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언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비문의 찬자와 서자) |
(→갤러리) |
||
177번째 줄: | 177번째 줄: |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20px caption='최언위가 제작에 참여한 탑비들'> | <gallery mode=packed heights=220px caption='최언위가 제작에 참여한 탑비들'> | ||
− | 파일:BHST seongjusaji nanghyestele1.jpg|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 | 파일:BHST seongjusaji nanghyestele1.jpg|[[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 | 파일:BHST Taejasa Haengjeok stele.jpg|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ref>"[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4360# 태자사 낭공대사 비석]", 주요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소장품』<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 + | 파일:BHST Taejasa Haengjeok stele.jpg|[[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ref>"[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4360# 태자사 낭공대사 비석]", 주요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소장품』<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
− | 파일:BHST_Beopheungsa_Jinghyo_stele.jpg|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 + | 파일:BHST_Beopheungsa_Jinghyo_stele.jpg|[[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
− | 파일:BHST jingyeong stele.jpg|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 | 파일:BHST jingyeong stele.jpg|[[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 | 파일:BHST Gwangjosa Ieom stele.jpg|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ref>김응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219 광조사진철대사보월승공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파일:BHST Gwangjosa Ieom stele.jpg|[[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ref>김응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219 광조사진철대사보월승공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파일:BHST Borisaji Daegyeong stele front resolution.jpg|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 | 파일:BHST Borisaji Daegyeong stele front resolution.jpg|[[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 | 파일:BHST Bohyeonsa nangwonstele1.jpg|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 | 파일:BHST Bohyeonsa nangwonstele1.jpg|[[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 | 파일:BHST_Muwisa_Seongak_stele.jpg|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 | 파일:BHST_Muwisa_Seongak_stele.jpg|[[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 | 파일:BHST_Myeongbongsa_Jajeok_stele.jpg|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 | 파일:BHST_Myeongbongsa_Jajeok_stele.jpg|[[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 | 파일:BHST Jeongtosaji Beopgyeong stele.jpg|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 | 파일:BHST Jeongtosaji Beopgyeong stele.jpg|[[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 | 파일:BHST Oryongsa Gyeongyu stele.jpg|개성 오룡사 법경대사비<ref>김응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8196 오룡사법경대사보조혜광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파일:BHST Oryongsa Gyeongyu stele.jpg|[[개성 오룡사 법경대사비]]<ref>김응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8196 오룡사법경대사보조혜광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gallery> | </gallery> | ||
2017년 12월 14일 (목) 13:32 판
최언위(崔彦撝) | |
대표명칭 | 최언위 |
---|---|
한자표기 | 崔彦撝 |
영문명칭 | Choe Eon-wi |
생몰년 | 868년(경문왕 8)-944년(혜종 1) |
본관 | 경주 |
이칭 | 최신지(崔愼之), 최인연(崔仁渷) |
시호 | 문영(文英) |
출생지 | 경주 |
시대 | 고려 |
성격 | 문신 |
목차
정의
신라 말 고려 초의 문신.
내용
개요
최언위(崔彦撝)는 경주 사람으로, 성품이 관대하고 인자하였으며 어렸을 때부터 글짓기를 잘하였다. 나이 18세에 당나라에 유학하여 그곳에서 문과에 급제하였고, 42세에 비로소 신라에 귀국하였다.[1] 935년(태조 18)에 신라 경순왕이 고려에 투항하자, 고려에 가서 태자사부(太子師傅)가 되었고 문한(文翰)을 위임받았다.[2] 고려에서 최언위는 고위층 자제를 교육하고 궁호(宮號)를 제정하는 일을 맡았다.[3]
세 개의 이름
최언위는 평생 신지(愼之), 인연(仁渷), 언위(彦撝) 등 세 개나 되는 이름을 사용하여, 한동안 이들이 동일 인물이라는 사실도 알지 못하였다. 당나라로 떠나기 전까지는 '최신지'라는 이름을 사용하였고, 신라에 조정에 와서 작성한 비문에서는 '최인연'을, 그리고 새로운 왕조 고려에 귀부하여서는 '최언위'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4]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寧越 興寧寺址 澄曉大師塔碑)의 경우, 비문의 첫머리에 지은이를 밝힐 때 '최언위'라고 표기하였지만, 마지막 겸사(謙辭) 부분에서는 '최인연'이라는 이름이 나온다.[5]
조청대부(朝請大夫) 수(守) 집사시랑(執事侍郞) 사자금어대(賜紫金魚袋) 신(臣) 최언위(崔彦撝)가 왕명을 받들어 비문을 지음.
|
||
출처: 최연식, 「흥녕선원 징효대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 50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
최신지, 최인연, 최언위가 동일 인물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것은 20세기 이후였다.[6]
잊혀진 문장가
최언위는 뛰어난 문장으로 이름을 날렸으며, 최치원(崔致遠), 최승우(崔承祐)와 함께 '일대삼최(一代三崔)'라 불리었다.[7] 954년에 건립된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奉化 太子寺 朗空大師塔碑)의 뒷면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남아있다.
최인연(崔仁渷)은 진한(辰韓)의 무족(茂族: 귀족) 사람이다. 이른바 일대(一代)의 삼최(三崔)가 모두 당나라에 유학하여 금방(金榜)으로 급제하고 귀국하였으니 최치원(崔致遠), 최인연(崔仁渷), 최승우(崔承祐) 등인데, 인연(仁渷)은 그 중간에 속하는 사람이다. 학문은 해악(海岳)을 두루 덮었고, 열람한 책은 오거(五車)에 이거(二車)를 더하였으며, 재주는 풍운(風雲)을 모두 맡아 칠보시(七步詩)의 재능에서 삼보(三步)를 제하였으니, 실로 군자국(君子國)의 군자(君子)이며 또한 대인향(大人鄕)의 대인(大人)이라 하겠다. | ||
출처: 임세권 저, 이우태 편저, 「태자사 낭공대사 백월서운탑비」, 『한국금석문집성 17 : 고려1 비문1』, 한국국학진흥원, 2014, 36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7 : 고려1 비문1", |
최치원이 고려 문인들에게 동국 문장의 비조(鼻祖)로서 인정을 받은 것에 비해, 최언위는 고려 문학사에서 언급조차 되지 않고 그 존재조차 잊혀졌다.[8] 최치원의 글은 문집의 형태로 정리되어 유전되었던 반면, 최언위의 작품은 돌로 전하는 부도탑비명 이외에 전해지는 문장이 없었다는 점이 가장 큰 원인이다. 또한 최언위의 아들 최행귀(崔行歸)가 광종대 역신으로 몰려 복주되었던 사건은 최언위의 문장이 철저히 민멸되는 결정적인 원인을 제공하였다.[9]
비문의 찬자와 서자
당대의 문장가로서 최언위는 선사 비문의 찬술을 전담하면서 고려의 이념과 태조의 정교를 선양하는 데 앞장섰다.[10] 그가 지었거나 관계되어 있는 비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시대 | 탑비 | 대상 승려 | 비문 찬술연도 | 비 건립연도 | 찬자 | 서자 | 지정정보 | 소재지 |
---|---|---|---|---|---|---|---|---|
신라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무염(無染) | 890 | 924 (경명왕 8) | 최치원 | 최언위 | 국보 제8호 | 보령 성주사지 |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 행적(行寂) | 경명왕代 | 954(광종 5) | 최언위 | 김생(金生)의 글씨를 집자 | 보물 제1877호 | 국립중앙박물관 | |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 절중(折中) | 924? | 944(혜종 1) | 최언위 | 최윤 | 보물 제612호 | 영월 법흥사 |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심희(審希) | 924 | 924(태조 7) | 신라 경명왕 | 비문: 행기, 제액: 최언위 | 보물 제363호 | 국립중앙박물관 | |
고려 |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 이엄(利嚴) | 936-7 | 937(태조 20) | 최언위 | 이환추 | 북한 국보 문화유물 제85호 | 해주 광조사지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여엄(麗嚴) | 939 | 939(태조 22) | 최언위 | 이환추 | 보물 제361호 | 국립중앙박물관 |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개청(開淸) | 940? | 940(태조 23) | 최언위 | 구족달 | 보물 제192호 | 강릉 보현사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형미(逈微) | 940? | 946(정종 1) | 최언위 | 유훈율 | 보물 제507호 | 강진 무위사 |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홍준(弘俊) | 941? | 941(태조 24) | 최언위 | 미상 | 보물 제1648호 | 예천 명봉사 |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현휘(玄暉) | 943? | 943(태조 26) | 최언위 | 구족달 | 보물 제17호 | 충주 정토사지 | |
개성 오룡사 법경대사비 | 경유(慶猷) | 943? | 944(혜종 1) | 최언위 | 선경 | 북한 국보 문화유물 제153호 | 개성 오룡사지 |
지식 관계망
- 최언위가 제작에 참여한 탑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무염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최치원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 행적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 절중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심희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신라 경명왕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최언위 | A는 B가 제액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 이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 이환추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여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이환추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개청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구족달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형미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유훈율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홍준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현휘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구족달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개성 오룡사 법경대사비 | 경유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개성 오룡사 법경대사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개성 오룡사 법경대사비 | 선경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사무외대사 | 형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사무외대사 | 여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사무외대사 | 이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사무외대사 | 경유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공간정보
- 최언위가 제작에 참여한 탑비의 소재지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고려사(高麗史)』 열전 권제5(列傳 卷第五) 제신(諸臣). 온라인 참조: "최언위", 고려시대 사료 데이터베이스,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정학수, "최언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보경, 「비문에 새겨진 최언위의 삶, 사유, 문학」, 『고전과 해석』 Vol.5,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08, 159쪽.
- ↑ 이현숙, 「나말려초 최언위의 정치적 활동과 위상」, 『이화사학연구』 Vol.22, 이화여자대학교 사학연구소, 1995, 8쪽.
- ↑ 이현숙, 「나말려초 최언위의 정치적 활동과 위상」, 『이화사학연구』 Vol.22, 이화여자대학교 사학연구소, 1995, 16쪽.
- ↑ 이현숙, 「나말여초 최치원과 최언위」, 『퇴계학과 한국문화』 Vol.35-2,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4, 225쪽.
- ↑ 정학수, "최언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현숙, 「나말여초 최치원과 최언위」, 『퇴계학과 한국문화』 Vol.35-2,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4, 188-189쪽.
- ↑ 이현숙, 「나말여초 최치원과 최언위」, 『퇴계학과 한국문화』 Vol.35-2,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4, 225-226쪽.
- ↑ 김보경, 「비문에 새겨진 최언위의 삶, 사유, 문학」, 『고전과 해석』 Vol.5,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08, 159쪽.
- ↑ "태자사 낭공대사 비석",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김응현, "광조사진철대사보월승공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응현, "오룡사법경대사보조혜광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삼국사기(三國史記)』 권제46 열전 제6(卷第四十六 列傳 第六) 최언위(崔彦撝). 온라인 참조: "최언위", 삼국사기,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고려사(高麗史)』 열전 권제5(列傳 卷第五) 제신(諸臣). 온라인 참조: "최언위", 고려시대 사료 데이터베이스,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혜종의공대왕(惠宗義恭大王) 혜종(惠宗) 1년 12월 최언위의 졸기. 온라인 참조: "최언위의 졸기", 고려시대 사료 데이터베이스,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김경혜, 「나말여초 최언위의 선승탑비명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 김보경, 「비문에 새겨진 최언위의 삶, 사유, 문학」, 『고전과 해석』 Vol.5,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08, 131-163쪽.
- 김수천, 「최언위 〈성주사지낭혜화상비〉의 서체미」, 『서지학연구』 제31집, 서지학회, 2005, 201-230쪽.
- 이현숙, 「나말려초 최언위의 정치적 활동과 위상」, 『이화사학연구』 Vol.22, 이화여자대학교 사학연구소, 1995, 7-42쪽.
- 이현숙, 「나말여초 최치원과 최언위」, 『퇴계학과 한국문화』 Vol.35-2,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4, 187-232쪽.
- 장일규, 「나말여초 지식인의 정치이념과 훈요10조 - 최언위의 정치이념을 중심으로」, 『진단학보』 제104호, 진단학회, 2007.12, 41-72쪽.
- 정학수, "최언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최언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