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가)
223번째 줄: 223번째 줄:
 
* [[최영림]]
 
* [[최영림]]
 
* [[하인두]]
 
* [[하인두]]
 +
 +
==역사인물==
 +
* [[강감찬]]
 +
* [[계백]]
 +
* [[곽재우]]
 +
* [[광개토대왕]]
 +
* [[권율]]
 +
* [[김대성]]
 +
* [[김시민]]
 +
* [[김정호]]
 +
* [[김종서]]
 +
* [[김좌진]]
 +
* [[김춘추]]
 +
* [[민영환]]
 +
* [[민종식]]
 +
* [[박승환]]
 +
* [[사명대사]]
 +
* [[서산대사]]
 +
* [[서희]]
 +
* [[신돌석]]
 +
* [[안중근]]
 +
* [[안창호]]
 +
* [[양만춘]]
 +
* [[연개소문]]
 +
* [[유관순]]
 +
* [[유인우]]
 +
* [[윤관]]
 +
* [[윤치호]]
 +
* [[을지문덕]]
 +
* [[이녕]]
 +
* [[이성계]]
 +
* [[이순신]]
 +
* [[이승훈]]
 +
* [[이정암]]
 +
* [[임경업]]
 +
* [[장보고]]
 +
* [[전봉준]]
 +
* [[정기룡]]
 +
* [[정약용]]
 +
* [[조헌]]
 +
* [[최무선]]
 +
* [[최영]]
 +
* [[최익현]]
 +
* [[허준]]
 +
* [[홍범도]]

2016년 9월 22일 (목) 12:27 판

민족기록화관

민족기록화는 ‘민족’의 가치를 강조하고 ‘근대화’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1967년에 처음 시작하여 1979년까지 당대의 저명한 화가들의 참여와 정부 지원으로 그려진 기록화들이다. 본 연구 사업은 그 가운데 1973~1979년 사이에 문예진흥원의 공식적인 지원 사업으로 제작된 대략 100여 점의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개개의 작품이 모두 뛰어난 묘사를 통해 역사적 사건을 실감나게 다루고 있기에, 우리 역사와 문화의 이면을 짚고 그 가치를 생각하게 하는 역사 문화교육 매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민족기록화 작품을 중심으로 하여 약 500여 개의 지식노드(민족기록화 100여 편, 작가 50여 명, 사건 50여건, 공간 50여 건, 역사 인물 100여 명, 관련 문헌 50여 건, 개념어 50여 건)를 추출하고, 해당 노드들을 중심으로 의미적 관계망을 시각자료와 함께 구현하여, 그림 속에 담겨 있는 우리 역사의 다양한 지식들을 재미있는 이야기로 가공하여 전달하고자 한다.

데이터 관계망 예시

대상 자원 목록

1차 자원:민족기록화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민족기록화

민족기록화 작품(역사/문화)

고대

삼국/통일신라

고려

조선

계몽/항일

현대

민족기록화 작품(경제발전)

농축수산/새마을

광공업

에너지

건설/교통

작가

역사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