]. 조선 후기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천주교도로, <신유박해(辛酉迫害)> 순교자. 자는 여해(與偕)이고, 세례명은 바르나바이다. 거주지는 경기도 여주와 서울이다.

정조~순조 시대 활동

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도곡리 가마실에서 태어난 정광수(鄭光受)는 1791년(정조 15) 권일신(權日身)으로부터 천주교 서적에 대해 배우기 시작하여 세례를 받았다. 1797년(정조 21) 서울의 홍필주(洪弼周) 집에 머물며 중국인 주문모(周文謨) 신부로부터 교리를 배웠는데, 어느 날 김건순(金建淳)에게 쓴 편지를 주문모 신부로부터 전해달라는 부탁을 받고 당시 비신자였던 김건순의 집을 방문하여 천주교를 소개하였다.[『사학징의(邪學懲義)』]

그는 천주교 신자가 아닌 부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웃 마을에 사는 신자 윤운혜(尹雲惠)와 혼인을 하였다. 이들 부부는 제사에 참석하지 않는 등 천주교 교리에 따르는 생활을 하여 집안 식구들과 갈등을 빚다 결국 자유로운 신앙생활을 위해 1799년(정조 23) 서울로 이주하였다. 그리고 서울 벽동(현 종로구 송현동)에 집을 마련하고는 마당 한 켠에 교리공부를 위한 작은 방을 만들었다. 이후 정광수는 주문모 신부를 집에 초청하여 미사를 바치기도 하고, 신자들의 모임 장소로 자신의 집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또한 아들이 태어나자 주문모 신부를 모셔와 유아세례를 받게 하였다.[『사학징의』]

정광수는 양반 집안에서 태어나 학식이 상당했고, 벼슬길에는 나아가지 않았으나 고향인 여주의 선비들과 친분이 깊어 기회가 있을 때마다 고향에 내려가 천주교를 전파하였다. 또한 아내 윤운혜와 함께 예수·마리아의 성상, 성화, 교리서 등을 제작하여 보급하면서 천주교 교리를 전하기도 했는데, 이 같은 방법의 전교는 처음 행해진 일이었다. 후에 이들 집에서는 『첨례단』, 『성경광익』, 『성경직해』, 『성경일과』, 『요리문답』, 『고해요리』, 『묵상지장』, 『성세추요』, 『주교요지』 등의 다양한 종류의 천주교 관련 서적들이 발견되었다.[『사학징의』]

1801년(순조 1) 어린 순조(純祖)를 대신하여 수렴청정을 하던 정순왕후(貞純王后)가 천주교를 사학(邪學)으로 규정하고, 천주교에 대한 금압령을 내리면서 천주교도들을 탄압하는 신유박해가 시작되었다.(『순조실록(純祖實錄)』 1년 1월 10일) 정광수는 사학의 우두머리로 지목되어 즉시 체포령이 내려졌다. 그는 자신을 잡으려는 포졸들을 피해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생활을 하다 더 이상 피하기 어렵다고 느끼고는 9월에 체포되었다. 포도청 심문에서 혹독한 형벌을 받고 배교를 강요받았으나 굴하지 않고 다른 신자를 밀고하는지도 않았다. 형조로 이송되어 사형판결을 받은 정광수는 그해 12월 26일 고향 여주에서 참수형을 받고 사망하였다.(『순조실록』 1년 12월 26일)

참고문헌

  • 『순조실록(純祖實錄)』
  • 『사학징의(邪學懲義)』
  • 한국천주교 주교회의,『하느님의 종 125위 약전』, 2009.
  • 한국교회사연구소 편, 『한국가톨릭대사전』10,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