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정기산(大正氣散)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풍사, 한사, 서사(暑邪) 등 외사에 의하여 창만이 생기고, 열이 나고 오슬오슬 추우면서 속이 메스꺼울 때 사용하는 처방.

개설

대정기산(大正氣散)은 깊은 산속 음습한 곳의 나쁜 기운[瘴氣]에 손상되어 한열이 왕래하거나, 풍한서습(風寒暑濕)에 손상되어 복부가 창만(脹滿)한 증세를 치료한다고 되어 있다. 특히 허한 것을 보하고 기를 윤활하게 하고 복부와 가슴의 답답함과 통증을 치료한다. 『의방유취』「학질」조에 대정기산은 깊은 산속의 나쁜 기운에 손상되어 한열이 발작하면서 학질이 되는 증상을 치료한다고 했고, 「창만」조에는 풍한서습(風寒暑濕)에 손상되어 복부가 창만한 증세를 치료한다고 했다. 대정기산은 허한 것을 보하고 기를 잘 돌게 하고 복부와 가슴의 통증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고 했다. 15세기의 『구급이해방』「창만(脹滿)」조에는 가슴이 답답하고 소화가 되지 않은 채 배가 불러 음식을 꺼리는 증세를 치료한다고 했다. 16세기의 『의림촬요』에는 대정기산이 비위가 약한데다가 풍한습기(風寒濕氣)에 손상되어 복부가 팽창하고 음식을 멀리하는 증상을 치료한다고 소개하였다. 『동의보감』에도 창만통치약(脹滿通治藥)의 한가지로 대정기산을 추천하였다.

제조법

백출(白朮)·창출(蒼朮)·진피(陳皮)·후박(厚朴)·곽향(藿香)·반하(半夏) 각 1돈[錢], 지각(枳殼)·빈랑(檳榔) 각 7푼[分], 계지(桂枝)·건강(乾薑)·감초(甘草) 각 5푼, 생강(生薑) 5편, 대조(大棗) 2개를 물에 달여서 먹는다.

효능

풍사(風邪)나 한사(寒邪) 등 외기에 손상되어 복부가 창만한 증상을 치료한다.

생활·민속 관련 사항

조선시대에 대정기산은 주로 외사(外邪)로 인한 복부 팽만감을 치료하는 약물로 처방되었다. 온천욕 치료를 위해 휴가를 요청한 김흔이 평해 온천에서 목욕을 마치고 영천에 머물고 있었는데, 성종이 환후를 묻고 강활유풍탕(姜活愈風湯)과 대정기산을 하사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성종실록』 20년 2월 8일).

참고문헌

  • 『의방유취(醫方類聚)』
  • 『구급이해방(救急易解方)』
  • 『동의보감(東醫寶鑑)』
  • 『의림촬요(醫林撮要)』
  • 『인제지(仁濟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