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첩(權怗)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총론

[1573년(선조6)∼1629년(인조7) = 57세]. 조선 중기 광해군~인조 때 활동한 문신. 자는 정오(靜吾)이고, 호는 동리(東里)이다.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병조 판서권징(權徵)의 아들이고 이효언(李孝彦)의 외손자이다. 또 김집(金濈)의 사위이며 백호(白湖)윤휴(尹鑴)의 장인이다.

광해군 시대 외교 활동

1616년(광해군8) 증광(增廣) 문과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에 임명되었고, 영건도감(營建都監)의 일을 맡아 보았다. 호조 · 예조 낭관(郎官)을 거쳐, 영건도감 도청(都廳)으로 승진하여 토목 영선(營繕)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당시 조선의 국내 정세는 1618년(광해군10)의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위>를 둘러싸고 매우 혼란하였다. 또 국제 정세는, 누르하치가 만주의 여진족(女眞族)을 통일하여 1616년(광해군8) 후금(後金)을 세우고 중국과 한반도로 침입하려고 하였으므로 매우 불안한 상황이었다. 그런 가운데, 1622년(광해군12) 명(明)나라 패잔병 모문룡(毛文龍)이 명나라 유민(流民)을 이끌고 와서 평안도 철산(鐵山) 앞바다의 가도(椵島: 피도)를 무단 점거하였다. 그리고, 조선과 힘을 합쳐 후금에게 빼앗긴 만주 땅을 회복하려고 하면서 조선에게 군량미와 무기를 요구하였다. 명나라와 후금 사이에서 실리적 외교를 추구하던 광해군은 권첩을 평안도 선천부사(宣川府使)로 특별히 임명하여, 모문룡의 문제를 적절하게 대처해 서북 지방의 불안을 없애도록 하였다.

인조 시대 외교 활동

1623년(인조1) <인조반정(仁祖反正)>이 일어난 이후에 인조는 친명(親明) 노선을 취하고 후금을 배척하였다. 권첩은 선천부사에서 물러나 1624년(인조2) 호조 참의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 주청사(奏請使)의 부사가 되어, 정사이덕형(李德馨)과 함께 해로(海路)로 중국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승진하여 황해도관찰사로 나갔으며, 장예원(掌隸院)판사(判事)를 역임하였다.

1627년(인조5) 후금이 침입하여 <정묘호란(丁卯胡亂)>이 일어나자, 권첩은 강화도로 피난을 떠나는 인조를 호종하였고 이어 주문사(奏聞使)가 되어 다시 해로로 중국 명나라에 가서 후금의 침입을 알렸다. 한편, 해로로 명나라를 다녀오려면 모문룡의 가도를 지나야 하는데, 1624년과 1627년 명나라에 다녀오면서 권첩은 가도의 모문룡을 만났을 가능성이 있다. 사실 모문룡 문제는 조선과 명나라 · 청나라(후금) 모두에게 골칫거리였다. 조선과 명나라는 모문룡이 과대한 군수 물자를 요구하고 중개 무역의 폭리를 취하는 데에 시달렸고, 청나라는 모문룡의 후방 기습 게릴라전을 두려워하였다. <병자호란(丙子胡亂)>에서 청나라가 조선을 침입한 구실의 하나가 모문룡을 제거하는 일이었다. 그 뒤 모문룡은 명나라 원숭환(袁崇煥) 장군에게 붙잡혀서 처형당하였다.

1628년(인조6) 명나라에서 돌아온 후, 경주부윤(慶州府尹)이 되었는데, 병이 나서 1629년(인조7)년 경주 관아에서 죽으니, 향년 57세이다.

묘소와 비문

묘소는 경기도 광주(廣州) 둔퇴리(遁退里) 선산(先山)에 있으며, 유계(兪棨)가 지은 비명(碑銘)이 남아 있다.(『시남집(市南集)』 권23)

관력, 행적

참고문헌

  • 『인조실록(仁祖實錄)』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시남집(市南集)』
  • 『계곡집(谿谷集)』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백호전집(白湖全集)』
  • 『백헌집(白軒集)』
  • 『용주유고(龍洲遺稿)』
  • 『연암집(燕巖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