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산사(積山寺)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면 어은리에 있는 절.

개설

적산사(積山寺)는 처음부터 절로 창건된 것은 아니었고, 조선초기의 문신 이직(李稷)의 옛집을 절로 삼은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소유 전답 문제로 적산사의 승려와 수령들 간에 소란이 일기도 하였다.

내용 및 특징

적산사는 원래 조선전기 문신인 이직의 고택(故宅)이었다. 이직의 본관은 성주(星州)이며, 증조는 정당문학(政堂文學) 이조년(李兆年)이다. 1377년(고려 우왕 3) 16세로 문과에 급제해 경순부(慶順府) 주부(注簿)에 보직되고, 1392년에 이성계(李成桂) 추대에 참여해 지신사(知申事)로서 개국공신 3등이 되고 성산군(星山君)에 봉해졌다. 1415년 황희(黃喜)와 함께 후에 세종이 된 충녕대군(忠寧大君)의 세자 책봉을 반대하다 성주에 안치되기도 하였다. 적산사는 조선시대에도 집을 사찰로 만든 중요한 예가 된다. 1553년(명종 8)에 사찰 소유 전답 문제로 내수사(內需司)와 다툼이 있었다. 사사전답(寺社田畓)을 환추(還推)하는 사이에 내관(內官)과 내수사에서 온갖 방법으로 폐해를 일으키고 백성들의 전답을 함부로 빼앗아 문제가 되었는데, 복천사(福泉寺)와 적산사(積山寺)의 전답으로 성안(成案)한 차지내관(次知內官)을 왕이 파직하라 하자 사헌부에서는 이를 계기로 내관이 내지(內旨)를 받들고 가서 제멋대로 방자하여 함부로 폐해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고 하였다(『명종실록』 8년 3월 5일).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해 왜군이 성주를 점령하자, 적산사의 승려가 왜군에게 정보를 제공해 주었다 하여 성주 지역의 의병들이 적산사를 철폐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권상로, 『한국사찰전서』,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 김영태, 『한국불교사』, 경서원, 2008.
  • 이능화, 『조선불교통사』, 신문관, 1918.
  • 이정, 『한국불교사찰사전』, 불교시대사, 1996.
  • 한우근, 『유교정치와 불교』, 일조각, 1993.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