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 온톨로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Contextual Class(6개))
(Relation(47개))
37번째 줄: 37번째 줄:
 
==Relation(47개)==
 
==Relation(47개)==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style="width:5%"|번호 !!  style="width:30%"|관계어 !!  style="width:10%"|Domain(A) !! style="width:10%"|Range(B) !!  style="width:30%"|역관계어
+
! style="width:30"|상위관계어 !!  style="width:30%"|관계어 !!  style="width:8%"|A  !! style="width:8%"|B !!  style="width:24%"|예시
 
|-
 
|-
| 1 || A는 B가 착용하였다 || 복장 || 개념 || B는 A를 착용하였다
+
| A --- B / B dcterms:creator A || A는 B를 제작하였다 / B는 A에서 제작되었다 || 단체 || 회화 || [[도화서]]-[[수교도]]
|-  
+
|-
| 2 || A는 B가 착용하였다 || 복식 || 인물 || B는 A를 착용하였다
+
| A --- B / B dcterms:creator A || A는 B를 제작하였다 / B는 A에서 제작되었다 || 단체 || 복장 || [[상의원]]-[[왕의 대례복]]
|-  
+
|-
| 3 || A는 B가 착용하였다 || 복식 || 개념 || B는 A를 착용하였다
+
| A --- B / B dcterms:creator A || A는 B를 제작하였다 / B는 A에서 제작되었다 || 단체 || 복식 || [[상의원]]-[[면복 상의]]
|-  
+
|-
| 4 || A는 B로 구성되어 있다 || 회화 || 회화 || B는 A의 한 장면이다
+
| A --- B / B dcterms:creator A || A는 B를 제작하였다 / B는 A에서 제작되었다 || 단체 || 물품 || [[사옹원]]-[[주정]]
|-  
+
|-
| 5 || A는 B로 운반된다 || 물품 || 물품 || B는 A를 운반한다
+
| A --- B / B edm:currentLocation A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B는 A에 소장되어 있다 || 소장처 || 의궤 || [[국립중앙박물관]]-[[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
|-
| 6 || A는 B를 감싼다 || 물품 || 물품 || B는 A에 감싸진다
+
| A --- B / B edm:currentLocation A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B는 A에 소장되어 있다 || 소장처 || 회화 || [[국립문화재연구소]]-[[수교도]]
|-  
+
|-
| 7 || A는 B를 기록하였다 || 회화 || 개념 || B는 A에 기록되어 있다
+
| A --- B / B edm:currentLocation A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B는 A에 소장되어 있다 || 소장처 || 복식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단령]]
|-  
+
|-
| 8 || A는 B를 기록하였다 || 의궤 || 개념 || B는 A에 기록되어 있다
+
| A --- B / B edm:currentLocation A || A는 B를 봉안하였다 / B는 A에 봉안되었다 || 장소 || 물품 || [[창경궁 문정전]]-[[신주]]
|-  
+
|-
| 9 || A는 B를 담는다 || 물품 || 물품 || B는 A에 담겨진다
+
| A --- B / B edm:currentLocation A || A는 B를 보관하였다 / B는 A에 보관되었다 || 장소 || 복식 || [[면복각]]-[[면복 상의]]
|-  
+
|-
| 10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소장처 || 복식 || B는 A에 소장되어 있다
+
| A --- B / B edm:currentLocation A || A는 B를 보관하였다 / B는 A에 보관되었다 || 장소 || 복장 || [[면복각]]-[[왕의 대례복]]
|-  
+
|-
| 11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소장처 || 회화 || B는 A에 소장되어 있다
+
| A dcterms:hasPart B / B dcterms:isPartOf A || A는 B를 포함한다 / B는 A에 포함된다 || 개념(의례) || 개념(의례) || [[혼례]]-[[납채]]
|-  
+
|-
| 12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소장처 || 의궤 || B는 A에 소장되어 있다
+
| A dcterms:hasPart B / B dcterms:isPartOf A || A는 B에 위치하였다 / B는 A가 있던 곳이다 || 단체 || 장소 || [[상의원]]-[[창덕궁]]
|-  
+
|-
| 13 || A는 B를 위한 의식이었다 || 회화 || 인물 || B는 A의 주인공이었다
+
| A dcterms:hasPart B / B dcterms:isPartOf A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B는 A의 구성요소이다 || 복장 || 복식 || [[왕의 대례복]]-[[면관]]
|-  
+
|-
| 14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복장 || 복식 || B는 A의 일습이 된다
+
| A dcterms:hasPart B / B dcterms:isPartOf A || A는 B에 위치한다 / B는 A가 있는 곳이다 || 장소 || 장소 || [[창덕궁 인정전]]-[[창덕궁]]
|-  
+
|-
| 15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인물 || 복장 || B는 A가 착용하였다
+
| A dcterms:hasPart B / B dcterms:isPartOf A || A는 B를 포함한다 / B는 A에 포함된다 || 회화 || 회화 || [[무신진찬도병]]-[[인정전진하도]]
|-  
+
|-
| 16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인물 || 복장 || B는 A가 착용하였다
+
| A edm:isRelatedTo B || A는 B로 운반되었다 || 물품 || 물품 || [[금보]]-[[채여]]
|-  
+
|-
| 17 || A는 B를 착용하였다 || 개념 || 복장 || B는 A가 착용하였다
+
| A edm:isRelatedTo B || A는 B를 감싼다 || 물품 || 물품 || [[갑]]-[[옥책]]
|-  
+
|-
| 18 || A는 B에 그려져 있다 || 복식 || 회화 || B에 A가 그려져 있다
+
| A edm:isRelatedTo B || A는 B를 담는다 || 물품 || 물품 || [[외궤]]-[[내함]]
|-  
+
|-
| 19 || A는 B에 그려져 있다 || 물품 || 의궤 || B에 A가 그려져 있다
+
| A edm:isRelatedTo B || A는 B에 올려졌다 || 물품 || 물품 || [[금보]]-[[배안상]]
|-  
+
|-
| 20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복장 || 문헌 || B에 A가 기록되어 있다
+
| A edm:isRelatedTo B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물품 || 물품 || [[금보]]-[[옥책]]
|-  
+
|-
| 21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복식 || 문헌 || B에 A가 기록되어 있다
+
| A edm:isRelatedTo B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B는 A와 관련이 있다 || 의궤 || 회화 ||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문효세자책례계병]]
|-  
+
|-
| 22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복식 || 의궤 || B에 A가 기록되어 있다
+
| A edm:isRelatedTo B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B는 A와 관련이 있다 || 의궤 || 개념(신분) || [[고종대례의궤]]-[[황제]]
|-  
+
|-
| 23 || A는 B에 담긴다 || 물품 || 물품 || B는 A를 담는다
+
| A edm:isRelatedTo B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B는 A와 관련이 있다 || 의궤 || 인물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조선 영조]]
|-  
+
|-
| 24 || A는 B에 보관되었다 || 복장 || 장소 || B는 A를 보관하였다
+
| A edm:isRelatedTo B || A는 B에서 머물렀다 || 인물 || 장소 || [[인조]]-[[경희궁]]
|-  
+
|-
| 25 || A는 B에 보관된다 || 물품 || 물품 || B는 A를 보관한다
+
| A edm:isRelatedTo B || A는 B에서 승하하였다 || 인물 || 장소 || [[순조]]-[[경희궁]]
|-  
+
|-
| 26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회화 || 소장처 || B는 A를 소장하고 있다
+
| A edm:isRelatedTo B || A는 B에서 탄생하였다 || 인물 || 장소 || [[정조]]-[[창경궁 경춘전]]
|-  
+
|-
| 27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의궤 || 소장처 || B는 A를 소장하고 있다
+
| A edm:isRelatedTo B || A는 B의 담당자였다 || 인물 || 단체 || [[신만]]-[[가례도감]]
|-  
+
|-
| 28 || A는 B에 올려진다 || 물품 || 물품 || B는 A를 올린다
+
| A edm:isRelatedTo B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B는 A와 관련이 있다 || 회화 || 개념(신분) || [[수교도]]-[[왕세자]]
|-  
+
|-
| 29 || A는 B에 올려진다 || 물품 || 물품 || B는 A를 올린다
+
| A edm:isRelatedTo B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B는 A와 관련이 있다 || 회화 || 인물 || [[무신진찬도병]]-[[순원왕후]]
|-  
+
|-
| 30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개념 || 장소 || B에서 A가 거행되었다
+
| A ekc:depicts B / B ekc:isDepictedIn A || A에 B가 그려져 있다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의궤 || 물품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근배]]
|-  
+
|-
| 31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개념 || 장소 || B에서 A가 거행되었다
+
| A ekc:depicts B / B ekc:isDepictedIn A || A에 B가 그려져 있다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의궤 || 복식 || [[정조국장도감의궤]]-[[면복 상의]]
|-  
+
|-
| 32 || A는 B에서 관리하였다 || 물품 || 기관 || B는 A를 관리하였다
+
| A ekc:depicts B / B ekc:isDepictedIn A || A는 B를 표현하였다 || 회화 || 개념(의례) || [[수교도]]-[[관례]]
|-  
+
|-
| 33 || A는 B에서 제작되기도 하였다 || 물품 || 기관 || B에서 A를 제작하기도 하였다
+
| A ekc:depicts B / B ekc:isDepictedIn A || A에 B가 그려져 있다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회화 || 복장 || [[수교도]]-[[백관의 조복]]
|-  
+
|-
| 34 || A는 B에서 제작되었다 || 복장 || 기관 || B는 A를 제작하였다
+
| A ekc:depicts B / B ekc:isDepictedIn A || A에 B가 그려져 있다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회화 || 복식 || [[수교도]]-[[조복 상의]]
|-  
+
|-
| 35 || A는 B에서 제작되었다 || 복식 || 기관 || B는 A를 제작하였다
+
| A ekc:depicts B / B ekc:isDepictedIn A || A에 B가 그려져 있다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회화 || 물품 ||
|-  
+
|-
| 36 || A는 B에서 제작하였다 || 물품 || 기관 || B에서 A를 제작하였다
+
| A ekc:hasWife B / B ekc:hasHusband A || A는 B의 남편이다 / B는 A의 아내이다 || 인물 || 인물 || [[영조]]-[[정순왕후]]
|-  
+
|-
| 37 || A는 B에서 주관하였다 || 개념 || 기관 || B는 A를 주관하였다
+
| A participates B || A는 B를 거행한다 || 개념(신분) || 개념(의례) || [[왕]]-[[납채]]
|-  
+
|-
| 38 || A는 B와 같이 사용된다 || 물품 || 물품 || B는 A와 같이 사용된다
+
| A participates B || A는 B를 담당하였다 || 단체 || 의궤 || [[가례도감]]-[[영조정순왕후의궤]]
|-  
+
|-
| 39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회화 || 의궤 || B는 A와 관련이 있다
+
| A participates B || A는 B를 담당하였다 || 단체 || 개념(의례) || [[가례도감]]-[[혼례]]
|-  
+
|-
| 40 || A는 B의 구성요소이다 || 복식 || 복장 || B는 A를 구성요소로 갖는다
+
| || A는 B를 착용하였다 || 개념(신분) || 복장 || [[왕]]-[[왕의 대례복]]
|-  
+
|-
| 41 || A는 B의 구성요소이다 || 복식 || 복식 || B는 A를 구성요소로 갖는다
+
| || A는 B를 착용하였다 || 개념(신분) || 복식 || [[궁녀]]-[[당의]]
|-  
+
|-
| 42 || A는 B의 머리모양이다 || 복식 || 개념 || B는 A의 머리모양을 한다
+
| || A는 B에 해당된다 || 개념(신분) || 인물 || [[왕]]-[[조선 영조]]
|-  
+
|-
| 43 || A는 B의 일습이 된다 || 복식 || 복장 || B는 A를 일습으로 갖춘다
+
| || A에서 B로의 절차를 거친다 || 개념(의례) || 개념(의례) || [[납채]]-[[납폐]]
|-  
+
|-
| 44 || A에 B가 등장하였다 || 회화 || 인물 || B는 A에 등장하였다
+
| || A는 B에서 유래하였다 || 단체 || 단체 || [[장례원]]-[[장악서]]
|-  
+
|-
| 45 || A에 B가 등장하였다 || 의궤 || 개념 || B는 A에 등장하였다
+
| || A는 B에 사용되었다 || 물품 || 개념(의례) || [[근배]]-[[동뢰]]
|-  
+
|-
| 46 || A에 B가 등장하였다 || 의궤 || 인물 || B는 A에 등장하였다
+
|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A에 B가 기록되어 있다 || 복식 || 의궤 || [[노의]]-[[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  
+
|-
| 47 || A에 B를 올린다 || 물품 || 물품 || B는 A에 올려진다
+
|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A에 B가 기록되어 있다 || 복장 || 의궤 || [[왕의 대례복]]-[[정조국장도감의궤]]
 +
|-
 +
| || A는 B에 착용되었다 || 복장 || 개념(의례) || [[왕의 대례복]]-[[혼례]]
 +
|-
 +
| || A는 B를 기록하였다 || 의궤 || 개념(의례)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혼례]]
 +
|-
 +
| || A에서 B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 장소 || 장소 || [[경덕궁]]-[[경희궁]]
 +
|-
 +
| || A에서 B를 거행하였다 || 장소 || 개념(의례) || [[명정전]]-[[납채]]
 
|}
 
|}
 
 
[[분류:온톨로지]]
 
[[분류:온톨로지]]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프로젝트관리]]
 
[[분류:프로젝트관리]]

2017년 8월 10일 (목) 11:11 판

궁중기록화 관리 메뉴

개관 · 온톨로지 · 중심노드 · 문맥노드 · 일러스트 · 파빌리온 · 그래프 · 비디오 · 전자지도 · 교열목록 · 전체기사목록 · VR목록 · 중복기사목록 · 회의록


Class

Core Class(5개)

메인 서브 설명 예시 템플릿
Object 의궤 의례와 인물, 복식이 기록된 책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 틀:의궤정보
Object 회화 의례가 행해지고 있는 모습을 그린 그림 문효세자책례계병, 화성능행도병 틀:회화정보
Object 복장 특정신분이 특정행사에 착용한 복식 일습 왕의 제복, 백관의 제복 틀:복장정보
Object 복식 인물이 착용하는 옷 또는 부속품 곤룡포, 당의, 원삼, 익선관 틀:복식정보
Place 소장처 복식이나 물품, 문헌 등을 현재 보관하고 있는 곳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틀:소장처정보

Contextual Class(5개)

메인 서브 설명 예시 템플릿
Concept 개념 대상자료 관련 주요개념(용어, 의례, 신분 등) 의궤, 가례, 황제, 납채 틀:개념정보
Actor 인물 의례에 참여한 사람 조선 영조, 신만 틀:인물정보
Actor 단체 의례를 주관한 기관 가례도감, 부묘도감 틀:단체정보
Object 물품 의례에 사용된 물건 겹휘건, 금보 틀:물품정보
Place 장소 의례가 행해진 장소 창덕궁 인정전, 어의궁 틀:장소정보

Relation(47개)

상위관계어 관계어 A B 예시
A --- B / B dcterms:creator A A는 B를 제작하였다 / B는 A에서 제작되었다 단체 회화 도화서-수교도
A --- B / B dcterms:creator A A는 B를 제작하였다 / B는 A에서 제작되었다 단체 복장 상의원-왕의 대례복
A --- B / B dcterms:creator A A는 B를 제작하였다 / B는 A에서 제작되었다 단체 복식 상의원-면복 상의
A --- B / B dcterms:creator A A는 B를 제작하였다 / B는 A에서 제작되었다 단체 물품 사옹원-주정
A --- B / B edm:currentLocation A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B는 A에 소장되어 있다 소장처 의궤 국립중앙박물관-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A --- B / B edm:currentLocation A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B는 A에 소장되어 있다 소장처 회화 국립문화재연구소-수교도
A --- B / B edm:currentLocation A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B는 A에 소장되어 있다 소장처 복식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단령
A --- B / B edm:currentLocation A A는 B를 봉안하였다 / B는 A에 봉안되었다 장소 물품 창경궁 문정전-신주
A --- B / B edm:currentLocation A A는 B를 보관하였다 / B는 A에 보관되었다 장소 복식 면복각-면복 상의
A --- B / B edm:currentLocation A A는 B를 보관하였다 / B는 A에 보관되었다 장소 복장 면복각-왕의 대례복
A dcterms:hasPart B / B dcterms:isPartOf A A는 B를 포함한다 / B는 A에 포함된다 개념(의례) 개념(의례) 혼례-납채
A dcterms:hasPart B / B dcterms:isPartOf A A는 B에 위치하였다 / B는 A가 있던 곳이다 단체 장소 상의원-창덕궁
A dcterms:hasPart B / B dcterms:isPartOf A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B는 A의 구성요소이다 복장 복식 왕의 대례복-면관
A dcterms:hasPart B / B dcterms:isPartOf A A는 B에 위치한다 / B는 A가 있는 곳이다 장소 장소 창덕궁 인정전-창덕궁
A dcterms:hasPart B / B dcterms:isPartOf A A는 B를 포함한다 / B는 A에 포함된다 회화 회화 무신진찬도병-인정전진하도
A edm:isRelatedTo B A는 B로 운반되었다 물품 물품 금보-채여
A edm:isRelatedTo B A는 B를 감싼다 물품 물품 -옥책
A edm:isRelatedTo B A는 B를 담는다 물품 물품 외궤-내함
A edm:isRelatedTo B A는 B에 올려졌다 물품 물품 금보-배안상
A edm:isRelatedTo B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물품 물품 금보-옥책
A edm:isRelatedTo B A는 B와 관련이 있다 / B는 A와 관련이 있다 의궤 회화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문효세자책례계병
A edm:isRelatedTo B A는 B와 관련이 있다 / B는 A와 관련이 있다 의궤 개념(신분) 고종대례의궤-황제
A edm:isRelatedTo B A는 B와 관련이 있다 / B는 A와 관련이 있다 의궤 인물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조선 영조
A edm:isRelatedTo B A는 B에서 머물렀다 인물 장소 인조-경희궁
A edm:isRelatedTo B A는 B에서 승하하였다 인물 장소 순조-경희궁
A edm:isRelatedTo B A는 B에서 탄생하였다 인물 장소 정조-창경궁 경춘전
A edm:isRelatedTo B A는 B의 담당자였다 인물 단체 신만-가례도감
A edm:isRelatedTo B A는 B와 관련이 있다 / B는 A와 관련이 있다 회화 개념(신분) 수교도-왕세자
A edm:isRelatedTo B A는 B와 관련이 있다 / B는 A와 관련이 있다 회화 인물 무신진찬도병-순원왕후
A ekc:depicts B / B ekc:isDepictedIn A A에 B가 그려져 있다 / B는 A에 그려져 있다 의궤 물품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근배
A ekc:depicts B / B ekc:isDepictedIn A A에 B가 그려져 있다 / B는 A에 그려져 있다 의궤 복식 정조국장도감의궤-면복 상의
A ekc:depicts B / B ekc:isDepictedIn A A는 B를 표현하였다 회화 개념(의례) 수교도-관례
A ekc:depicts B / B ekc:isDepictedIn A A에 B가 그려져 있다 / B는 A에 그려져 있다 회화 복장 수교도-백관의 조복
A ekc:depicts B / B ekc:isDepictedIn A A에 B가 그려져 있다 / B는 A에 그려져 있다 회화 복식 수교도-조복 상의
A ekc:depicts B / B ekc:isDepictedIn A A에 B가 그려져 있다 / B는 A에 그려져 있다 회화 물품
A ekc:hasWife B / B ekc:hasHusband A A는 B의 남편이다 / B는 A의 아내이다 인물 인물 영조-정순왕후
A participates B A는 B를 거행한다 개념(신분) 개념(의례) -납채
A participates B A는 B를 담당하였다 단체 의궤 가례도감-영조정순왕후의궤
A participates B A는 B를 담당하였다 단체 개념(의례) 가례도감-혼례
A는 B를 착용하였다 개념(신분) 복장 -왕의 대례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개념(신분) 복식 궁녀-당의
A는 B에 해당된다 개념(신분) 인물 -조선 영조
A에서 B로의 절차를 거친다 개념(의례) 개념(의례) 납채-납폐
A는 B에서 유래하였다 단체 단체 장례원-장악서
A는 B에 사용되었다 물품 개념(의례) 근배-동뢰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A에 B가 기록되어 있다 복식 의궤 노의-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A에 B가 기록되어 있다 복장 의궤 왕의 대례복-정조국장도감의궤
A는 B에 착용되었다 복장 개념(의례) 왕의 대례복-혼례
A는 B를 기록하였다 의궤 개념(의례)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혼례
A에서 B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장소 장소 경덕궁-경희궁
A에서 B를 거행하였다 장소 개념(의례) 명정전-납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