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욱
Encyves Wiki
현욱(玄昱) | |
대표명칭 | 현욱 |
---|---|
영문명칭 | Hyeonuk |
한자 | 玄昱 |
생몰년 | 788년(원성왕 4)-869년(경문왕 9) |
시호 | 원감(圓鑑) |
성씨 | 김씨(金氏) |
출신지 | 동명(東溟: 현재의 강원도 강릉) |
목차
정의
신라시대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현욱(玄昱)은 788년(원성왕 4) 지금의 강원도 강릉 지방인 동명(東溟)에서 태어났다.[1] 그의 집안은 아버지인 김염균(廉均)이 병부시랑(兵部侍郎)을 지낼 정도로 으뜸가는 가문이었다.[2]
출가 및 구법유학
현욱이 언제 누구에게 출가했는지는 자세한 기록이 없어 정확히 알 수 없다.[3] 어렸을 때 출가하여 808년(애장왕 9)에 구족계(具足戒)를 받았고, 824년(헌덕왕 16)에 입당(入唐)하여 장경회휘(章敬懷暉)에게 수학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장경회휘는 818년에 입적하였고 『조당집(祖堂集)』에서 현욱을 장경회휘의 법을 이은 사법제자(嗣法弟子)로 명기한 것으로 보아, 현욱은 818년 이전에 당에 유학한 것으로 보인다.[4]
활동 및 입적
현욱은 837년(희강왕 2)에 귀국하여 남원 실상사(實相寺)에 3-4년 정도 머물렀다. 그 기간 동안 신라의 민애왕, 신무왕, 문성왕, 헌안왕이 모두 현욱에게 귀의하고 제자의 예를 다하여 공경했다.[5] 신라 왕실의 존숭을 받던 현욱은 840년(문성왕 2) 혜목산(慧目山)고달사(高達寺)로 거처를 옮겼다.[6]
입적
868년(경문왕 8) 현욱은 제자인 심희(審希)에게 그에게까지 이어진 선법(禪法)의 맥을 간략히 설명하고 심등(心燈:부처와 조사로부터 이어진 깨달음의 맥)을 전하였으며, 이 법을 믿고 부지런히 정진할 것을 당부한 뒤 입적하였다.[7]
이러한 내용은 경명왕이 비문을 지은 심희의 탑비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함통(咸通) 9년(868, 경문왕 8)에 선대사(先大師: 원감)가 병이 들어 대사를 불러 이르되 "이 법은 본래 인도에서 중국으로 와서 한 번 꽃이 피자 여섯 잎[8]이 번성하였다. 대대로 서로 이어받아 끊어지지 않게 했는데, 내가 이전에 중국에 유학하여 일찍이 백암(百巖)을 사사하였다. 백암은 강서(江西)를 잇고 강서는 남악(南嶽)을 이었으니 남악은 곧 조계(曺溪)의 맏아들이며 달마의 현손이다. 비록 신표로 주는 가사는 전하지 않았으나 심인(心印)을 서로 전수하여 멀리 여래의 가르침을 이어받고 길이 가섭의 종지를 열었다. 너는 마음의 등불로써 전해받고 내가 맡기는 것을 법신(法信)으로 삼아라"하고 아무 말 없이 조용히 열반에 들었다. | ||
출처: 하일식, 「봉림사 진경대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3 : 신라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3 : 신라9 비문9", |
지식관계망
- 봉림산문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도일(중국) | 회휘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회휘 | 현욱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현욱 | 심희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심희 | 찬유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봉림산문 | 현욱 | A는 B가 개창하였다 | A ekc:founder B |
봉림산문 | 심희 | A는 B가 중창하였다 | A ekc:renovator B |
현욱 | 남원 실상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현욱 | 여주 고달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여주 고달사지 | 여주 고달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현욱 | 홍각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788년 | 현욱이 태어남. |
808년 | 현욱이 구족계를 받음. |
824년 | 현욱이 당나라로 유학을 떠남. |
837년 | 현욱이 귀국함. |
840년 | 현욱이 여주 고달사에 주석함. |
868년 | 현욱이 여주 고달사에서 입적함.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정병조, "현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일야, "봉림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10쪽.
- ↑ 이일야, "봉림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11쪽.
- ↑ 정병조, "현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일야, "봉림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15쪽.
- ↑ 정병조, "현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위석, "심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여섯 잎(六葉)은 중국 선종의 6대 조사, 즉 달마, 혜가, 승찬, 도신, 홍인, 혜능을 가리킨다.
참고문헌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3-99쪽.
- 이일야, "봉림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07-237쪽.
- 정병조, "현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정영식, "원감현욱", 『조당집 읽기』, 운주사, 2016, 287-288쪽.
- "현욱",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