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념정보
 
{{개념정보
 
|사진= 궁중기록화 회화 수교도07 연구소.jpg
 
|사진= 궁중기록화 회화 수교도07 연구소.jpg
|사진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
|사진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http://www.nrich.go.kr/)
 
|대표명칭= 초례
 
|대표명칭= 초례
 
|한자표기= 醮禮
 
|한자표기= 醮禮
7번째 줄: 7번째 줄:
 
|이칭= 수예(受醴)
 
|이칭= 수예(受醴)
 
|유형= 의례
 
|유형= 의례
|관련개념= [[가례]]([[관례]])
+
|관련개념= [[가례]], [[관례]]
 
}}
 
}}
  
 
=='''정의'''==
 
=='''정의'''==
[[관례]]의 본 의식으로, [[삼가례]]를 끝낸 관자(冠者)인 [[왕세자]]가 술을 마시는 절차로 빈이 [[왕세자]]에게 축사를 하고 잔을 권하면 [[왕세자]]가 잔을 받고, 제주(祭酒)한 후 술잔을 비우고 빈에게 재배를 하면 빈도 답으로 재배를 하는 의식이다.<ref>『國朝五禮儀』 卷3, 「吉禮」, ‘王世子冠儀’ </ref>
+
조선시대 왕세자 [[관례]]의 본 의식으로, [[삼가례]]를 끝낸 관자(冠者)인 [[왕세자]]가 술을 마시는 절차이다.
  
 
=='''내용'''==
 
=='''내용'''==
[[왕세자]]가 [[왕세자의 대례복|면복]]을 입고 오면 빈이 단술을 받아 [[왕세자]]의 자리 앞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고 축사를 하고 단술을 [[왕세자]]에게 올린다. [[왕세자]]는 [[규(왕실남성)]]꽂고 단술을 제주(祭酒)하고 마신다. 빈과 찬이 술잔을 거두면 [[왕세자]]가 [[규(왕실남성)]]가지고 자리로 내려가서 서향해 재배하면 빈이 답으로 재배한다. [[삼가례]] 후 [[초례]]를 하는 것은 [[관례]]를 한 자를 높이고 뜻으로, 성인으로 존중하여 빈객과 같이 대우한다는 의미이다.<ref>권오영, 「조선 왕실 관례의 역사적 추이와 그 의미」, 『조선 왕실의 嘉禮 0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54쪽.</ref>
+
빈이 [[왕세자]]에게 축사를 하고 잔을 권하면 [[왕세자]]가 잔을 받고, 제주(祭酒)한 후 술잔을 비우고 빈에게 재배를 하면 빈도 답으로 재배를 하는 의식이다.<ref>『國朝五禮儀』 卷3, 「吉禮」, ‘王世子冠儀’ </ref>
<br />
+
[[왕세자]]가 [[왕세자의 대례복|면복]]을 입고 오면 빈이 단술을 받아 [[왕세자]]의 자리 앞에 나아가 북향하여 선 후 축사를 하고 단술을 [[왕세자]]에게 올린다. [[왕세자]]는 [[규(왕실남성)|규]]꽂고 단술을 제주(祭酒)하고 마신다. 빈과 찬이 술잔을 거두면 [[왕세자]]가 [[규(왕실남성)|규]]가지고 자리로 내려가서 서향해 재배하고 빈이 답으로 재배한다. [[삼가례]] 후 [[초례]]를 하는 것은 [[관례]]를 한 왕세자를 성인으로 높여서 존중하여 빈객과 같이 대우한다는 의미이다.<ref>권오영, 「조선 왕실 관례의 역사적 추이와 그 의미」, 『조선 왕실의 嘉禮 0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54쪽.</ref>
1670년(헌종 11) [[허적|허적(許積)]]이 [[의례|『의례(儀禮)』]]를 참고하여 '관자는 자리 서편에서 잘하고 술잔을 받으며, 빈은 동쪽을 향하여 답배한다.'라고 하며 주석에 '자리의 서쪽에서 남쪽을 향해 절하는 것이다.'라고 했는데,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는 '서쪽을 향햐여 절한다'로 되어 있는 점을 지적하였다..<ref>권오영, 「조선 왕실 관례의 역사적 추이와 그 의미」, 『조선 왕실의 嘉禮 0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55쪽.</ref> [[인조]] 때 [[정경세|정경세(鄭經世)]]가 잘못된 것을 바로 잡아 남쪽을 향해 절하였다.<ref>박나연, 「正祖代 후반 王世子 冊封禮와 그 意義」,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3쪽.</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항목A!!항목B!!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왕세자]] || '''{{PAGENAME}}''' ||A는 B를 거행한다
+
| [[]] || 초례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 || '''{{PAGENAME}}''' ||A는 B를 참여한다
+
| [[왕세자]] || 초례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백관]] || '''{{PAGENAME}}''' ||A는 B를 참여한다
+
| [[종친]] || 초례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관례]] || '''{{PAGENAME}}''' || B는 A에 포함된다
+
| [[백관]] || 초례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 [[관례]] || 초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초례 || [[삼가례]] || A는 순서상 B의 뒤이다 || A edm:isNextInSequence B
 
|}
 
|}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주석'''==
58번째 줄: 56번째 줄:
 
* 이명은, 「궁중발긔에 나타난 행사 및 복식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이명은, 「궁중발긔에 나타난 행사 및 복식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최연우 외, 『장서각 소장 ‘의례등록(儀禮謄錄)’ 자료의 탈초, 역주 및 현대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 최연우 외, 『장서각 소장 ‘의례등록(儀禮謄錄)’ 자료의 탈초, 역주 및 현대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51367&cid=49381&categoryId=49381&expCategoryId=49381 문화컨텐츠닷컴 관례]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51367&cid=49381&categoryId=49381&expCategoryId=49381 관례]", 문화컨텐츠닷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유용한 정보===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개념]] [[분류:의례]]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개념]] [[분류:의례]]

2017년 11월 4일 (토) 14:22 기준 최신판

초례
(醮禮)
국립문화재연구소((http://www.nrich.go.kr/)
대표명칭 초례
한자표기 醮禮
이칭 수예(受醴)
유형 의례
관련개념 가례, 관례



정의

조선시대 왕세자 관례의 본 의식으로, 삼가례를 끝낸 관자(冠者)인 왕세자가 술을 마시는 절차이다.

내용

빈이 왕세자에게 축사를 하고 잔을 권하면 왕세자가 잔을 받고, 제주(祭酒)한 후 술잔을 비우고 빈에게 재배를 하면 빈도 답으로 재배를 하는 의식이다.[1] 왕세자면복을 입고 오면 빈이 단술을 받아 왕세자의 자리 앞에 나아가 북향하여 선 후 축사를 하고 단술을 왕세자에게 올린다. 왕세자를 꽂고 단술을 제주(祭酒)하고 마신다. 빈과 찬이 술잔을 거두면 왕세자를 가지고 자리로 내려가서 서향해 재배하고 빈이 답으로 재배한다. 삼가례초례를 하는 것은 관례를 한 왕세자를 성인으로 높여서 존중하여 빈객과 같이 대우한다는 의미이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초례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왕세자 초례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종친 초례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백관 초례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관례 초례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초례 삼가례 A는 순서상 B의 뒤이다 A edm:isNextInSequence B

주석

  1. 『國朝五禮儀』 卷3, 「吉禮」, ‘王世子冠儀’
  2. 권오영, 「조선 왕실 관례의 역사적 추이와 그 의미」, 『조선 왕실의 嘉禮 0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54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주자가례(朱子家禮)』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강옥수, 「조선시대 의례서에 나타난 관, 계례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권오영 외 5명, 『조선 왕실의 嘉禮 0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김문식ㆍ김정호, 『조선의 왕세자 교육』, 김영사, 2003.
  • 김용숙,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일지사, 2000.
  • 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 戴龐海, 『先秦冠禮硏究』, 中州古籍出版社, 2006
  • 박나연, 「正祖代 후반 王世子 冊封禮와 그 意義」,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심재우·임민혁·이순구외 2명, 『조선의 세자로 살아가기』, 돌베개, 2013.
  • 안애영, 「임오년 가례 왕세자, 왕세자빈 복식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유송옥, 이민주, 「특집 전통생활문화의 현대적 조명-효명세자 책례, 관례, 의식 및 복식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 1』,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98
  • 육수화, 『조선시대 왕실교육』 , 민속원, 2008.
  • 이명은, 「궁중발긔에 나타난 행사 및 복식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최연우 외, 『장서각 소장 ‘의례등록(儀禮謄錄)’ 자료의 탈초, 역주 및 현대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더 읽을거리

  • "관례", 문화컨텐츠닷컴,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