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성일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61번째 줄: 61번째 줄: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시간정보==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PAGENAME}} ||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37.39197||127.054387
+
|미상, 조선후기|| {{PAGENAME}} 가 작성되었다 ?
 
|-
 
|-
|{{PAGENAME}} ||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37.498004||127.003670
 
 
|}
 
|}
<googlemap height="250" lat="37.392230" lon="127.054384" type="terrain"  zoom="14"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37.392230, 127.05438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googlemap height="250" lat="37.498004" lon="127.003670" type="terrain"  zoom="14"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공간정보==
37.498004, 127.003670, [[국립중앙도서관]]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googlemap>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시간정보==
+
|37.39197||127.054387||{{PAGENAME}}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37.498004||127.003670||{{PAGENAME}}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
|{{PAGENAME}}||간행년||미상, 조선후기
 
 
|}
 
|}
  

2017년 4월 7일 (금) 23:41 판

산성일기
산성일기 02.jpg
한자명칭 山城日記
영문명칭 Diaries of the life in the Mountain Fortress during the Byeongjahoran (1636 Manchu Invasion)
작자 인조
작성시기 미상
간행시기 조선후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국립중앙도서관
청구기호 2-219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29.7×24.2㎝
판본 필사본
수량 1冊
표기문자 한글


정의

병자호란 당시 인조남한산성에서 항전하던 시점부터 청 태종에게 항복하기까지의 역사적 사실을 날짜별로 기록한 한글 필사본 일기

내용

병자호란 당시 인조仁祖남한산성에서 항전하던 시점부터 청 태종에게 항복하기까지의 역사적 사실을 날짜별로 기록한 한글 필사본 일기이다. 병자호란은 정묘호란 이후에도 조선이 친명정책을 고수한 것을 계기로 발발하였다. 인조는 남한산성에서 항전했으나, 결국 1637년인조15 정월 청 태종에게 무릎을 꿇고 항복하는 굴욕을 당해야 하였다.『산성일기』에는 이러한 병자호란의 경과뿐만 아니라 1637년 2월 청군의 철군, 소현세자봉림대군등이 볼모로 끌려간 사정, 인조의 환궁, 4월 조선사신을 파견하여 청나라 황제에게 공물을 바친 일, 11월 삼전도에 청나라 황제의 송덕비를 건립하게 된 내용까지 자세히 기록하였다. 『산성일기』는 병자호란 당시 역사적 사실을 시간의 추이에 따라 상세히 기록하였고, 병자호란을 보는 작자의 심리를 긴장감 있게 구성하여 사료적, 문학적 가치가 매우 높다. 이 책과 같은 내용이지만 흘림체의 한글로 쓴 『산성일기』가 장서각2-218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1]

부연설명

시각자료

관련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산성일기 인물 인조
산성일기 사건 병자호란
산성일기 장소 남한산성
산성일기 인물 청 태종
산성일기 사건 정묘호란
산성일기 인물 소현세자
산성일기 인물 봉림대군
산성일기 장소 삼전도
산성일기 유물 송덕비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미상, 조선후기 산성일기 가 작성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97 127.054387 산성일기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37.498004 127.003670 산성일기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08-10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