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구(水口)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룡과 백호의 끝 부분이 서로 만나는 지점으로 명당수(明堂水)가 빠져 나가는 곳을 가리킴.

개설

풍수에서는 수구가 교쇄(交鎖)되었는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그 안에 맺힌 혈이 진혈인가 아닌가를 판별하는 결정적 근거로 본다. 그뿐만 아니라 땅의 귀하고 천함, 역량의 크고 작음이 모두 수구와 관련이 있다. 수구의 구체적 위치는 산세나 산맥이 달리는 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한양의 경우 광희문 부근이 수구였다. 수구가 교쇄되지 않고 벌어져 있는 경우 그 사이에 가산(假山)을 쌓아 이를 보완하기도 한다.

내용 및 특징

수구라는 용어는 조선조 지관 선발 고시과목 가운데 『청오경(靑烏經)』, 『장서(葬書)』에는 등장하지 않으나 『감룡경(撼龍經)』과 『의룡경(疑龍經)』에서는 빈번하게 등장한다. 그만큼 『감룡경』과 『의룡경』에서는 수구를 중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역시 조선조 풍수학 고시과목인 『명산론(明山論)』에서는 수구라는 용어가 한 번 등장하는데, 결혈(結穴) 여부를 파악하는 근거로 본다. 좌향론(坐向論)을 중시하는 『지리신법(地理新法)』에서도 수구라는 용어의 등장 횟수는 많지 않으나 핵심 용어로 쓰이고 있다.

수구의 기능은 외부의 바람을 막아 주고, 혈처에 쌓이는 기가 흩어지지 않고 모이게 하는 장풍(藏風)을 하게 함이다. 따라서 수구가 조여 있지 않고 벌어져 있으면 지기가 빠져나가기 때문에 길지가 될 수 없다는 논리이다. 따라서 결혈 여부를 파악하는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수구는 혈장과 명당을 경계로 하는 국내(局內)에서 가장 낮은 지점에 위치한다고 말할 수 있다. 수구와 무덤, 혹은 수구와 마을 혹은 양기(陽基)와의 거리가 길고 짧음에 따라 명당의 대소 혹은 혈장에 응결된 기의 대소 역량을 파악할 수 있는데, 그 거리가 길면 명당이 넓고, 혈장의 역량이 크다고 말할 수 있다.

수구가 벌어져 있으면 이를 통해 기가 흩어지므로 수구는 반드시 좌우 청룡·백호로 교쇄된 것을 이상으로 여긴다. 그렇지 않으면 재물이 빠져 나가거나 음란한 사람들이 나온다고 한다. 대개 이러한 곳은 가난한 마을이 형성되거나 가난한 사람들이 많이 산다. 수구가 벌어져 있는 경우는 이를 비보(裨補)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이를 총칭하여 수구막이라고 한다.

수구는 청룡·백호의 길이에 따라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로 청룡이 짧고 백호가 길어 백호가 청룡을 안은 듯한 수구를 음수구(陰水口), 둘째로 백호가 짧고 청룡이 길어 청룡이 백호를 둘러싼 듯한 수구를 양수구(陽水口), 끝으로 용호의 길이가 같아서 서로 마주 대한 듯한 수구를 음양합수구(陰陽合水口)라 한다.

수구는 풍수에서만 중시되었던 것이 아니라 홍수나 폭우로 물이 범람할 경우 수구처로 모든 물이 모여들어 그 일대의 주택과 전답에 수재를 일으키기 때문에 도읍지뿐만 아니라 중소대도시 그리고 시골 마을에서까지도 주의와 감시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다.

변천

수구는 조선 건국 초기 도읍지 선정과 관련하여 논쟁의 중심에 놓이기도 했다. 특히 1393년(태조 2) 계룡산 도읍지와 관련하여 수구의 위치와 그로 인한 길흉에 대한 논의가 일어 공사가 중단될 정도로 중요한 화두였다(『태조실록』 2년 12월 11일). 또 새로운 왕릉을 선정할 당시 수구에 대한 논의가 빈번하였다. 수구가 다시 한 번 주의를 끌게 된 것은 임진왜란 직후이다. 1599년(선조 32) 의주까지 피난을 갔다가 되돌아온 선조는 이러한 비극이 생긴 원인이 도성의 수구가 벌어져서 지기가 빠져 나갔기 때문이라고 하여 일종의 비보풍수를 행하게 한다(『선조실록』 32년 7월 14일). 그 결과물이 흥인지문 밖에 세워진 관왕묘이다. 가산 쌓기, 식재, 사당 세우기 등으로 수구의 허한 곳을 보완할 수 있다는 것이 비보풍수설이다. 이후 국가 차원에서의 수구에 대한 관심은 옅어지고 시골 마을에서만 그 흔적이 수구막이 형태로 남아 있다.

참고문헌

  • 김두규, 『풍수학 사전』, 비봉출판사, 2005.
  • 양균송 저·김두규 교감역주, 『감룡경·의룡경』, 비봉출판사, 2009.
  • 이중환 저·이익성 역, 『택리지』, 을유문화사, 1993.
  • 채성우 저·김두규 역해, 『명산론』, 비봉출판사, 2002.
  • 최창조 역주, 『청오경·금낭경』, 민음사, 1993.
  • 호순신 저·김두규 역해, 『지리신법』, 비봉출판사, 2004.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