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장복 중단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0 3D모델-복식

Definition

면복 중단은 조선시대의 왕, 왕세자, 왕세손과 대한제국 황제, 황태자가 제례나 책례, 가례 등 중요한 의례를 행할 때 면복 상의 안에 받쳐 입던 옷이다.[1] 황태자와 왕의 면복 중단은 깃에 불문(黻紋) 11개를 그려넣는다.[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구장복_중단 Clothing 복식 구장복 중단(九章服 中單) 구장복 중단 九章服 中單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구장복_중단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구장복_중단
대표명칭 구장복 중단
한자표기 九章服 中單
이칭/별칭 면복 중단(冕服 中單), 중의(中衣)
구분
착용신분 황태자, 왕
착용성별 남성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3d-구장복_중단 구장복_중단 hasReferenceNote
구장복_중단 3d-구장복_중단 isShownBy
왕의_대례복 구장복_중단 hasPart
왕의_대례복-제례 구장복_중단 hasPart
황태자의_대례복 구장복_중단 hasPart
황태자의_대례복-제례 구장복_중단 hasPart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 조선왕실복식』, 국립고궁박물관, 2013, 33쪽. 3d-구장복_중단 documents
  • 3D 모델링 사이즈는 국립고궁박물관의 복제품 사이즈를 참고.
  • 일러스트 위에 3D 제작에 필요한 추가 정보 표기.
  • 길이 122.5cm, 화장 95cm, 뒤품 46cm
  • 깃에 그려진 불문(黻紋) 한 개의 크기는 가로 6cm, 세로 6.8cm 이다.[3]
  • 면복 상의와 중단의 길이 차이는 밑단의 검은색 도련선 너비 만큼 제작한다.
  • 면복 중단의 길이가 상의의 길이 보다 길다.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AKS Encyves 면복 중단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중단(왕실남성)
해설 위키실록사전 중의(中衣)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중의(中衣)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중단(中單)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188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중단(中單)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3714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고광림:1990:한국의관복 단행본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0.
ISBN:9788963259857 단행본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 조선왕실복식』, 국립고궁박물관, 2013.
RISS:T834144 논문 김명숙, 「조선시대 면복의 고찰 -국장도감의궤 복완도설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RISS http://www.riss.kr/link?id=T834144
RISS:A102252969 논문 김명숙, 「조선후기 면복의 변천 -국장도감의궤 복완도설을 통한 고찰-」, 『복식』 7, 한국복식학회, 1983. RISS http://www.riss.kr/link?id=A102252969
RISS:T801686 논문 유희경, 「면복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 면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RISS http://www.riss.kr/link?id=T801686
ISBN:9788971059319 단행본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KCI 논문 이은진ㆍ조효진, 「조선 말기 왕실복식 소재에 관한 연구 -영왕가 직물무늬의 유형 및 명칭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11-3, 한복문화학회, 2008.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04706
RISS:A102253010 논문 인윤실, 「조선왕조시대 금박에 관한 연구」, 『복식』 2, 한국복식학회, 1978. RISS http://www.riss.kr/link?id=A102253010
ISBN:9788954635967 단행본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ISBN:9788936311650 단행본 홍나영·신혜성·이은진,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46쪽.
  2. 『國朝五禮儀序例』 卷1 「吉禮」'祭服圖說'
  3. 박서림, 「갑사 구장복의 장문 복원모사 연구」, 『한국복식』 38,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7, 36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