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기도감의궤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1611년(光海君 3) 9월부터 1612년 11월에 걸쳐 祭器都監에서 永寧殿·宗廟·各陵의 祭器를 만들 때의 기록이다. 目錄은 없으며, 내용은 啓辭·座目·來關·甘結·都監單子·圖說·都廳分所·備忘記·書啓·論賞·儀軌 순으로 기록되어 있다. <座目>에 의하면, 都提調에 右議政 李恒福, 提調에 申釣 등 4인, 都廳에 任充 등 2인, 郎廳에 趙緯韓 등이다. 1611년 8월 24일 入侍時에 健元陵·顯陵의 親祭 및 遣重臣行祭時에 필요한 祭器를 만들면서 亂後 미치지 못한 각 陵의 祭器를 만들 것이 결정되었고, 9월 9일에는 都監 설치가 결정되었다. 健元陵·齊陵·厚陵·獻陵·英陵·顯陵·光陵·敬陵·昌陵·恭陵·宣陵·順陵·靖陵·禧陵·泰陵·孝陵·康陵·穆陵·裕陵·成陵의 祭器는 1612년 6월 25일에 완성되어 나누어 주었으며, 永寧殿·宗廟·社稷의 祭器는 같은 해 8월 26일에 완성되었다. <啓辭>에는 都監事目, 埋炭時應行諸事, 揚州地設爐治鑄成時應行諸事, 永寧殿·宗廟의 祭器圖와 社稷의 祭器圖 등이 있다. <圖說>에는 각종의 彝·尊·鼎을 비롯하여서 여러 가지 祭器圖가 있다. 都廳은 4所로 나누어 있는데, 1所에서는 權爐器, 2所에서는 小權爐器, 3所에서는 銀鍮銅器, 4所에서는 各色木器를 담당하였다.[1]

1611년 9월부터 1612년 11월까지 제기도감을 설치하여 영녕전·종묘·사직 및 각 능의 제기를 만들 때 필요한 의식과 절차를 기록한 의궤. 1책(131장).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이 의궤는 계사(啓辭)·좌목(座目)·내관(來關)·감결(甘結)·도감단자(都監單子)·도설(圖說)·도청분소(都廳分所)·비망기·서계(書啓)·논상(論賞)·의궤 등의 순으로 수록되어 있다.「계사」에는 도감의 소임을 규정한 사목(事目), 매탄(埋炭)할 때의 절차와 채비, 양주에 설치한 가마(爐冶)에서 제기를 주성(鑄成)할 때의 세부 사항들이 기록되어 있다.「좌목」에는 도감의 구성 인원을 명시하고 있는데 도제조에 우의정 이항복(李恒福), 제조에 신조(申釣) 등 4인, 도청에 임충(任充) 등 2인, 낭청에 조위한(趙緯韓) 등으로 되어 있다.「도설」에는 이(彝)·준(尊)·정(鼎)을 비롯해 여러 가지 제기를 그린 그림이 있는데, 영녕전·종묘·사직·능의 제기도로 각각 구별되어 있다.「도청분소」는 네 곳으로 나누어 도청의 업무 분장 상황이 수록되어 있다. 첫 번째 소에서는 권로기(權爐器), 두 번째 소에서는 작은 권로기, 세 번째 소에서는 은유동기(銀鍮銅器), 네 번째 소에서는 여러 가지 목기를 담당하였다.『제기도감의궤』로는 이 밖에 1604년(선조 37) 10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 사직·종묘·영녕전·교경전(敎敬殿)·문묘의 제기를 만들 때의 기록인 『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社稷宗廟文廟祭器都監儀軌)』 1책(43장) 필사본과 1624년(인조 2) 3월부터 11월까지 제기악기도감(祭器樂器都監)을 설치, 제기·제복·악기·의장 등을 함께 만든 기록인 『제기악기도감의궤(祭器樂器都監儀軌)』 1책(92장) 필사본이 있다.이 경우에도 도감의 구성원 명단이 수록된 좌목이 있는데, 도제조에는 대개 영의정·좌의정 등 정1품의 관직에 있는 사람들을 임명하고 있어 제기의 조성이 국가적인 중대사로 다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제기도감의궤 Record 의궤 의궤 제기도감의궤(祭器都監儀軌) 제기도감의궤 제기도감의궤祭器都監儀軌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제기도감의궤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제기도감의궤
주제
작성주체 제기도감
의례담당자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611년 9월부터 1612년 11월까지
소장처(원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1책 131장
크기
도설
반차도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제기도감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currentLocation
사직서의궤 제기도감의궤 isRelatedTo
제기도감의궤 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 isRelatedTo
제기도감의궤 제기악기도감의궤 isRelatedTo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祭器都監儀軌 제기도감의궤(奎14931) 해제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931_00&notes=basic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제기도감의궤(祭器都監儀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1249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김종수 책임번역, 『국역 제기악기도감의궤』, 민속원, 2020.
김문식·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한형주, 『종묘와 궁묘』, 민속원, 2016.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강문식·이현진, 『종묘와 사직』, 책과함께, 2011.
강문식, 「肅宗∼正祖代 社稷 제도 정비와 『社稷署儀軌』 편찬」, 『조선시대 문화사(상)』, 일지사, 2007.
박재영, 「국토와 오곡의 신을 모신 사직의 기록문화유산」, 『사직서의궤』, 한국고전번역원, 2012.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국립고궁박물관, 2014.
궁중유물전시관, 『종묘대제문물』, 궁중유물전시관, 2004.

Notes

  1. "제기도감의궤(奎14931) 해제",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online,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 이민식, "제기도감의궤(祭器都監儀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