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수교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갤러리)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회화정보
 
{{회화정보
 
|사진= 궁중기록화_회화_수교도00_연구소.jpg
 
|사진= 궁중기록화_회화_수교도00_연구소.jpg
|사진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
|사진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http://www.nrich.go.kr/) 소장.
 
|대표명칭= 수교도
 
|대표명칭= 수교도
 
|한자표기= 受敎圖  
 
|한자표기= 受敎圖  
15번째 줄: 15번째 줄:
  
 
=='''정의'''==
 
=='''정의'''==
[[왕세자]]의 성인식인 [[관례]]의 절차를 그린 그림이다. 국가 의례인 [[오례|오례(五禮)]] 중 [[가례|가례(嘉禮)]]에 해당하는 [[관례]]를 [[왕세자]]는 대략 10세 전후하여 [[관례]]를 치르는데, 의례의 시작으로여겨 엄숙하게 거행하였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86488&cid=46702&categoryId=46739 네이버 지식백과 '수교도']</ref>
+
[[왕세자]]의 성인식인 [[관례|관례(冠禮)]]의 절차를 그린 그림으로, 1819년(순조 19) 3월 20일에 [[효명세자|효명세자(孝明世子)]][[경희궁 경현당]]에서 [[관례]]를 거행한 기록을 그림으로 남긴 13폭의 그림이다.<ref>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222쪽.</ref>
  
 
=='''내용'''==
 
=='''내용'''==
 
===해제===
 
===해제===
13폭 그림만으로 이루어진 화첩으로, 깔끔한 윤곽선과 선명하고 화려한 채색으로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지만, 그림의 내용을 제공하는 문자가 전혀 없어 화첩 내용 파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표지에 '受敎圖'라고 해서체로 써져 있어 [[왕세자]]의 [[관례]]를 그린 의식임을 추측할 수 있으며, 그림의 내용이 [[국조오례의]]』의 [[관례]]와 부합해 [[왕세자]] [[관례]]에 관한 도첩임을 알 수 있다.<ref>박정혜, 「조선시대 왕세자와 궁중기록화」,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 지도』, 민속원, 2005, 39쪽.</ref>
+
그림만으로 이루어진 13폭 화첩으로, 깔끔한 윤곽선과 선명하고 화려한 채색으로 높은 완성도를 보여준다. 그러나 그림의 내용을 설명해주는 문자가 전혀 없어 화첩 내용 파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표지에 '受敎圖'라고 해서체로 써져 있어 [[왕세자]]의 [[관례]]를 그린 의례임을 추측할 수 있으며, 그림의 내용이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관례]] 내용과 [[왕세자]] [[관례]]에 관한 도첩임을 알 수 있다.<ref>박정혜, 「조선시대 왕세자와 궁중기록화」,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 지도』, 민속원, 2005, 39쪽.</ref>
  
 
===구성===
 
===구성===
'''〈임헌명빈찬의도(臨軒命賓贊儀圖)〉''' : 1, 2면  
+
'''〈임헌명빈찬의도(臨軒命賓贊儀圖)〉''' : 1, 2면 <br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 회화 수교도01 연구소.jpg
 +
</gallery>
 +
[[왕]]이 [[경희궁 숭정전]]에서 빈(賓)과 찬(贊)에게 [[효명세자]]의 [[관례]]를 행할 것을 명령하는 장면으로, 내용은 전교관이 선교하고 교서가 든 교서함을 빈이 받는 의식이다. [[종친]]과 [[백관]]이 동쪽과 서쪽으로 나뉘어 서 있는 모습을 그렸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89쪽.</ref>
 
<br />
 
<br />
[[왕]]이 정전에서 빈(賓)과 찬(贊)에게 [[왕세자]]의 [[관례]]를 행할 것을 명령하는 장면으로, 내용은 전교관이 선교하고 교서가 든 교서함을 빈이 받는 의식이다. [[종친]]과 [[백관]]이 동쪽과 서쪽으로 나뉘어 서 있는 모습을 그렸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89쪽.</ref>
 
 
<br />
 
<br />
 
+
'''〈세자수궁관급집사배도(世子受宮官及執事拜圖)〉''' : 3, 4면 <br />
'''세자수궁관급집사배도(世子受宮官及執事拜圖)〉''' : 3, 4면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 회화 수교도02 연구소.jpg
 +
</gallery>
 +
[[관례]]가 진행되는 장면으로, [[경희궁 경현당]]에서 [[효명세자]]가 세자시강원 및 익위사 관원, 집사자들로부터 재배(再拜)를 받는 의식을 그린 것이다. 동쪽에는 [[시강원]] 관원 및 집사관이 있고, 서쪽에는 익위사 관원들이 앉아있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93쪽.</ref>
 +
<br />
 
<br />
 
<br />
[[관례의]]가 진행되는 장면으로, [[동궁]] 처소에서 [[왕세자]]가 세자시강원 및 익위사 관원, 집사자들로부터 재배를 받는 의식을 그린 것이다. 동쪽에는 시강원 관원 및 집사관이 있고, 서쪽에는 익위사 관원들이 앉아있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93쪽.</ref>  
+
'''〈세자여이품이상답배도(世子與二品以上答拜圖)〉''' : 5, 6면 <br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 회화 수교도03 연구소.jpg
 +
</gallery>
 +
[[효명세자]]가 [[경희궁 경현당]] 안에서 [[종친]] 및 2품 이상의 [[백관]]과 인사를 나누는 장면이다. [[경희궁 경현당]] 안으로 들어온 후 [[종친]] 및 문관은 북쪽, 무관은 남쪽이 절하는 위치로 가서 [[왕세자]]에게 재배하면 [[왕세자]]도 답배하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ref>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224쪽.</ref>
 
<br />
 
<br />
 
'''〈세자여이품이상답배도(世子與二品以上答拜圖)〉''' : 5, 6면
 
 
<br />
 
<br />
[[종친]] 및 2품 이상의 [[백관]]이 당 안으로 들어오면 [[종친]] 및 문관은 북쪽, 무관은 남쪽이 절하는 위치로 가서 [[왕세자]]에게 재배(再拜)하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95쪽.</ref>  
+
'''〈세자수삼품이하배도(世子受三品以下拜圖)〉''' : 7, 8면 <br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 회화 수교도04 연구소.jpg
 +
</gallery>
 +
[[효명세자]]가 [[경희궁 경현당]] 3품 이하 관원들에게 절을 받는 장면이다. [[왕세자]]는 동쪽 벽 가까이에 서향한 의자에 앉고, 뜰에는 궁관과 [[백관]]이 앉아 있다. 동쪽에는 문관 3품 이하, 서쪽에는 무관 3품 이하의 관리들이 [[왕세자]]에게 재배한다.<ref>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224쪽.</ref>
 
<br />
 
<br />
 
'''〈세자수삼품이하배도(世子受三品以下拜圖)〉''' : 7, 8면
 
 
<br />
 
<br />
[[왕세자]]가 3품 이하 관원들에게 절을 받는 장면이다. [[왕세자]]의 의자 주변을 호위한 세자시강원과 익위사 관원들과 3품 이하 백관이 그려져 있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97쪽.</ref>  
+
'''〈세자강계배사부빈객도(世子降階拜師傅賓客圖)〉''' : 9, 10면<br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 회화 수교도05 연구소.jpg
 +
</gallery>
 +
[[효명세자]]가 사부(師傅), 빈객(賓客)을 맞이하는 의식을 그린 장면이다. [[왕세자]]는 뜰 동쪽에서 서쪽을 향해 마련된 자리에 서고, 그 앞에 [[백관의 조복|조복]]을 입은 사부가 절하는 모습을 그렸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98쪽.</ref>
 
<br />
 
<br />
 
'''〈세자강계배사부빈객도(世子降階拜師傅賓客圖)〉''' : 9, 10면
 
 
<br />
 
<br />
[[왕세자]]가 궁관과 집사관, 사부, 빈객을 맞이하는 의식을 그린 장면이다. 서쪽에 마련된 [[왕세자]]의 자리가 있고, 그 앞에 [[백관의 조복]]을 입은 사부가 절하는 모습을 그렸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98쪽.</ref>
+
'''〈세자여주인답배도(世子與主人答拜圖)〉''' : 11, 12면 <br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 회화 수교도06 연구소.jpg
 +
</gallery>
 +
[[효명세자]]의식을 주관한 주인이 서로 절하는 장면이다. [[왕세자]]의 자리는 서쪽에 마련되었고, 동쪽에서 [[백관의 조복|조복]]을 입은 주인이 홀로 절하고 있다. [[왕세자]]가 재배하면 주인이 답하여 재배하는 모습이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99쪽.</ref>
 
<br />
 
<br />
 
'''〈세자여주인답배도(世子與主人答拜圖)〉''' : 11, 12면
 
 
<br />
 
<br />
[[왕세자]]와 의식을 주관한 주인이 서로 절하는 과정을 그렸다. [[왕세자]]의 자리는 서쪽에 마련되었고, 동쪽에서 [[백관의 조복]]을 입은 주인이 홀로 절하고 있다. [[왕세자]]가 재배하면 주인이 답하여 재배하는 모습이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99쪽.</ref> <br />
+
'''〈세자수교도(世子受敎圖)〉''' : 13, 14면 <br />
'''〈세자수교도(世子受敎圖)〉''' : 13, 14면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 회화 수교도07 연구소.jpg
 +
</gallery>
 +
[[효명세자]]가 빈(賓)인 [[서용보|서용보(徐龍輔)]]로부터 [[]]이 내린 교서(敎書)를 받는 의식을 그린 장면이다. 중앙에 [[왕세자]]는 북쪽을 향해 설치된 자리에서 사배(四拜)를 하고 교서를 받았다. 계단 위에는 교서가 담겨있는 교서함이 준비되어 있다. 빈은 [[왕세자]]에게 교서를 반포한 후 교서와 교서함을 전달한다.<ref>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225쪽.</ref>
 
<br />
 
<br />
 
[[왕세자]]는 빈(賓)이 왕명을 받들고 온 교서를 받는 의식을 그린 장면이다. 중앙에 [[왕세자]]가 서있는 자리가 있고, 계단 위에 교서가 담겨있는 교서함이 준비되어 있다. 교서함 서쪽에 서 있는 사람이 찬자(贊者)이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00쪽.</ref>
 
 
<br />
 
<br />
 
+
'''〈세자승계입동서도(世子陞階入東序圖)〉''' : 15, 16면 <br />
'''〈세자승계입동서도(世子陞階入東序圖)〉''' : 15, 16면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 회화 수교도08 연구소.jpg
 +
</gallery>
 +
[[삼가례|삼가례(三加禮)]]를 준비하는 동안 교서를 받은 [[효명세자]]가 계단 위로 올라가 [[경희궁 경현당]]의 협실로 들어가 기다리는 절차를 보여주는 장면이다. 당 안에 [[관례]]를 위한 복식이 담긴 함이 보이고 파란 휘장 뒤에 [[왕세자]]가 대기하고 있다. 계단 위의 서쪽에는 [[왕세자]]에게 관을 씌울 빈이 자리 위에 서 있고, 동쪽 계단 끝에는 [[왕세자]]의 머리를 빗기고, 머리싸개를 씌울 빈찬관이 손을 씻는 탁자가 있다.<ref>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225~226쪽.</ref>
 
<br />
 
<br />
[[삼가|삼가(三加)]]를 준비하는 동안 교서를 받은 [[왕세자]]가 계단 위로 올라가 협실로 들어가 기다리는 절차를 보여주는 장면이다. 당 안에 [[관례]]를 위한 복식이 담긴 함이 보이고 파란 위장 뒤에 왕세자가 대기하고 있다. 왕세자의 자리 동쪽에 있는 사람이 주인이고 북쪽에는 사(師)가 대기하고 있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01쪽.</ref>
 
 
<br />
 
<br />
 
+
'''〈삼가도(三加圖)〉''' : 17, 18면 <br />
'''〈삼가도(三加圖)〉''' : 17, 18면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 회화 수교도09 연구소.jpg
 +
</gallery>
 +
[[효명세자]]에게 세 번 관을 씌우는 [[삼가례|삼가례(三加禮)]]의 절차를 그린 장면이다. 주인이 [[왕세자]]를 자리로 인도하면 빈이 머리를 빗질하고 싸맨 후 [[강사포]]를 입고 나와 첫 번째 관인 [[원유관|원유관(遠遊冠)]]을 씌워줌으로 [[왕세자의 상복]]을 갖춘다. [[왕세자]]는 협실로 들어가 [[곤룡포]]를 갈아입고 나와서 두 번째 관인 [[익선관|익선관(翼善冠)]]을 씌워줌으로 [[왕세자의 조복]]을 갖춘다. 다시 협실로 들어가 면복을 입고 나와 세 번째 관인 [[면관|면관(冕冠)]]을 씌워줌으로 [[왕세자의 대례복]]을 갖추면 [[삼가례]]의 의식이 모두 끝난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02쪽.</ref>
 
<br />
 
<br />
[[왕세자]]에게 [[초가]], [[재가]], [[삼가]]의 관을 씌우는 절차를 그린 장면이다. 주인이 [[왕세자]]를 자리로 인도하면 빈이 머리를 빗질하고 싸맨 후 [[초가]]의 관인 [[원유관]]을 씌운다. 이후 [[왕세자]]는 협실로 들어가 [[곤룡포]]를 갈아입고 나와서 [[재가]]의 관인 [[익선관]]을 쓴다. 다시 협실로 들어가 면복을 입고 나와 [[삼가]]의 관인 [[면관]]을 쓰면 삼가의 예를 마친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02쪽.</ref>
 
 
<br />
 
<br />
 
+
'''〈세자수예도(世子受醴圖)〉''' : 19, 20면 <br />
'''〈세자수예도(世子受醴圖)〉''' : 19, 20면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 회화 수교도10 연구소.jpg
 +
</gallery>
 +
[[왕세자]]가 [[왕세자의 대례복]]인 면복을 입고 당 안의 자리에 앉아 단술을 받아 마시는 장면이다. [[왕세자의 대례복|면복]]을 입은 [[왕세자]]에게 빈이 단술을 올리면서 축사를 한다.<ref>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227쪽.</ref>
 
<br />
 
<br />
[[왕세자]]가 [[왕세자의 대례복]]인 면복을 입고 당 안의 자리에 앉아 감주를 받아 마시는 장면이다. 이 의식은 빈과 찬이 주관한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03쪽.</ref> <br />
 
 
'''〈빈자세자도(賓字世子圖)〉''' : 21, 22면
 
 
<br />
 
<br />
빈이 [[왕세자]]에게 자를 내려주는 장면이다. 화면의 동쪽에서 서쪽을 바라보며 서 있는 사람이 행사를 주관하는 주인이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05쪽.</ref>  
+
'''〈빈자세자도(賓字世子圖)〉''' : 21, 22면 <br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 회화 수교도11 연구소.jpg
 +
</gallery>
 +
빈이 [[효명세자]]에게 자(字)를 내려주는 장면이다. 이 때 [[왕세자]]의 자를 ‘덕인(德仁)’으로 지었는데, [[왕]]이 지은 것을 빈이 전달하는 방식이다.<ref>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228쪽.</ref>
 
<br />
 
<br />
 
'''〈조알의도(朝謁儀圖)''' : 23, 24면
 
 
<br />
 
<br />
[[관례]]를 마친 [[왕세자]]가 [[왕]]에게 하례를 올리는 장면이다. 화면을 이분하여 아래는 하례장면 오른쪽은 [[왕세자]]가 대기하고 있는 장소를 그렸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07쪽.</ref>  
+
'''〈조알의도(朝謁儀圖)〉''' : 23, 24면<br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 회화 수교도12 연구소.jpg
 +
</gallery>
 +
[[관례]]를 거행한 후 [[효명세자]]가 [[경희궁 흥정당]]으로 가서 [[왕]]에게 인사를 올리는 장면이다. 화면을 이분하여 왼쪽은 인사를 올리는 장면이고, 오른쪽은 [[왕세자]]가 대기하고 있는 장소를 그렸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07쪽.</ref> 왕세자가 절하는 자리는 동쪽에 있고, 그 뒤에는 시강원과 익위사 관리들이 서 있다. 도승지 [[윤정렬(尹鼎烈)]]이 [[왕]]의 명을 받고 나와 교계(敎戒)를 전달한다.<ref>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228쪽.</ref>
 
<br />  
 
<br />  
 
'''〈회빈객의도(會賓客儀圖)〉''' : 25, 26면
 
 
<br />
 
<br />
[[왕세자]] 관례의 마지막 절차로 주인이 빈객에게 연회를 베푸는 장면이다. 『국조오례의』에 의하면 조알례 이전이여야 하나 여기서는 맨 마지막 절차로 그려졌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09쪽.</ref>
+
'''〈회빈객의도(會賓客儀圖)〉''' : 25, 26면<br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 회화 수교도13 연구소.jpg
 +
</gallery>
 +
[[관례]]가 끝난 후 주인이 빈객을 맞이하여 연회를 베푸는 장면이다.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에 의하면 [[조알례]] 이전이여야 하나 여기서는 맨 마지막 절차로 그려졌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09쪽.</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89번째 줄: 117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PAGENAME}}''' || [[관례]]  || A는 B를 표현한다 ||
+
| 수교도 || [[도화서]]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수교도 || [[관례]]  || A는 B를 표현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수교도 || [[효명세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수교도 || [[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수교도 || [[백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PAGENAME}}''' || [[왕세자]]  || A는 B를 위한 의식이었다  ||
+
| 수교도 || [[왕세자의 상복]]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PAGENAME}}''' || [[국립문화재연구소]]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수교도 || [[왕세자의 조복]]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PAGENAME}}'''  || [[왕세자]] || A에 B가 등장하였다  ||
+
| 수교도 || [[왕세자의 대례복]]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PAGENAME}}'''  || [[]] || A에 B가 등장하였다 ||
+
| 수교도 || [[국립문화재연구소]]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PAGENAME}}'''  || [[백관]] || A에 B가 등장하였다  ||
+
| 수교도 || [[백관의 조복]] || A에 B가 그려져 있다 || A ekc:depicts B
 
|}
 
|}
  
110번째 줄: 146번째 줄:
  
 
===공간정보===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37.571241 || 126.968165 || [[경희궁 경현당]]에서 [[효명세자]]의 [[관례]]를 거행했다
 +
|}
  
 
=='''시각자료'''==
 
=='''시각자료'''==
===가상현실===
+
===갤러리===
 +
<gallery caption="[[백관의 조복]]" heights=1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백관의조복01.png|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백관의조복02.png|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백관의조복03.png|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백관의조복04.png|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백관의조복05.png|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백관의조복06.png|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백관의조복07.png|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백관의조복08.png|
 +
</gallery>
 +
<gallery caption="[[백관의 상복]]" heights=1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백관의상복02.png|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백관의상복03.png|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백관의상복04.png|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백관의상복05.png|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백관의상복06.png|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백관의상복07.png|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백관의상복08.png|
 +
</gallery>
 +
<gallery caption="기타 인물들의 복식" heights=1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별감01.png|별감의 복식<br/> [[조건|조건(皁巾)]], [[홍의|홍의(紅衣)]]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별감02.png|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별감03.png|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의장군01.png|의장군의 복식<br/> [[청건|청건(靑巾)]], [[홍의|홍의(紅衣)]]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의장군02.png|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의장군02.png|
 +
파일:궁중기록화_수교도_의장군04.png|
 +
</gallery>
  
 
=='''주석'''==
 
=='''주석'''==
122번째 줄: 191번째 줄:
 
* 김문식, 김정호, 『조선의 왕세자 교육』, 김영사, 2003.
 
* 김문식, 김정호, 『조선의 왕세자 교육』, 김영사, 2003.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 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 박정혜,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연구』, 일지사, 2000.
 
* 박정혜,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연구』, 일지사, 2000.
 
* 박정혜, 이예성, 양보경,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지도』, 민속원, 2006.
 
* 박정혜, 이예성, 양보경,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지도』, 민속원, 2006.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명호, 『조선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명호, 『조선의 왕: 조선시대 왕과 왕실문화』, 시공사, 1998.
 
* 신명호, 『조선의 왕: 조선시대 왕과 왕실문화』, 시공사, 1998.
 
* 한영우, 『조선왕조의 儀軌-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 한영우, 『조선왕조의 儀軌-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회화]]
 
[[분류:회화]]

2017년 11월 17일 (금) 17:21 기준 최신판


수교도
(受敎圖)
국립문화재연구소(http://www.nrich.go.kr/) 소장.
대표명칭 수교도
한자표기 受敎圖
주제 관례
제작연대 19세기 전반
구성 1첩(총 26면)
크기 전체 크기 45.4 × 30.6㎝
그림 크기 45.4 × 61.2㎝
소장처 국립문화재연구소



정의

왕세자의 성인식인 관례(冠禮)의 절차를 그린 그림으로, 1819년(순조 19) 3월 20일에 효명세자(孝明世子)경희궁 경현당에서 관례를 거행한 기록을 그림으로 남긴 13폭의 그림이다.[1]

내용

해제

그림만으로 이루어진 13폭 화첩으로, 깔끔한 윤곽선과 선명하고 화려한 채색으로 높은 완성도를 보여준다. 그러나 그림의 내용을 설명해주는 문자가 전혀 없어 화첩 내용 파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표지에 '受敎圖'라고 해서체로 써져 있어 왕세자관례를 그린 의례임을 추측할 수 있으며, 그림의 내용이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관례 내용과 왕세자 관례에 관한 도첩임을 알 수 있다.[2]

구성

〈임헌명빈찬의도(臨軒命賓贊儀圖)〉 : 1, 2면

경희궁 숭정전에서 빈(賓)과 찬(贊)에게 효명세자관례를 행할 것을 명령하는 장면으로, 내용은 전교관이 선교하고 교서가 든 교서함을 빈이 받는 의식이다. 종친백관이 동쪽과 서쪽으로 나뉘어 서 있는 모습을 그렸다.[3]

〈세자수궁관급집사배도(世子受宮官及執事拜圖)〉 : 3, 4면

관례가 진행되는 장면으로, 경희궁 경현당에서 효명세자가 세자시강원 및 익위사 관원, 집사자들로부터 재배(再拜)를 받는 의식을 그린 것이다. 동쪽에는 시강원 관원 및 집사관이 있고, 서쪽에는 익위사 관원들이 앉아있다.[4]

〈세자여이품이상답배도(世子與二品以上答拜圖)〉 : 5, 6면

효명세자경희궁 경현당 안에서 종친 및 2품 이상의 백관과 인사를 나누는 장면이다. 경희궁 경현당 안으로 들어온 후 종친 및 문관은 북쪽, 무관은 남쪽이 절하는 위치로 가서 왕세자에게 재배하면 왕세자도 답배하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5]

〈세자수삼품이하배도(世子受三品以下拜圖)〉 : 7, 8면

효명세자경희궁 경현당 3품 이하 관원들에게 절을 받는 장면이다. 왕세자는 동쪽 벽 가까이에 서향한 의자에 앉고, 뜰에는 궁관과 백관이 앉아 있다. 동쪽에는 문관 3품 이하, 서쪽에는 무관 3품 이하의 관리들이 왕세자에게 재배한다.[6]

〈세자강계배사부빈객도(世子降階拜師傅賓客圖)〉 : 9, 10면

효명세자가 사부(師傅), 빈객(賓客)을 맞이하는 의식을 그린 장면이다. 왕세자는 뜰 동쪽에서 서쪽을 향해 마련된 자리에 서고, 그 앞에 조복을 입은 사부가 절하는 모습을 그렸다.[7]

〈세자여주인답배도(世子與主人答拜圖)〉 : 11, 12면

효명세자와 의식을 주관한 주인이 서로 절하는 장면이다. 왕세자의 자리는 서쪽에 마련되었고, 동쪽에서 조복을 입은 주인이 홀로 절하고 있다. 왕세자가 재배하면 주인이 답하여 재배하는 모습이다.[8]

〈세자수교도(世子受敎圖)〉 : 13, 14면

효명세자가 빈(賓)인 서용보(徐龍輔)로부터 이 내린 교서(敎書)를 받는 의식을 그린 장면이다. 중앙에 왕세자는 북쪽을 향해 설치된 자리에서 사배(四拜)를 하고 교서를 받았다. 계단 위에는 교서가 담겨있는 교서함이 준비되어 있다. 빈은 왕세자에게 교서를 반포한 후 교서와 교서함을 전달한다.[9]

〈세자승계입동서도(世子陞階入東序圖)〉 : 15, 16면

삼가례(三加禮)를 준비하는 동안 교서를 받은 효명세자가 계단 위로 올라가 경희궁 경현당의 협실로 들어가 기다리는 절차를 보여주는 장면이다. 당 안에 관례를 위한 복식이 담긴 함이 보이고 파란 휘장 뒤에 왕세자가 대기하고 있다. 계단 위의 서쪽에는 왕세자에게 관을 씌울 빈이 자리 위에 서 있고, 동쪽 계단 끝에는 왕세자의 머리를 빗기고, 머리싸개를 씌울 빈찬관이 손을 씻는 탁자가 있다.[10]

〈삼가도(三加圖)〉 : 17, 18면

효명세자에게 세 번 관을 씌우는 삼가례(三加禮)의 절차를 그린 장면이다. 주인이 왕세자를 자리로 인도하면 빈이 머리를 빗질하고 싸맨 후 강사포를 입고 나와 첫 번째 관인 원유관(遠遊冠)을 씌워줌으로 왕세자의 상복을 갖춘다. 왕세자는 협실로 들어가 곤룡포를 갈아입고 나와서 두 번째 관인 익선관(翼善冠)을 씌워줌으로 왕세자의 조복을 갖춘다. 다시 협실로 들어가 면복을 입고 나와 세 번째 관인 면관(冕冠)을 씌워줌으로 왕세자의 대례복을 갖추면 삼가례의 의식이 모두 끝난다.[11]

〈세자수예도(世子受醴圖)〉 : 19, 20면

왕세자왕세자의 대례복인 면복을 입고 당 안의 자리에 앉아 단술을 받아 마시는 장면이다. 면복을 입은 왕세자에게 빈이 단술을 올리면서 축사를 한다.[12]

〈빈자세자도(賓字世子圖)〉 : 21, 22면

빈이 효명세자에게 자(字)를 내려주는 장면이다. 이 때 왕세자의 자를 ‘덕인(德仁)’으로 지었는데, 이 지은 것을 빈이 전달하는 방식이다.[13]

〈조알의도(朝謁儀圖)〉 : 23, 24면

관례를 거행한 후 효명세자경희궁 흥정당으로 가서 에게 인사를 올리는 장면이다. 화면을 이분하여 왼쪽은 인사를 올리는 장면이고, 오른쪽은 왕세자가 대기하고 있는 장소를 그렸다.[14] 왕세자가 절하는 자리는 동쪽에 있고, 그 뒤에는 시강원과 익위사 관리들이 서 있다. 도승지 윤정렬(尹鼎烈)의 명을 받고 나와 교계(敎戒)를 전달한다.[15]

〈회빈객의도(會賓客儀圖)〉 : 25, 26면

관례가 끝난 후 주인이 빈객을 맞이하여 연회를 베푸는 장면이다. 『국조오례의』에 의하면 조알례 이전이여야 하나 여기서는 맨 마지막 절차로 그려졌다.[16]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수교도 도화서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수교도 관례 A는 B를 표현하였다 A ekc:depicts B
수교도 효명세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수교도 순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수교도 백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수교도 왕세자의 상복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수교도 왕세자의 조복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수교도 왕세자의 대례복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수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수교도 백관의 조복 A에 B가 그려져 있다 A ekc:depicts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9세기 전반 수교도를 제작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1241 126.968165 경희궁 경현당에서 효명세자관례를 거행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222쪽.
  2. 박정혜, 「조선시대 왕세자와 궁중기록화」,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 지도』, 민속원, 2005, 39쪽.
  3.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89쪽.
  4.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93쪽.
  5. 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224쪽.
  6. 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224쪽.
  7.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98쪽.
  8.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99쪽.
  9. 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225쪽.
  10. 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225~226쪽.
  11.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02쪽.
  12. 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227쪽.
  13. 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228쪽.
  14.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07쪽.
  15. 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228쪽.
  16.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09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 김문식, 김정호, 『조선의 왕세자 교육』, 김영사, 2003.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 박정혜,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연구』, 일지사, 2000.
  • 박정혜, 이예성, 양보경,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지도』, 민속원, 2006.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명호, 『조선의 왕: 조선시대 왕과 왕실문화』, 시공사, 1998.
  • 한영우, 『조선왕조의 儀軌-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