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조선 순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영상)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한글팀 조선 순종.jpg
+
|사진=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순종 어진 복원모사도.jp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조선 순종
 
|대표명칭=조선 순종
20번째 줄: 21번째 줄:
 
|배우자=
 
|배우자=
 
|부=[[조선 고종 | 고종]]
 
|부=[[조선 고종 | 고종]]
|모=[[명성왕후]]
+
|모=[[명성황후]]
 
|자녀=
 
|자녀=
 
|전임자=고종
 
|전임자=고종
32번째 줄: 33번째 줄:
 
순종(純宗, 1874~1926)은 조선의 왕이자 대한제국의 황제이다.  
 
순종(純宗, 1874~1926)은 조선의 왕이자 대한제국의 황제이다.  
  
 +
==내용==
 +
===출생과 성장과정===
 +
순종은 1874년(고종 11) 2월 8일 창덕궁의 관물헌(觀物軒)에서 [[조선 고종 | 고종(高宗)]]과 [[명성황후 | 명성황후(明成皇后, 閔妃)]]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름은 척(坧), 자는 군방(君邦)이며, 호는 정헌(正軒)이다. 태어난 지 1년째인 1875년(고종 12) 2월 18일 [[창덕궁 인정전]](昌德宮 仁政殿)에서 순종의 세자 책봉의식이 거행되었다. 5세때는 [[민태호]]의 양자인 [[민영환]]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며 9세가 되던 1882년(고종 19) 1월 10일 작헌례(酌獻禮)를 거행하는 한편 15일에는 관례를 치루었다. 관례를 치룸과 동시에 세자빈 간택에 들어갔으며 찬성(左贊成) 민태호(閔台鎬)의 딸을 2월 19일 세자빈으로 책봉하여 [[덕수궁 함녕전]]에서 [[순정 순명효황후 가례 | 가례]]를 행하였다. 민태호의 딸이 바로 훗날 [[순명효황후 | 순명효황후(純明孝皇后)]]이다.<ref>정상우"[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76 순종(조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이후 어린 순종과 순명효황후의 교육을 [[김상덕]]이 맡았다.
 +
 +
===대한제국 선포와 순종 황제의 즉위===
 +
====대한제국 선포와 순명효황후의 죽음====
 +
명성황후가 시해된 [[을미사변]] 이후 러시아 공사관에서 머물던 고종이 1897년 경운궁(慶運宮, [[덕수궁]](德壽宮))으로 환어하여 황제에 올라 대한제국을 선포함에 따라 순종은 황태자로, 세자빈은 황태자비로 책봉되었다. 그렇지만 황태자비는 1904년(광무 8) 11월 5일 세상을 떠났으며, 이에 2년 후인 1906년(광무 10) [[윤택영 | 윤택영(尹澤榮)]]의 딸을 태자비로 정하고, 이듬해 초 황태자비로 책봉하였으니, 바로 훗날의 [[순정효황후 | 순정효황후(純貞孝皇后)]]이다.<ref>정상우"[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76 순종(조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대한제국 제 2대 황제로 즉위====
 +
고종이 [[을사늑약]]의 불법성을 알리기 위해 벌인 [[헤이그 특사]] 파견 사건으로 인해 양위를 강요당했다. 고종은 어쩔 수없이 황위를 순종에게 대리하라는 명을 내렸고 1907년 7월 19일 순종은 고종을 대신해 대리청정(代理聽政)을 시작하였으며, 1907년 8월 27일 [[덕수궁 돈덕전]](惇德殿)에 나아가 황제즉위식을 거행하였다. 호는 융희(隆熙)로 정하였다. 황제즉위식이 결정되고 난 8월 7일에는 귀비 엄씨(貴妃 嚴氏)의 아들로 순종에게는 이복동생인 [[영친왕 이은 | 영친왕(英親王) 이은(李垠)]]을 황태자로 책봉하기로 하고, 한 달 후인 9월 7일 이를 선포하여 만방에 알렸다.<ref>정상우"[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76 순종(조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국권 파탈과 최후===
 +
====기유각서의 채결====
 +
1909년 7월 12일 대한제국의 사법과 감옥 업무를 일본정부에게 위탁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기유각서 | 기유각서(己酉覺書)]]가 체결되었다. [[이완용]]과 2대 통감이었던 소네 아라스케(曾禰荒助) 사이에 교환된 이 각서에 의해 대한제국의 법부(法部)와 재판소는 사라지고 통감부의 사법청에서 그 사무를 대신하게 되었을 뿐만이 아니라 감옥 사무 역시 일본인들이 장악하게 되었다. 이는 일본인들이 의병을 비롯한 항일 운동이나 반일적인 행위들을 강력하게 규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일본인들의 불법적인 경제적․사회적 약탈에 대해서 면죄부를 줄 수도 있게 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ref>정상우"[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76 순종(조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한일합병조약의 채결====
 +
결국 융희 4년(1910년) 8월 22일 [[한일합병조약 | 한일합병조약(韓日合拼條約)]]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순종이 아닌 이완용과 당시 통감으로 조선에 주재하던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 사이에서 비밀리에 진행된 것이었다. 조약의 제 1조와 2조에는 한국 황제는 한국 전체에 관한 일체 통치권을 완전히 그리고 또 영구히 일본 황제에게 넘겨준다는 것과 일본 황제는 완전히 한국을 일본 제국에 병합하는 것을 승낙한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으며, 이로서 519년간 유지되어 온 조선왕조는 종언을 고하고, 식민지로 전락해 버렸다.
 +
====말년====
 +
제위에서 물러난 후 이왕으로 격하된 순종은 만년을 창덕궁에서 고독하게 보냈다. 51세가 되던 1924년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갈 나이가 되어 이를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지만, 이로부터 2년이 지난 1926년 4월 25일 창덕궁 대조전(昌德宮 大造殿)에서 53세를 일기로 승하하였으며, 남양주시 금곡의 유릉(裕陵)에 안장되었다. <ref>정상우"[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76 순종(조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내용==
 
==내용==
 
===출생과 성장과정===
 
===출생과 성장과정===
38번째 줄: 58번째 줄:
 
===을미사변과 혼란스러운 국내외 정세===
 
===을미사변과 혼란스러운 국내외 정세===
 
*을미사변과 명성황후의 죽음
 
*을미사변과 명성황후의 죽음
서구 열강의 침략에 따라 정변이 계속되며 순종의 처지 역시 순탄할 수만은 없었다. 특히 순종 개인의 인생에 가장 큰 상처를 남긴 것은 22세에 닥친 어머니 시해, [[을미사변]]이었다. 사변 이후 고종은 일본의 압력으로 왕후 민씨를 폐서인(廢庶人)으로 한다는 조령을 내지자 왕태자였던 순종은 상소문을 올려 태자의 자리를 사양하였고, 이에 고종은 곧바로 왕태자의 정성과 효성을 생각하여 폐서인시킨 왕후에게 빈(嬪)의 칭호를 내렸다.<ref>정상우"[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76 순종(조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서구 열강의 침략에 따라 정변이 계속되며 순종의 처지 역시 순탄할 수만은 없었다. 특히 순종 개인의 인생에 가장 큰 상처를 남긴 것은 22세에 닥친 어머니 시해, [[을미사변]]이었다. 당시 세자빈이었던 [[순명효황후]]는 명성황후의 앞을 가로막다 일본군에 의해 넘어져 허리를 다쳤다. 사변 이후 고종은 일본의 압력으로 왕후 민씨를 폐서인(廢庶人)으로 한다는 조령을 내지자 왕태자였던 순종은 상소문을 올려 태자의 자리를 사양하였고, 이에 고종은 곧바로 왕태자의 정성과 효성을 생각하여 폐서인시킨 왕후에게 빈(嬪)의 칭호를 내렸다.<ref>정상우"[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76 순종(조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대한제국 선포와 순명효황후의 죽음
 
*대한제국 선포와 순명효황후의 죽음
이후 친일적인 인사들이 내각에 기용되는 가운데 [[갑오개혁 | 갑오개혁(甲午改革)]]이 계속 진행되었고, 이를 타계하기 위하여 고종이 [[아관파천 | 아관파천(俄館播遷)]]을 단행함에 따라 순종 역시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하였다. 1년 후인 1897년 고종이 [[경운궁]](慶運宮, 덕수궁(德壽宮))으로 환어하여 황제에 올라 대한제국을 선포함에 따라 순종은 황태자로, 세자빈은 황태자비로 책봉되었다. 그렇지만 황태자비는 1904년(광무 8) 11월 5일 세상을 떠났으며, 이에 2년 후인 1906년(광무 10) [[윤택영 | 윤택영(尹澤榮)]]의 딸을 태자비로 정하고, 이듬해 초 황태자비로 책봉하였으니, 바로 훗날의 [[순정효황후 | 순정효황후(純貞孝皇后)]]이다.<ref>정상우"[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76 순종(조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이후 친일적인 인사들이 내각에 기용되는 가운데 [[갑오개혁 | 갑오개혁(甲午改革)]]이 계속 진행되었고, 이를 타계하기 위하여 고종이 [[아관파천 | 아관파천(俄館播遷)]]을 단행함에 따라 순종 역시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하였다. 1년 후인 1897년 고종이 경운궁(慶運宮, [[덕수궁]](德壽宮))으로 환어하여 황제에 올라 대한제국을 선포함에 따라 순종은 황태자로, 세자빈은 황태자비로 책봉되었다. 그렇지만 황태자비는 1904년(광무 8) 11월 5일 세상을 떠났으며, 이에 2년 후인 1906년(광무 10) [[윤택영 | 윤택영(尹澤榮)]]의 딸을 태자비로 정하고, 이듬해 초 황태자비로 책봉하였으니, 바로 훗날의 [[순정효황후 | 순정효황후(純貞孝皇后)]]이다.<ref>정상우"[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76 순종(조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대한제국 제 2대 황제로 즉위===
 
===대한제국 제 2대 황제로 즉위===
 
한편 후비를 맞아들인 이 해 순종은 황제에 즉위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는 백성들에게는 커다란 비극이었을 뿐만이 아니라 순종 개인적으로도 어머니의 죽음과 부인의 사별에 이은 또 하나의 불행이었다. 즉위의 과정이 순리에 따른 것이 아닌 일제의 강제력에 의한 것이었기 때문이었다.<ref>정상우"[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76 순종(조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한편 후비를 맞아들인 이 해 순종은 황제에 즉위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는 백성들에게는 커다란 비극이었을 뿐만이 아니라 순종 개인적으로도 어머니의 죽음과 부인의 사별에 이은 또 하나의 불행이었다. 즉위의 과정이 순리에 따른 것이 아닌 일제의 강제력에 의한 것이었기 때문이었다.<ref>정상우"[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76 순종(조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헤이그 특사 사건과 순종의 대리청정
 
*헤이그 특사 사건과 순종의 대리청정
고종이 을사늑약의 불법성을 알리기 위해 벌인 헤이그 특사 사건을 벌였지만 각국의 정부에서 이미 을사늑약을 승인했기 때문에 대한제국의 독자적인 외교행위를 인정할 수 없다는 이유로 회의 참석은 좌절되었다. 일제는 이를 조약위반으로 규정하고 고종에게 양위를 강요하였으며, 고종은 어쩔 수없이 황위를 순종에게 대리하라는 명을 내렸고 1907년 7월 19일 순종은 고종을 대신해 대리청정(代理聽政)을 시작하였으며, 다음 날 순종은 이토오 히로부미(伊藤博文)와 함께 외국 영사를 접견하며  대내외적으로도 순종의 대리청정은 기정사실화 되었다.<ref>정상우"[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76 순종(조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고종은 [[을사늑약]]의 불법성을 알리기 위해 벌인 [[헤이그 특사]]를 파견했지만 각국의 정부에서 이미 을사늑약을 승인했기 때문에 대한제국의 독자적인 외교행위를 인정할 수 없다는 이유로 회의 참석은 좌절되었다. 일제는 이를 조약위반으로 규정하고 고종에게 양위를 강요하였으며, 고종은 어쩔 수없이 황위를 순종에게 대리하라는 명을 내렸고 1907년 7월 19일 순종은 고종을 대신해 대리청정(代理聽政)을 시작하였으며, 다음 날 순종은 이토오 히로부미(伊藤博文)와 함께 외국 영사를 접견하며  대내외적으로도 순종의 대리청정은 기정사실화 되었다.<ref>정상우"[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76 순종(조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가속되는 일제의 침탈
 
*가속되는 일제의 침탈
 
순종의 대리청정의 기간 동안 일제의 국권 침탈은 갈수록 심해졌다. 1907년 7월 24일 소위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 또는 정미7조약(丁未七條約))을 강제로 관철시켰다. 이에 따라 통감이 조선의 국정 전반을 간섭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대한제국 정부의 각 부처의 차관을 일본인으로 임명하는 ‘차관정치’가 시작되었다. 뿐만 아니라 재정부족을 이유로 대한제국의 군대를 강제로 해산시키기에 이르렀다.<ref>정상우"[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76 순종(조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순종의 대리청정의 기간 동안 일제의 국권 침탈은 갈수록 심해졌다. 1907년 7월 24일 소위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 또는 정미7조약(丁未七條約))을 강제로 관철시켰다. 이에 따라 통감이 조선의 국정 전반을 간섭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대한제국 정부의 각 부처의 차관을 일본인으로 임명하는 ‘차관정치’가 시작되었다. 뿐만 아니라 재정부족을 이유로 대한제국의 군대를 강제로 해산시키기에 이르렀다.<ref>정상우"[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76 순종(조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순종의 즉위
 
*순종의 즉위
순종은 1907년 8월 27일 순종은 경운궁 돈덕전(惇德殿)에 나아가 황제즉위식을 치루었으며, 호는 융희(隆熙)로 정하였다. 서양식 건물이었던 돈덕전에서 거행된 순종황제의 즉위식은 과거 조선의 국왕들은 물론 고종의 황제즉위식이 백관이 조복(朝服)을 입고 진행했던 데에 반하여 서구식 대례복이나 후록코트를 입고 진행되었다고 한다. 또 황제즉위식이 결정되고 난 8월 7일에는 귀비 엄씨(貴妃 嚴氏)의 아들로 순종에게는 이복동생인 [[영친왕 이은 | 영친왕(英親王) 이은(李垠)]]을 황태자로 책봉하기로 하고, 한 달 후인 9월 7일 이를 선포하여 만방에 알렸다.<ref>정상우"[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76 순종(조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1907년 8월 27일 순종은 경운궁 돈덕전(惇德殿)에 나아가 황제즉위식을 치루었으며, 호는 융희(隆熙)로 정하였다. 서양식 건물이었던 돈덕전에서 거행된 순종황제의 즉위식은 과거 조선의 국왕들은 물론 고종의 황제즉위식이 백관이 조복(朝服)을 입고 진행했던 데에 반하여 서구식 대례복이나 후록코트를 입고 진행되었다고 한다. 또 황제즉위식이 결정되고 난 8월 7일에는 귀비 엄씨(貴妃 嚴氏)의 아들로 순종에게는 이복동생인 [[영친왕 이은 | 영친왕(英親王) 이은(李垠)]]을 황태자로 책봉하기로 하고, 한 달 후인 9월 7일 이를 선포하여 만방에 알렸다.<ref>정상우"[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76 순종(조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국권 파탈과 최후===
 
===국권 파탈과 최후===
62번째 줄: 82번째 줄:
 
===의의===
 
===의의===
 
1907년 고종을 이어 대한제국의 2대 황제로 즉위한 이래 1910년 일본이 대한제국의 국권을 강탈하기까지 황제로 재위한 순종은 보통 무능한 군주라고 인식된다. 하지만 순종은 즉위 자체가 일본의 강제에 의한 것이었으며 즉위 직전 일제의 침략기관으로서 [[통감부]]가 설치되어 대한제국의 외정을 장악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황제로서 운신할 수 있는 여지는 그다지 없었다. 뿐만 아니라 순종 즉위 이후에는 친일관료들과 손잡은 일제는 내정을 하나 둘 잠식하였으며, 이에 따라 군주권은 제약당하며 별다른 실권을 행사하지 못하였다. 대한제국을 병탄한 일본은 대한제국의 이름을 조선으로 변경하고, 고종을 이태왕, 순종을 이왕으로 호칭토록 하였다. 제위에서 물러난 후 이왕으로 격하된 순종은 만년을 창덕궁에서 고독하게 보냈다. 51세가 되던 1924년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갈 나이가 되어 이를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지만, 이로부터 2년이 지난 1926년 4월 25일 창덕궁 대조전(昌德宮 大造殿)에서 53세를 일기로 승하하였으며, 남양주시 금곡의 유릉(裕陵)에 안장되었다. <ref>정상우"[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76 순종(조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1907년 고종을 이어 대한제국의 2대 황제로 즉위한 이래 1910년 일본이 대한제국의 국권을 강탈하기까지 황제로 재위한 순종은 보통 무능한 군주라고 인식된다. 하지만 순종은 즉위 자체가 일본의 강제에 의한 것이었으며 즉위 직전 일제의 침략기관으로서 [[통감부]]가 설치되어 대한제국의 외정을 장악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황제로서 운신할 수 있는 여지는 그다지 없었다. 뿐만 아니라 순종 즉위 이후에는 친일관료들과 손잡은 일제는 내정을 하나 둘 잠식하였으며, 이에 따라 군주권은 제약당하며 별다른 실권을 행사하지 못하였다. 대한제국을 병탄한 일본은 대한제국의 이름을 조선으로 변경하고, 고종을 이태왕, 순종을 이왕으로 호칭토록 하였다. 제위에서 물러난 후 이왕으로 격하된 순종은 만년을 창덕궁에서 고독하게 보냈다. 51세가 되던 1924년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갈 나이가 되어 이를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지만, 이로부터 2년이 지난 1926년 4월 25일 창덕궁 대조전(昌德宮 大造殿)에서 53세를 일기로 승하하였으며, 남양주시 금곡의 유릉(裕陵)에 안장되었다. <ref>정상우"[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76 순종(조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
 +
==지식 관계망==
 +
*'''조선 순종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62/E06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10/A110.htm 왕세자 가례 차비관 발기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15/A115.htm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55/A155.htm 순명효황후 한글편지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11/A111.htm 왕실 의복 반사도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14/A214.htm 홀기류 한글고문서 지식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조선 순종]] || [[순명효황후 민씨]]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 [[조선 순종]] ||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순명효황후 민씨]] ||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조선 고종]] || [[조선 순종]]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명성황후]] || [[조선 순종]]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조선 고종]] || [[명성황후]]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 || [[명성황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 || [[조선 순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을미사변]] || [[명성황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조선 순종]] ||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조선 순종]] || [[왕세자 관례 상격 발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 [[간택단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 [[각색 인문보 발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 [[왕세자 가례 차비관 발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 [[왕세자빈 의대 발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 [[가례 의대 발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 [[왕실 의복 반사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조선 순종]]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조선 순종]] || [[순정황후]]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 [[순정황후]]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상덕]] || [[조선 순종]]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김상덕]] || [[순명효황후 민씨]]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민태호]] || [[조선 순종]]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 [[고종황제신축진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조선 순종]] || [[고종황제신축진연]]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순명효황후 한글편지]] || [[순명효황후 민씨]]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준종 순명효황후 가례]] || [[덕수궁 함녕전]]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
 +
|}
 +
<!--
 +
|[[조선 고종 | 고종]] || [[순종]] || A는 B의 어버이이다 ||
 +
|-
 +
|[[조선 고종 | 고종]] || [[명성황후]] || A는 B의 남편이다 ||
 +
|-
 +
|[[명성황후]] || [[순종]] || A는 B의 어버이이다 ||
 +
|-
 +
|[[순종]] || [[순명효황후]] || A는 B의 남편이다 ||
 +
|-
 +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 [[조선 순종 | 순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 [[순명효황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민태호]] || [[순명효황후]] || A는 B의 어버이이다 ||
 +
|-
 +
|[[을미사변]] || [[명성황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을미사변]] || [[순명효황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순종]] || [[순정효황후]] || A는 B의 남편이다 ||
 +
|-
 +
|[[윤택영]] ||[[순정효황후]] || A는 B의 어버이이다 ||
 +
|-
 +
|[[아관파천]] || [[갑오개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조선 고종 | 고종]] || [[아관파천]] || A는 B를 주관하였다 ||
 +
|-
 +
|[[을미사변]] || [[을사늑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조선 고종 | 고종]] || [[을사늑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조선 고종 | 고종]] || [[헤이그 특사]] || A는 B를 주도하였다 ||
 +
|-
 +
|[[을사늑약]] || [[헤이그 특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헤이그 특사]] || [[순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조선 순종]] || [[영친왕]] || A는 B의 형제이다 ||
 +
|-
 +
||[[귀비 엄씨]] || [[영친왕]] || A는 B의 어버이이다 ||
 +
|-
 +
|[[조선 순종 | 순종]] || [[기유각서]] || A는 B에 참여하였다 ||
 +
|-
 +
|[[이완용]] || [[기유각서]] || A는 B를 주관하였다 ||
 +
|-
 +
|[[기유각서]] || [[조선 순종 | 순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조선 순종 | 순종]] || [[한일합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이토 히로부미]] ||[[한일합병]] || A는 B를 주도하였다 ||
 +
|-
 +
|[[안중근]] || [[이토 히로부미]] || A는 B를 주도하였다 ||
 +
|-
 +
|[[안중근]] || [[일진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일진회]] || [[송병준]]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
|-
 +
|[[일진회]] || [[이용구]]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
|-
 +
|[[한일합병조약]] || [[한일합병]] || A는 B를 언급하였다 ||
 +
|}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1875년 || [[창덕궁 인정전]]에서 [[조선 순종 | 순종]]의 세자 책봉의식이 거행되었다.
 +
|-
 +
|1882년 || 1월 10일 순종의 작헌례와 관례를 거행하였다
 +
|-
 +
|1882년 ||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를 거행하였다
 +
|-
 +
|1895년 || [[을미사변]]으로 [[명성황후]]가 시해되었다
 +
|-
 +
|1896년 || [[갑오개혁]]으로 인해 고종이 [[아관파천]]을 단행하였다
 +
|-
 +
|1897년 || [[조선 고종 | 고종]]이 경운궁으로 환궁하였다
 +
|-
 +
|1906년 || 윤택영의 딸을 태자비로 정하였다
 +
|-
 +
|1907년 || 윤태영의 딸([[순정효황후]])을 황태자비로 책봉하였다
 +
|-
 +
| 1907년 || [[헤이그 특사]]파견을 문제삼아 순종이 고종을 대신해 대리청정을 시작하였다
 +
|-
 +
|1907년 || 순종이 경운궁 돈덕전에서 황제즉위식을 치루었다
 +
|-
 +
|1910년 || 한일합병조약이 체결되었다.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파일: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순종 어진 복원모사도.jpg|순종 어진 복원묘사도
 +
파일: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순종 어진(육군대장복본).jpg|종 어진(육군대장복본)
 +
파일: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순종 어진(상복본).jpg|순종 어진(상복본)
 +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순종01 고궁박물관.jpg|순종 사진
 +
</gallery>
 +
===영상===
 +
*YTN NEWS, "[https://www.youtube.com/watch?v=5819pNvJeu4 고종의 무덤에 전화를…순종의 효심 / YTN]", ''YOUTUBE'', 작성일:2017년 05월 22일.
 +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5819pNvJeu4"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더 읽을 거리===
 +
*논문
 +
**나정원, 「융희황제 재위 시 황실의례의 정치적 의미와 오순탄신 거동」, 『무용역사기록학』Vol.42, 무용역사기록학회, 2012.
 +
**이왕무, 「대한제국기 純宗의 南巡幸 연구」, 『정신문화연구』Vol.30,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
*단행본
 +
**허균·고영미, 『왜 창경궁에 동물원이 생겼을까? : 순종 황제 VS 이토 히로부미』, 자음과모음, 2011.
 +
**이태진 외, 『대한제국 :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국립고궁박물관, 2010.
 +
**이혜경, 『마지막 황실의 추억 : 대한제국 마지막 왕녀 이해경이 밝히는 잊혀진 역사』, 유아이북스, 2017.
 +
**윤호정, 『대한제국아 망해라 : 백성들의 눈으로 쓴 살아 있는 망국사』, 다산북스, 2010.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역사인물]][[분류:인물]]

2017년 11월 27일 (월) 23:20 기준 최신판


조선 순종(朝鮮 純宗)
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순종 어진 복원모사도.jpg
대표명칭 조선 순종
한자표기 朝鮮 純宗
생몰년 1874-1926
이칭 이척(李坧), 융희황제(隆熙皇帝), 창덕궁 이왕(昌德宮李王)
정헌(正軒),
군방(君邦),
출생지 창덕궁 관물헌(觀物軒
시대 조선
국적 조선
대표직함
고종
명성황후
전임자 고종


정의

순종(純宗, 1874~1926)은 조선의 왕이자 대한제국의 황제이다.

내용

출생과 성장과정

순종은 1874년(고종 11) 2월 8일 창덕궁의 관물헌(觀物軒)에서 고종(高宗) 명성황후(明成皇后, 閔妃)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름은 척(坧), 자는 군방(君邦)이며, 호는 정헌(正軒)이다. 태어난 지 1년째인 1875년(고종 12) 2월 18일 창덕궁 인정전(昌德宮 仁政殿)에서 순종의 세자 책봉의식이 거행되었다. 5세때는 민태호의 양자인 민영환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며 9세가 되던 1882년(고종 19) 1월 10일 작헌례(酌獻禮)를 거행하는 한편 15일에는 관례를 치루었다. 관례를 치룸과 동시에 세자빈 간택에 들어갔으며 찬성(左贊成) 민태호(閔台鎬)의 딸을 2월 19일 세자빈으로 책봉하여 덕수궁 함녕전에서 가례를 행하였다. 민태호의 딸이 바로 훗날 순명효황후(純明孝皇后)이다.[1] 이후 어린 순종과 순명효황후의 교육을 김상덕이 맡았다.

대한제국 선포와 순종 황제의 즉위

대한제국 선포와 순명효황후의 죽음

명성황후가 시해된 을미사변 이후 러시아 공사관에서 머물던 고종이 1897년 경운궁(慶運宮, 덕수궁(德壽宮))으로 환어하여 황제에 올라 대한제국을 선포함에 따라 순종은 황태자로, 세자빈은 황태자비로 책봉되었다. 그렇지만 황태자비는 1904년(광무 8) 11월 5일 세상을 떠났으며, 이에 2년 후인 1906년(광무 10) 윤택영(尹澤榮)의 딸을 태자비로 정하고, 이듬해 초 황태자비로 책봉하였으니, 바로 훗날의 순정효황후(純貞孝皇后)이다.[2]

대한제국 제 2대 황제로 즉위

고종이 을사늑약의 불법성을 알리기 위해 벌인 헤이그 특사 파견 사건으로 인해 양위를 강요당했다. 고종은 어쩔 수없이 황위를 순종에게 대리하라는 명을 내렸고 1907년 7월 19일 순종은 고종을 대신해 대리청정(代理聽政)을 시작하였으며, 1907년 8월 27일 덕수궁 돈덕전(惇德殿)에 나아가 황제즉위식을 거행하였다. 호는 융희(隆熙)로 정하였다. 황제즉위식이 결정되고 난 8월 7일에는 귀비 엄씨(貴妃 嚴氏)의 아들로 순종에게는 이복동생인 영친왕(英親王) 이은(李垠)을 황태자로 책봉하기로 하고, 한 달 후인 9월 7일 이를 선포하여 만방에 알렸다.[3]

국권 파탈과 최후

기유각서의 채결

1909년 7월 12일 대한제국의 사법과 감옥 업무를 일본정부에게 위탁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기유각서(己酉覺書)가 체결되었다. 이완용과 2대 통감이었던 소네 아라스케(曾禰荒助) 사이에 교환된 이 각서에 의해 대한제국의 법부(法部)와 재판소는 사라지고 통감부의 사법청에서 그 사무를 대신하게 되었을 뿐만이 아니라 감옥 사무 역시 일본인들이 장악하게 되었다. 이는 일본인들이 의병을 비롯한 항일 운동이나 반일적인 행위들을 강력하게 규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일본인들의 불법적인 경제적․사회적 약탈에 대해서 면죄부를 줄 수도 있게 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4]

한일합병조약의 채결

결국 융희 4년(1910년) 8월 22일 한일합병조약(韓日合拼條約)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순종이 아닌 이완용과 당시 통감으로 조선에 주재하던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 사이에서 비밀리에 진행된 것이었다. 조약의 제 1조와 2조에는 한국 황제는 한국 전체에 관한 일체 통치권을 완전히 그리고 또 영구히 일본 황제에게 넘겨준다는 것과 일본 황제는 완전히 한국을 일본 제국에 병합하는 것을 승낙한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으며, 이로서 519년간 유지되어 온 조선왕조는 종언을 고하고, 식민지로 전락해 버렸다.

말년

제위에서 물러난 후 이왕으로 격하된 순종은 만년을 창덕궁에서 고독하게 보냈다. 51세가 되던 1924년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갈 나이가 되어 이를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지만, 이로부터 2년이 지난 1926년 4월 25일 창덕궁 대조전(昌德宮 大造殿)에서 53세를 일기로 승하하였으며, 남양주시 금곡의 유릉(裕陵)에 안장되었다. [5]

지식 관계망

  • 조선 순종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선 순종 순명효황후 민씨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조선 순종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명효황후 민씨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고종 조선 순종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명성황후 조선 순종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조선 고종 명성황후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 명성황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 조선 순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을미사변 명성황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순종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순종 왕세자 관례 상격 발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간택단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각색 인문보 발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왕세자 가례 차비관 발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왕세자빈 의대 발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가례 의대 발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왕실 의복 반사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순종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순종 순정황후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순정황후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상덕 조선 순종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상덕 순명효황후 민씨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민태호 조선 순종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고종황제신축진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순종 고종황제신축진연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순명효황후 한글편지 순명효황후 민씨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준종 순명효황후 가례 덕수궁 함녕전 A는 B에서 일어났다 A edm:happenedAt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875년 창덕궁 인정전에서 순종의 세자 책봉의식이 거행되었다.
1882년 1월 10일 순종의 작헌례와 관례를 거행하였다
1882년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를 거행하였다
1895년 을미사변으로 명성황후가 시해되었다
1896년 갑오개혁으로 인해 고종이 아관파천을 단행하였다
1897년 고종이 경운궁으로 환궁하였다
1906년 윤택영의 딸을 태자비로 정하였다
1907년 윤태영의 딸(순정효황후)을 황태자비로 책봉하였다
1907년 헤이그 특사파견을 문제삼아 순종이 고종을 대신해 대리청정을 시작하였다
1907년 순종이 경운궁 돈덕전에서 황제즉위식을 치루었다
1910년 한일합병조약이 체결되었다.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정상우"순종(조선)",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2. 정상우"순종(조선)",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3. 정상우"순종(조선)",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4. 정상우"순종(조선)",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5. 정상우"순종(조선)",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나정원, 「융희황제 재위 시 황실의례의 정치적 의미와 오순탄신 거동」, 『무용역사기록학』Vol.42, 무용역사기록학회, 2012.
    • 이왕무, 「대한제국기 純宗의 南巡幸 연구」, 『정신문화연구』Vol.30,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 단행본
    • 허균·고영미, 『왜 창경궁에 동물원이 생겼을까? : 순종 황제 VS 이토 히로부미』, 자음과모음, 2011.
    • 이태진 외, 『대한제국 :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국립고궁박물관, 2010.
    • 이혜경, 『마지막 황실의 추억 : 대한제국 마지막 왕녀 이해경이 밝히는 잊혀진 역사』, 유아이북스, 2017.
    • 윤호정, 『대한제국아 망해라 : 백성들의 눈으로 쓴 살아 있는 망국사』, 다산북스,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