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仁祖莊烈王后嘉禮都監儀軌)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http://uigwe.museum.go.kr)
대표명칭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한자표기 仁祖莊烈王后嘉禮都監儀軌
주제 가례(嘉禮)
작성주체 가례도감(嘉禮都監)
의례담당자 신경진(申景禛)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638년(인조 18년)
소장처(원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강화부)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어람용: 총 1책 193장
강화부: 총 1책 164장
크기 어람용: 47.2×31.9
강화부: 44.4×30.4
도설 9면(채색)
반차도 8면(채색)
총 길이: 약 256㎝



정의

1638년(조선 인조 16) 인조와 계비 장렬왕후의 혼인를 치르는 가례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1635년(인조 13) 인조의 정비 인열왕후(仁烈王后)가 승하하였다. 왕비의 자리를 오래 비울 수 없어서 3년상을 마친 1638년(인조 16) 12월에 인천부사 조창원(趙昌遠)의 딸인 장렬왕후(莊烈王后)를 계비로 맞이하는 가례(嘉禮)를 거행하였다. 당시 인조는 44세, 장렬왕후는 15세였다. 가례를 위해 봄부터 신부 간택에 들어갔으나 서울과 지방의 사대부가에서 간택에 응하는 사람이 없어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또 가례를 어떻게 행해야 하는지 상고할 전대(前代)의 『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가 모두 전란으로 산실되어 태백산 사고에 승지를 보내 『조선왕조실록』을 참고하기로 하였다. 새로운 왕비를 맞이하기 위해 1638년 10월 5일 좌의정 신경진(申景稹)을 도제조로 하는 가례도감이 설치되었고, 10월 26일 조창원의 딸이 최종 간택되었다. 11월 4일 신부의 집에 청혼서를 보내는 납채, 11월 16일 신부집에 예물을 보내는 납폐, 11월 30일 가례의 일자를 알리는 고기, 12월 2일 신부를 왕비로 책봉하는 책비는 모두 창덕궁 명정전에서 치러졌다. 12월 3일 신부의 집에서 신부를 데리고 오는 친영봉림대군의 사저인 어의궁(於義宮)에서 거행하였다. 본래 친영은 중국 사신들의 숙소인 태평관(太平館)에서 거행하는 것이 관례였으나 태평관이 낡아 수리를 필요로 해서 어의동 별궁(於義洞 別宮)에서 시행하였다. 이후 어의궁간택왕비왕세자빈이 입궁 전에 머무는 별궁으로 이용되었다. 인조는 오후 2시경 왕비를 데리고 창경궁으로 돌아와 통명전에서 왕비와 술과 음식을 나누는 동뢰를 거행하였다. 다음날 은 사형수를 제외한 죄인을 석방하는 대사령을 반포하여 가례의 기쁨을 백성과 나누고자 하였다. 이 책은 왕비가 별궁에서 궁으로 들어오는 8면의 채색 친영반차도와 함께 가례에 쓰인 옥책 등 주요 기물을 설명한 도설이 실려 있다.[1]

목록

예관(禮關), 의궤(儀軌), 논상(論賞), 일방(一房), 이방(二房), 삼방(三房), 의장색(儀仗色), 삼방옥책색(三房玉冊色), 삼방기명색(三房器皿色)

해제

이상식,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김영인,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의궤 종합정보』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524)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강화부본(奎 1306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인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장렬왕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왕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왕의 대례복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mentions B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왕의 조복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mentions B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왕비의 대례복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mentions B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왕비의 소례복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mentions B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가례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documents B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638년 인조장렬왕후가례가 거행되었다
1638년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80758 126.994503 창덕궁 명정전에서 납채가 거행되었다.
37.580758 126.994503 창덕궁 명정전에서 납폐가 거행되었다.
37.580758 126.994503 창덕궁 명정전에서 고기가 거행되었다.
37.580758 126.994503 창덕궁 명정전에서 책비가 거행되었다.
37.574970 127.002027 어의궁에서 친영이 거행되었다.
37.580758 126.994503 창덕궁 통명전에서 동뢰가 거행되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왕비의 행렬

번호 이미지 대상 설명[2] 복장/복식
1 촉롱 촉롱(燭籠) 촛불을 넣어 이동하는데 쓰는 초롱 흑건(黑巾)
홍의(紅衣)
1 홍양산 홍양산(紅陽繖) 붉은 양산 *백관의 편복
2 연배군 연배군(輦陪軍) 왕비의 가마를 메는 군사 홍건(紅巾)
홍의(紅衣)
2 장렬왕후 연(輦)-장렬왕후(莊烈王后) 왕실에서 사용하는 지붕이 있는 가마로, 장렬왕후(莊烈王后)가 타고 있다. 왕비의 소례복
3 청선 청선(靑扇) 청색 부채 *백관의 편복
4 상궁 상궁(尙宮) 정5품 궁녀 너울
여립
할의
치마
말군
4 시녀 시녀(侍女) 궁궐에서 왕비 등의 시중을 담당한 궁녀 너울
여립
할의
치마
말군
5 가위장 가위장(假衛將) 왕이 거주하지 않는 빈 대궐의 수비를 담당한 관직 백관의 상복
5 내시 내시(內侍) 궁궐에서 음식이나 왕명 전달, 청소 등의 일을 맡아보던 환관 *백관의 상복
5 부장 부장(部將) 종6품 무관 백관의 상복
5 분병조낭청 분병조낭청(分兵曹郎廳) 병조를 나누어 설치한 관서의 관원 백관의 상복
5 분병조당상 분병조당상(分兵曹堂上) 병조를 나누어 설치한 관서의 정3품 이상의 관원 백관의 상복
5 분총관 분총관(分總管) 나누어 설치한 관서의 업무를 주관하는 관원 백관의 상복
5 분총도사 분총도사(分總都事) 나누어 설치한 관서의 사무를 주관하는 관원 백관의 상복

도감 관원의 행렬

번호 이미지 대상 설명[3] 복장/복식
1 도감사령 도감사령(都監使令) 임시 관청인 도감에 소속된 하급 관원 백관의 상복
1 서리 서리(書吏) 중앙 관아에 근무하던 하급 관원 백관의 상복
1 도제조 도제조(都提調) 육조의 속아문이나 군영 등에 두었던 정1품 관직으로, 인조-장렬왕후 가례의 총책임자는 신경진(申景禛)이었다. 백관의 상복
1 제조 제조(提調) 당상관 이상의 관원이 없는 관아에 겸직으로 임명하여 각 관아를 실질적으로 통솔하던 직책 백관의 상복
1 도청 도청(都廳) 임시 관서인 도감의 관직 백관의 상복
1 낭청 낭청(郎廳) 각 관서에서 차출하여 겸임시켰던 당하관의 실무 담당 관직 백관의 상복

주석

  1.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112~114쪽.
  2. 제송희,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3. 제송희,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혼정례』
  • 『상방정례』
  • 임민혁, 『조선 국왕 장가보내기』, 글항아리, 2017.
  • 신병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저, 『조선 왕실의 혼례 이야기』,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1.
  • 이성미, 『가례도감의궤와 미술사』, 소와당, 2008.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의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