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출(白朮)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삽주(Atractylodes ovata) 또는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의 뿌리줄기를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후 햇볕에 말린 것.

개설

백출(白朮)이라는 이름에서 ‘백(白)’은 뿌리의 색이 희다는 뜻이고 ‘출(朮)’은 탁(濁)하다는 뜻이다. 즉, 백출은 뿌리의 빛이 희고 형상이 혼탁(混濁)해 보인다는 의미를 갖는 약재이다. 비위 기능을 좋게 해서 전신의 기운을 북돋워 주고[健脾益氣], 체내의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해 주며[燥濕利水], 땀이 많이 나오는 것을 그치게 하고, 임신 중에 태아의 상태를 안정시켜 주는[止汗安胎] 등의 효능이 있다.

산지 및 유통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황해도, 함길도, 평안도에서 생산되는 토산물이다.

약재화 방식 및 효능

음력 2~3월과 8~9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풍(風), 한(寒), 습(濕)으로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 군살, 팔다리가 굳고 마비되는 증상, 황달(黃疸) 등을 치료한다. 땀이 나는 것을 멈추게 하며 열을 내리고 음식을 소화시킨다. 몸과 얼굴이 마비되는 것, 풍사(風邪)로 어지러우면서 머리가 아픈 것, 눈물이 나오는 것 등을 치료한다. 몸속의 덩어리와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하며, 피부가 부어오르는 증상, 명치 밑이 땅기면서 그득한 것, 곽란(霍亂)으로 토하고 설사가 멎지 않는 것 등도 치료한다. 허리와 배꼽에 피가 잘 돌게 하고 진액(津液)을 생기게 하며 위를 따뜻하게 해 주고 소화가 잘되게 하면서 식욕을 돋운다. 장기간 먹으면 몸이 거뜬해지고 오래 살며 배고픔을 모른다. 허리와 무릎을 튼튼하게 하고 담을 삭이며 부은 것을 내리고 소변을 잘 누게 한다. 위가 뒤집힐 듯이 아픈 증상, 구역(嘔逆), 근골이 연약한 것, 몸속에 생긴 덩어리, 기운이 뭉친 것, 부인이 냉으로 몸 여기저기 뭉친 덩어리가 잡히는 것, 각종 전염병으로 인한 증상, 음습한 환경에서 생긴 병, 가슴이 답답한 증상 등을 치료한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 의하면 옛날 중국 남북조시대의 명의인 유연자(劉涓子)는 뿌리를 캐어 좋은 것으로 환약을 만들어 먹고 장수하였는데 약의 이름을 수중금환이라 하였다고 한다. 일반적으로는 달여서 먹는다는 기록도 있다. 가장 오래된 약초 전문서인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는 삽주[朮]와 흰 삽주[白朮]의 구분이 없었는데, 근래 와서 흰 삽주를 많이 쓴다고 하였다. 흰 삽주는 피부 속에 있는 풍을 없애며 땀을 멎게 하고 위(胃)를 보하며 중초(中焦)를 고르게 한다고 하여 백출의 기원에 대해 기록하였다. 이처럼 『신농본초경』에는 창출(蒼朮)과 백출(白朮)을 구분 없이 출(朮)이라 하였으나 『명의별록(名醫別錄)』부터 이를 구분하여 쓰기 시작했다.

참고문헌

  • 『명의별록(名醫別錄)』
  •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 『동의보감(東醫寶鑑)』
  •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방제학교실, 『(운곡)한약재의 기원 및 산지 총람』, 한국학술정보, 2009.
  • 이시진, 『(신주해)본초강목 1~15』, 여일출판사, 2007.
  • 동양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편, 『동양의학대사전』, 경희대학교출판국, 1999.
  • 江蘇新醫學院, 『中藥大辭典』, 上海科學技術出版社,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