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순왕후의 혼례식 - 왕실의 혼례 절차와 복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심기사)
(내용)
25번째 줄: 25번째 줄:
 
=='''내용'''==
 
=='''내용'''==
 
===가례 식순, 육례===
 
===가례 식순, 육례===
왕실의 혼례식은 왕비(왕세자빈)의 간택 이후, 육례에 따라 본격적인 의식 절차가 진행된다. 여섯 가지 예법 즉 육례(六禮)는 국왕이 혼인을 청하는 의식인 [[납채|납채(納采)]], 성혼의 징표로 예물을 보내는 [[납징|납징(納徵)]], 책비(冊妃)와 친영(親迎)의 날짜를 잡는 [[고기|고기(告期)]], 왕비로 책봉하는 의식인 [[책비|책비(冊妃)]], 국왕이 별궁으로 가서 신부를 모셔오는 [[친영|친영(親迎)]], 국왕과 왕비가 함께 궁궐에서 잔치를 베푸는 의식인 [[동뢰|동뢰(同牢)]]로 구성된다.  
+
왕실의 혼례식은 왕비의 간택 이후, 육례에 따라 본격적인 의식 절차가 진행된다. 여섯 가지 예법 즉 육례(六禮)는 국왕이 혼인을 청하는 의식인 [[납채|납채(納采)]], 성혼의 징표로 예물을 보내는 [[납징|납징(納徵)]], 책비(冊妃)와 친영(親迎)의 날짜를 잡는 [[고기|고기(告期)]], 왕비로 책봉하는 의식인 [[책비|책비(冊妃)]], 국왕이 별궁으로 가서 신부를 모셔오는 [[친영|친영(親迎)]], 국왕과 왕비가 함께 궁궐에서 잔치를 베푸는 의식인 [[동뢰|동뢰(同牢)]]로 구성된다.  
  
===반차도===
 
왕이 왕비의 임시 거처인 별궁으로 나아가 궁으로 모시고 돌아오는 친영의 행렬 장면은 가례도감의궤 말미에 친영 반차도로 기록되어 있다. 친영 행렬의 구성은 크게 선도 행렬, 어가 행렬, 왕비 행렬, 수행 행렬의 순으로 나눌 수 있다. 친영의 앞부분을 구성하는 선도행렬에는 왕을 상징하는 장엄하고 화려한 의장물들이 앞장서고, 그 뒤로 호위무사들이 수행하는 어가 행렬이 이어진다. 뒤이어 왕비 책봉에 관련된 [[교명|교명문]], [[금보|금보]], [[옥책|옥책]], 명복 등을 실은 가마가 따르고, 이어 왕비의 가마와 이를 따르는 수행인물들이 이어진다. 후반부는 행차를 마무리하는 부분으로, 후미에서 행렬을 경호하는 인물들이 따른다. 친영을 왕실 가례의 핵심 장면으로 중히 여겼기에 가례도감의궤 반차도는 당대 최고의 화원들이 맡아 그렸고, 귀한 천연 물감을 사용하여 오늘날까지 특유의 화려하고 아름다운 색감이 그대로 남아 있다. 혼례식에 참여한 사람들의 '''복식'''과 가마ㆍ의장기ㆍ각종 '''기물'''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으며 '''반차도 VR'''을 통해 보여줄 예정...
 
  
 
===영조정순왕후 혼례식 전모===
 
===영조정순왕후 혼례식 전모===
40번째 줄: 38번째 줄: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h.aks.ac.kr/~howon/graph/1759_wedding_ceremony_costume.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h.aks.ac.kr/~howon/graph/1759_wedding_ceremony_costume.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반차도===
 +
왕이 왕비의 임시 거처인 별궁으로 나아가 궁으로 모시고 돌아오는 친영의 행렬 장면은 가례도감의궤 말미에 친영 반차도로 기록되어 있다. 친영 행렬의 구성은 크게 선도 행렬, 어가 행렬, 왕비 행렬, 수행 행렬의 순으로 나눌 수 있다. 친영의 앞부분을 구성하는 선도행렬에는 왕을 상징하는 장엄하고 화려한 의장물들이 앞장서고, 그 뒤로 호위무사들이 수행하는 어가 행렬이 이어진다. 뒤이어 왕비 책봉에 관련된 [[교명|교명문]], [[금보|금보]], [[옥책|옥책]], 명복 등을 실은 가마가 따르고, 이어 왕비의 가마와 이를 따르는 수행인물들이 이어진다. 후반부는 행차를 마무리하는 부분으로, 후미에서 행렬을 경호하는 인물들이 따른다. 친영을 왕실 가례의 핵심 장면으로 중히 여겼기에 가례도감의궤 반차도는 당대 최고의 화원들이 맡아 그렸고, 귀한 천연 물감을 사용하여 오늘날까지 특유의 화려하고 아름다운 색감이 그대로 남아 있다. 혼례식에 참여한 사람들의 '''복식'''과 가마ㆍ의장기ㆍ각종 '''기물'''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으며 '''반차도 VR'''을 통해 보여줄 예정...
 +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h.aks.ac.kr/~howon/pavilion/1759_wedding_ceremony_P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2017년 4월 24일 (월) 21:52 판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주제 가례(嘉禮)
작성주체 가례도감(嘉禮都監)
의례담당자 신만(申晩)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759년(영조 35년)
소장처(원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상책),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하책), 규장각한국학연구원(태백산)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2책 288장(상책 150장, 하책 138장): 어람용/2책 291장(제1책 152장, 제2책 139장): 태백산
도설 18면(제1책 4면, 제2책 14면)(채색), 반차도 50면(제2책)(채색)



소개

1759년 6월, 창경궁.
66세의 영조와 15세의 신부 정순왕후의 혼례식이 거행되다.


조선 왕실의 큰 경사를 이르는 말인 가례(嘉禮)는 오례의 하나로, 국혼(國婚)·즉위(卽位)·책봉(册封)·사연(賜宴)·노부(鹵簿) 등의 의식예법을 포함한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기록된 『가례도감의궤』는 모두 왕·왕세자의 혼례와 관련이 있어 작게는 왕실의 혼례의식을 뜻하는 용어였음을 알 수 있다.
현존하는 조선시대 『가례도감의궤』는, 왕의 가례 9건, 왕세자의 가례 9건, 왕세손의 가례 1건, 황태자의 가례 1건이 있으며, 그 지위에 따라 격을 달리하여 행해졌다. 여기에서는 왕의 가례 중 하나인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1759)를 통해 조선 후기 재정비된 조선 왕실 혼례식의 전모를 파헤져 보고자 한다.

내용

가례 식순, 육례

왕실의 혼례식은 왕비의 간택 이후, 육례에 따라 본격적인 의식 절차가 진행된다. 여섯 가지 예법 즉 육례(六禮)는 국왕이 혼인을 청하는 의식인 납채(納采), 성혼의 징표로 예물을 보내는 납징(納徵), 책비(冊妃)와 친영(親迎)의 날짜를 잡는 고기(告期), 왕비로 책봉하는 의식인 책비(冊妃), 국왕이 별궁으로 가서 신부를 모셔오는 친영(親迎), 국왕과 왕비가 함께 궁궐에서 잔치를 베푸는 의식인 동뢰(同牢)로 구성된다.


영조정순왕후 혼례식 전모

영조와 정순왕후의 가례 절차, 착용복식, 동뢰연에서 사용된 의물 등에 대한 설명...

영조정순왕후 육례별 착용한 혼례복

영조와 정순왕후가 육례별로 착용한 구체적인 혼례복에 대한 설명...

반차도

왕이 왕비의 임시 거처인 별궁으로 나아가 궁으로 모시고 돌아오는 친영의 행렬 장면은 가례도감의궤 말미에 친영 반차도로 기록되어 있다. 친영 행렬의 구성은 크게 선도 행렬, 어가 행렬, 왕비 행렬, 수행 행렬의 순으로 나눌 수 있다. 친영의 앞부분을 구성하는 선도행렬에는 왕을 상징하는 장엄하고 화려한 의장물들이 앞장서고, 그 뒤로 호위무사들이 수행하는 어가 행렬이 이어진다. 뒤이어 왕비 책봉에 관련된 교명문, 금보, 옥책, 명복 등을 실은 가마가 따르고, 이어 왕비의 가마와 이를 따르는 수행인물들이 이어진다. 후반부는 행차를 마무리하는 부분으로, 후미에서 행렬을 경호하는 인물들이 따른다. 친영을 왕실 가례의 핵심 장면으로 중히 여겼기에 가례도감의궤 반차도는 당대 최고의 화원들이 맡아 그렸고, 귀한 천연 물감을 사용하여 오늘날까지 특유의 화려하고 아름다운 색감이 그대로 남아 있다. 혼례식에 참여한 사람들의 복식과 가마ㆍ의장기ㆍ각종 기물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으며 반차도 VR을 통해 보여줄 예정...

작성기사

중심기사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왕의 대례복
왕의 조복
왕비의 대례복
왕비의 소례복
왕대비의 대례복
면관
원유관
강사포
9장문
중단(왕실남성)
폐슬(왕실남성)

상(왕실남성)
옥대
후수(왕실남성)
대대(왕실남성)
패옥(왕실남성)

적말
적석
별의
내의
대대(왕실여성)
중단(왕실여성)
후수(왕실여성)
패옥(왕실여성)
전행웃치마
폐슬(왕실여성)
상(왕실여성)
적의
하피
체발
온혜
노의
너울
여립
노의대
국립중앙박물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문맥기사

영조
정성왕후
정순왕후
선의왕후
가례도감
상의원
혼례
납채
납징
고기
책비
친영
동뢰
조현례
명정전
어의궁
통명전
면복각
은봉병
쌍이단엽황금잔
근배
향좌아
주정
운두첨자
유제등
겹휘건
화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