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기악기도감의궤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1624년(仁祖 2) 3월부터 11월에 걸쳐 祭器樂器都監에서 祭器·祭服·樂器·儀仗 등을 만든 기록이다. 目錄은 없으며, 내용은 啓辭·座目·稟目·都廳分房(一房, 二房, 三房) 순으로 기록되어 있다. <座目>에 의하면 都提調에 領議政 李元翼, 左議政 尹昉, 提調에 李廷龜 등 5인, 郎廳에 李忔 등이다. 같은 해 3월 13일에는 差官을 接宴할 때 필요한 각종의 風物과 舞章에 소용되는 것을 만들기 위하여 樂器廳이 설치되는데, 4월 22일에는 宗廟祭器 중에서 파괴·산실된 것도 아울러 만들 것이 결정되어서, 都監의 칭호도 祭器樂器都監으로 바뀌었다. 재정적인 문제로 그해 가을로 연기되어, 8월 1일부터 3방으로 나누어 일을 시작하여 11월 17일에 끝마친다. 4월 25일에는 祭器樂器造成都監事目이 기록되어있다. 都廳은 세 房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一房에서 祭器와 鑄鍾, 二房에서는 祭服과 儀仗, 三房에서는 樂器와 儀杖을 담당하였다. 各房에는 所掌 물품에 대한 圖式이 있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제기악기도감의궤 Record 의궤 의궤 제기악기도감의궤(祭器樂器都監儀軌) 제기악기도감의궤 祭器樂器都監儀軌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제기악기도감의궤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제기악기도감의궤
주제
작성주체 제기악기도감
의례담당자
작성지역 刊地未詳
작성시기 1624년(仁祖 2) 3월부터 11월
소장처(원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판본 筆寫本/ 제기악기도감의궤_奎13734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1冊 92張, 圖
크기 46.4×34.3cm
도설
반차도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제기악기도감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currentLocation
사직서의궤 제기악기도감의궤 isRelatedTo
제기악기도감의궤 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 isRelatedTo
제기악기도감의궤 제기도감의궤 isRelatedTo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祭器樂器都監儀軌 제기악기도감의궤(奎13734) 해제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3734_00&notes=basic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김종수 책임번역, 『국역 제기악기도감의궤』, 민속원, 2020.
김문식·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한형주, 『종묘와 궁묘』, 민속원, 2016.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강문식·이현진, 『종묘와 사직』, 책과함께, 2011.
강문식, 「肅宗∼正祖代 社稷 제도 정비와 『社稷署儀軌』 편찬」, 『조선시대 문화사(상)』, 일지사, 2007.
박재영, 「국토와 오곡의 신을 모신 사직의 기록문화유산」, 『사직서의궤』, 한국고전번역원, 2012.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국립고궁박물관, 2014.
궁중유물전시관, 『종묘대제문물』, 궁중유물전시관, 2004.

Notes

  1. "제기악기도감의궤(奎13734) 해제",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online,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