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선(翊善)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후기 세손의 교육을 담당하던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 소속의 종4품 관원.

개설

전통시대 세자의 교육 및 보도(輔導)를 담당하기 위한 관청 및 관직은 신라 경덕왕 때 동궁아관(東宮衙官)을 두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신라 때부터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전통이 고려시대의 동궁관(東宮官)으로 이어져, 태자의 교육과 관련한 각종 관직명이 등장한다.

익선(翊善)의 경우 『고려사』 「백관지」 ‘동궁관’에 의하면 1308년(고려 충선왕 즉위)에 충선왕이 세자부를 설치하고 정3품의 자의(諮議) 1명, 정5품의 익선 1명, 종5품의 반독(伴讀) 1명, 정6품의 직강(直講) 1명, 종6품의 승(丞) 1명, 종6품의 사직(司直) 1명, 정7품의 기실참군(記室參軍) 2명 등 8명의 교육 관료를 두었을 때 처음 나타난다. 『고려사』 「백관지」 ‘제왕자부’에도 충선왕이 왕자부(王子府)에 정5품의 익선 1명, 종6품의 반독 1명, 종6품의 직강 1명, 정7품의 기실참군 1명 등 4명의 교육 관료를 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충선왕이 즉위하면서 이전의 관제를 개혁할 때 나타난 것인데, 당시 익선은 왕세자와 왕제의 교육을 담당하는 정5품의 관직이었다.

조선 건국 후 익선은 1448년(세종 30) 3월에 세손강서원을 설치하면서 처음 등장한다. 당시 원손이던 단종의 세손 책봉이 4월로 예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미리 강서원을 설치하였다. 이때 강서원에 설치된 좌·우익선은 종4품으로서 고려시대의 익선이 정5품이던 것에 비해 격상되었다. 이는 조선시대에 세자, 왕세손 등 왕실에 대한 교육이 중요시되면서 교육 관련 관직 역시 격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당시 강서원에 설치된 종4품의 좌·우익선은 강서원 관료 중에서 우두머리였다. 이에 따라 조선초기 세손강서원은 익선을 수반으로 하는 종4품 아문으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영조 때 정3품 유선이 세손강서원에 설치되면서 익선은 유선 아래의 관직이 되었다. 반면 세손강서원은 정3품 아문으로 격상되었다. 이 같은 세손시강원의 체제는 거의 그대로 『대전통편』에 수록되었다.

담당 직무

익선은 ‘선을 돕는다.’ 하는 의미이다. 조선시대의 세자는 장차 왕이 될 신분이므로 세자의 제왕학 교육 목표 역시 세자 개인의 선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백성들의 선까지도 개발·육성하는 데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학문과 실천 양쪽에서 뛰어난 학자를 익선으로 임명하고 익선을 세손강서원의 전임관료 중 우두머리로 삼았다. 이로써 어린 세손의 선에 대한 학문적 기초와 실천적 토대를 확립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변천

인조반정 이후 재야의 산림(山林)을 초빙하기 위해 세자시강원에 찬선(贊善), 익선, 자의의 관직을 새로 설치하였는데, 익선은 당하관이었다. 하지만 세자시강원의 익선은 곧 진선(進善)으로 바뀌었다. 익선이 세손강서원에도 있어 서로 혼란스러웠기 때문이었다. 세자시강원의 익선이 진선으로 되면서 익선은 오직 세손강서원에만 소속되었다. 그러다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 때 세손시강원과 보양청은 모두 시강원에 통합되었다. 따라서 갑오개혁 때 익선은 공식적으로는 세자시강원에 소속된 관원이었다. 이때 정원이 1명으로 축소되었다.

대한제국이 선포된 후 1903년(광무 7)에 황태손강서원(皇太孫講書院)이 설치됨으로써 강서원은 시강원에서 독립하였다. 이는 황제 체제에 맞추어 조선시대의 세손시강원을 격상시켜 독립시킨 것이었다. 하지만 황태손강서원에서 익선이란 직명은 사라지고 그 대신 일강관(日講官) 2명, 유덕(諭德)과 부유덕(副諭德) 각 1명, 찬독(贊讀) 2명이 배속되었다. 이에 따라 교육 관료로서의 익선은 공식적으로 1903년에 황태손강서원이 설치되면서 완전히 사라졌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삼국사기(三國史記)』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속대전(續大典)』
  • 『대전통편(大典通編)』
  • 『대전회통(大典會通)』
  • 『강학청일기(講學廳日記)』
  • 『정조강서원일기(正祖講書院日記)』
  • 『시강원지(侍講院志)』
  • 『시강원일기(講書院日記)』
  • 『서도기(書徒記)』
  • 육수화, 『조선시대 왕실교육』, 민속원, 2008.
  • 이기순, 「인조조의 ‘반정공신’ 세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