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관계정보)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내명부]] 등 왕실 여성과 [[대군부인]], [[군부인]] 등 정4품 이상의 정실부인[正妻]이 [[친영]] | + |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내명부]] 등 왕실 여성과 [[대군부인]], [[군부인]] 등 정4품 이상의 정실부인[正妻]이 [[친영]] 등을 행하거나 길[露]을 갈 때 착용한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32쪽.</ref> |
=='''내용'''== | =='''내용'''== | ||
− | 앞자락은 짧고 뒷자락이 긴 전단후장(前短後長)으로 양옆이 트여 있고, 옆선과 도련이 [[당의]]와 유사한 형태의 곡선을 그리고 있다. 넓은 소매 끝에는 색동과 태수[한삼]가 달려 있으며, 깃은 [[원삼]]과 같은 | + | 앞자락은 짧고 뒷자락이 긴 전단후장(前短後長)으로 양옆이 트여 있고, 옆선과 도련이 [[당의]]와 유사한 형태의 곡선을 그리고 있다. 넓은 소매 끝에는 색동과 태수[한삼]가 달려 있으며, 깃은 [[원삼]]과 같은 대금형(對襟形;여며지지 않고 맞닿는 형태)의 둥근 깃이다. 몸판 전체에 '금원문(金圓紋)'이 금박으로 찍혀 있다.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에 [[왕비]]의 [[노의]]와 금원문이 그려져 있고, [[사도세자]]의 장녀인 [[청연군주]]의 묘에서 금원문이 찍혀있는 [[노의]]가 출토되어 형태와 문양을 파악할 수 있다. 『가례도감의궤』에 따르면 [[왕비]]는 '흉배금원문노의(胸背金圓紋露衣)', [[왕세자빈]]은 '금원문노의(金圓紋露衣)'라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노의]]는 금으로 된 원무늬가 들어가고, [[왕비]]의 [[노의]]에는 [[흉배(왕실여성)|흉배]]가 부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189쪽.</ref> 또한 『계사시월가례시의복[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6551&cid=46671&categoryId=46671 발긔]』에 [[군부인|군부인(郡夫人)]]의 '다홍별문단부금원앙노의'라는 기록을 통해 [[청연군주]] [[노의]]에 찍혀 있는 '금원문'이 원앙임을 알 수 있다. 왕실 여성은 홍색의 노의를 착용한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189쪽.</ref> |
<br/> | <br/> | ||
<br/> | <br/> | ||
− | '''금원문''': | + | '''금원문''': 노의에 찍는 원형의 금박 무늬<br/> |
[[왕비]]의 금원문은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를 통해 원 테두리 안에 구름과 봉황 무늬를 표현하였고, 공주나 옹주 등의 금원문은 [[청연군주]] [[노의]]에 남아 있는 금박 무늬를 통해 원 테두리 안에 원앙 무늬를 표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군부인]]도 [[공주]]나 [[옹주]]와 같은 원앙문 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189쪽.</ref> | [[왕비]]의 금원문은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를 통해 원 테두리 안에 구름과 봉황 무늬를 표현하였고, 공주나 옹주 등의 금원문은 [[청연군주]] [[노의]]에 남아 있는 금박 무늬를 통해 원 테두리 안에 원앙 무늬를 표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군부인]]도 [[공주]]나 [[옹주]]와 같은 원앙문 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189쪽.</ref> | ||
77번째 줄: | 77번째 줄: | ||
===더 읽을거리=== | ===더 읽을거리=== | ||
− | |||
−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복식]] | [[분류:복식]] |
2017년 10월 23일 (월) 20:19 판
노의 (露衣) |
|
대표명칭 | 노의 |
---|---|
한자표기 | 露衣 |
구분 | 의복 |
착용신분 |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
착용성별 | 여성 |
목차
정의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내명부 등 왕실 여성과 대군부인, 군부인 등 정4품 이상의 정실부인[正妻]이 친영 등을 행하거나 길[露]을 갈 때 착용한다.[1]
내용
앞자락은 짧고 뒷자락이 긴 전단후장(前短後長)으로 양옆이 트여 있고, 옆선과 도련이 당의와 유사한 형태의 곡선을 그리고 있다. 넓은 소매 끝에는 색동과 태수[한삼]가 달려 있으며, 깃은 원삼과 같은 대금형(對襟形;여며지지 않고 맞닿는 형태)의 둥근 깃이다. 몸판 전체에 '금원문(金圓紋)'이 금박으로 찍혀 있다.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에 왕비의 노의와 금원문이 그려져 있고, 사도세자의 장녀인 청연군주의 묘에서 금원문이 찍혀있는 노의가 출토되어 형태와 문양을 파악할 수 있다. 『가례도감의궤』에 따르면 왕비는 '흉배금원문노의(胸背金圓紋露衣)', 왕세자빈은 '금원문노의(金圓紋露衣)'라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노의는 금으로 된 원무늬가 들어가고, 왕비의 노의에는 흉배가 부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2] 또한 『계사시월가례시의복발긔』에 군부인(郡夫人)의 '다홍별문단부금원앙노의'라는 기록을 통해 청연군주 노의에 찍혀 있는 '금원문'이 원앙임을 알 수 있다. 왕실 여성은 홍색의 노의를 착용한다.[3]
금원문: 노의에 찍는 원형의 금박 무늬
왕비의 금원문은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를 통해 원 테두리 안에 구름과 봉황 무늬를 표현하였고, 공주나 옹주 등의 금원문은 청연군주 노의에 남아 있는 금박 무늬를 통해 원 테두리 안에 원앙 무늬를 표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군부인도 공주나 옹주와 같은 원앙문 이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왕비 | 노의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세자빈 | 노의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내명부 | 노의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외명부 | 노의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비의 소례복 | 노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왕세자빈의 소례복 | 노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노의 | 노의대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노의 일러스트.[7]
영상
주석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32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189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189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189쪽.
- ↑ 국립중앙박물관(http://www.museum.go.kr/) 소장.
- ↑ 국립중앙박물관(http://www.museum.go.kr/) 소장.
- ↑ 궁중기록화팀.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국립고궁박물관, 『사농공상의 나라 조선』, 국립중앙박물관, 2010.
- 권오영 외, 『조선 왕실의 嘉禮』,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김남희,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노의(露衣) 일습(一襲) 복원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김아람, 「복식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백영자, 「嘉禮都監을 통해 본 법복[翟衣]의 附隨服飾 의대(露衣, 長衫)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78.
- 백영자․김정진,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韓國衣類學會誌』 14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90.
- 유송옥, 「조선왕조시대 가례도감의궤와 그에 나타난 복식」, 『大東文化硏究』 20,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1986.
- 유송옥, 『朝鮮王朝 宮中儀軌服飾』 , 수학사, 1991.
- 이경자, 「『嘉禮都監儀軌』의 服飾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77.
- 이성희, 「조선후기 노의에 관한 연구: 청연군주 출토복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이은주, 「『덕온공주가례등록』을 통해 본 공주가례복식」, 『한국복식』 3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2.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가례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韓國衣類學會誌』 15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91.
- 황문환·김주필·박부자·안승준·이욱·황선엽 주해,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