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척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성벽이나 궁궐 등을 건축할 때 주로 사용한 자로, 곡척(曲尺)·대척(大尺)·금척(金尺) 등으로도 불렸다. 주로 목수들이 사용하였으며, 가옥과 성벽, 봉화(烽火), 사직단(社稷壇), 산릉(山陵)·능실(陵室) 등의 축조와 형구(刑具) 제작, 되(升)와 말(斗) 등의 양기(量器)를 만들 때 표준척으로 사용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영조척 Object 물품 측량도구 영조척(營造尺) 영조척 營造尺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영조척

Additional Attributes

  • [[틀: ]]
propertyName value
id 영조척
제작 조선시대
재질 황동(놋쇠)
길이 30.7 cm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영조척 자-尺 type
영조척 곡척 sameAs
영조척 대척 sameAs
영조척 금척 sameAs
경국대전 영조척 documents
영조척 국립고궁박물관 currentLocation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국립고궁박물관 영조척 documents
  • 놋쇠,가로: 1.2cm, 세로: 30.6cm
  • 표면이 곡면이며, 윗부분에 구멍이 있다. (두께는 임의판단)
영조척 앞면 창덕26770.jpg
영조척(창덕26770) 앞면
국립고궁박물관 영조척 documents
  • 뒷면에 '營造尺'이라고 새겨져 있음
영조척 뒷면 창덕26770.jpg
영조척(창덕26770) 뒷면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영조척(營造尺)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7677
해설 다음백과사전 영조척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15a4039a
해설 조선왕조실록사전 영조척(營造尺)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4699
해설 조선왕조실록사전위키 영조척(營造尺)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C%98%81%EC%A1%B0%EC%B2%99(%E7%87%9F%E9%80%A0%E5%B0%BA)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도량형 신유문화사, 1997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개관도록 (주)눌와, 2005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