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헌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념정보
 
{{개념정보
 
|사진= 궁중기록화 개념 의례 제례 초헌례02 종묘대제.jpg  
 
|사진= 궁중기록화 개념 의례 제례 초헌례02 종묘대제.jpg  
|사진출처= [http://www.jongmyo.net 종묘대제]
+
|사진출처= 종묘대제(http://www.jongmyo.net/)
 
|대표명칭= 아헌례
 
|대표명칭= 아헌례
 
|한자표기= 亞獻禮
 
|한자표기= 亞獻禮
7번째 줄: 7번째 줄:
 
|이칭= 아헌(亞獻)
 
|이칭= 아헌(亞獻)
 
|유형= 의례
 
|유형= 의례
|관련개념= [[길례]]([[제례]])
+
|관련개념= [[길례]], [[제례]]
 
}}
 
}}
  
 
=='''정의'''==
 
=='''정의'''==
제사를 지낼 때 담당 관원이 두 번째로 신위(神位)에 술잔을 올리는 의절이다. [[초헌관|초헌관(初獻官)]]이 왕일 때, [[아헌관|아헌관(亞獻官)]]은 [[왕세자]], [[종헌관|종헌관(終獻官)]]은 영의정(頜議政)이 담당 한다.<ref>『國朝五禮序例』 卷1, 「吉禮」 “齋官”; 『國朝五禮儀』 卷1, 「吉禮」 “春秋及臘祭社稷儀”, “王世子釋莫文宣王儀“</ref>
+
조선시대 [[제례]]에서 제사를 지낼 때 아헌관이 두 번째로 신위(神位)에 술잔을 올리는 의절이다.
 
 
  
 
=='''내용'''==
 
=='''내용'''==
의식은 [[집례|집례(執禮)]][[아헌례]]의 시행을 말하면 시작되며, [[아헌례]]를 담당한 [[아헌관|아헌관(亞獻官)]]이 술잔을 받아서 헌작(獻爵)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왕]]이 [[초헌관(初獻官)]]일 경우 [[아헌관]][[왕세자]]가 맡으며, [[왕세자]]나 1ㆍ2품의 [[백관]][[초헌례]]를 행하면 [[아헌례]]는 2품의 [[백관]]이 담당한다. [[초헌례]]와 달리 헌작(獻爵)하는 술도 앙제(盎齊)를 사용한다. [[아헌례]] 의식은 시기별로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집준자|집준자(執尊者)]]가 따른 술을 [[아헌관]]에게 전하면, [[아헌관]]이 술잔을 [[집사자|집사자(執事者)]]에게 전하여 주고, [[집사자]]가 술잔을 신위에 올리고 모두 제자리로 돌아가면 의식이 끝난다. <ref>『國朝五禮序例』 卷1, 「吉禮」 “齋官”; 『國朝五禮儀』 卷1, 「吉禮」 “春秋及臘祭社稷儀”, “王世子釋莫文宣王儀“</ref> 축문을 읽지 않고, 헌가에서 정대업(定大業)을 연주하고 무무(武舞, 선왕의 무공을 칭송하는 춤)를 춘다.<ref>문화재청, 『종묘대제』, 문화재청, 2010, 23쪽.</ref>
+
[[초헌관|초헌관(初獻官)]][[]]이면, [[아헌관|아헌관(亞獻官)]]은 [[왕세자]], [[종헌관|종헌관(終獻官)]]은 [[영의정|영의정(頜議政)]]이 담당한다. [[왕]]이 [[초헌례]]를 하고, [[영의정]]이 [[아헌관]]을 맡게 되면 [[의정|의정(議政)]]이 [[종헌례]]를 맡는다. 나머지 [[길례]]의 제사에서 [[초헌관]]이 정1ㆍ2품, [[아헌관]]이 정2품을 맡게 되면 [[종헌관]]은 종2품ㆍ3품 당상관이 맡는다.<ref>『國朝五禮序例』 卷1, 「吉禮」 “齋官”; 『世宗實錄五禮儀』 卷128, 「吉禮序例」 “獻官”</ref>
 +
의식은 [[집례|집례(執禮)]][[아헌례]]의 시행을 말하면 시작하며, [[아헌례]]를 담당한 [[아헌관|아헌관(亞獻官)]]이 술잔을 받아서 헌작(獻爵)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초헌례]]와 달리 헌작(獻爵)하는 술은 앙제(盎齊)를 사용한다. [[아헌례]] 의식은 시기별로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집준자|집준자(執尊者)]]가 따른 술을 [[아헌관]]에게 전하면, [[아헌관]]이 술잔을 [[집사자|집사자(執事者)]]에게 전하여 주고, [[집사자]]가 술잔을 신위에 올리고 모두 제자리로 돌아가면 의식이 끝난다. <ref>『國朝五禮序例』 卷1, 「吉禮」 “齋官”; 『國朝五禮儀』 卷1, 「吉禮」 “春秋及臘祭社稷儀”, “王世子釋莫文宣王儀“</ref> 축문을 읽지 않고, 헌가에서 정대업(定大業)을 연주하고 무무(武舞, 선왕의 무공을 칭송하는 춤)를 춘다.<ref>문화재청, 『종묘대제』, 문화재청, 2010, 23쪽.</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항목A!!항목B!!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왕]] || 아헌례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 [[왕세자]] || 아헌례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 [[종친]] || 아헌례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 [[백관]] || 아헌례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 || '''{{PAGENAME}}''' ||A는 B를 거행한다
+
| [[제례]] || 아헌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왕세자]] || '''{{PAGENAME}}''' ||A는 B를 거행한다
+
| 아헌례 || [[초헌례]] || A는 순서상 B의 뒤이다 || A edm:isNextInSequence B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백관]] || '''{{PAGENAME}}''' ||A는 B를 행한다
+
| 1706년 ||  [[종묘의궤]]가 편찬되었다
 +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PAGENAME}}'''  || [[종묘제례]] ||A는 B의 부분이다
+
| 37.574550 || 126.994100|| 종묘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훈정동 1-2에 위치한다
 
|}
 
|}
  
34번째 줄: 52번째 줄: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0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00px>
파일:궁중기록화 개념 의례 제례 초헌례03 종묘대제.jpg | 초헌을 올리고 절하는 의식.<ref>[http://www.jongmyo.net/ezboard/ezboard.asp?mode=list&id=05jongmyo&page=14 종묘대제]</ref>
+
파일:궁중기록화 개념 의례 제례 초헌례03 종묘대제.jpg | 아헌을 올리고 절하는 의식.<ref>"[http://www.jongmyo.net/ezboard/ezboard.asp?mode=list&id=05jongmyo&page=14 종묘대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종묘대제』<sup>online</sup></online></html>, 종묘대제.</gallery>
</gallery>
 
===영상===
 
  
 
=='''주석'''==
 
=='''주석'''==
51번째 줄: 67번째 줄: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 [http://www.jongmyo.net/sub/movingpicture/mov_jongmyo.asp 종묘제례 절차]
+
* "[http://www.jongmyo.net/sub/movingpicture/mov_jongmyo.asp 종묘제례 절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종묘대제』<sup>online</sup></online></html>, 종묘대제.
* [http://www.jongmyo.net/sub/movingpicture/mov_music.asp 종묘제례악]
+
* "[http://www.jongmyo.net/sub/movingpicture/mov_music.asp 종묘제례악]", <html><online style="color:purple">『종묘대제』<sup>online</sup></online></html>, 종묘대제.
===유용한 정보===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개념]] [[분류:의례]]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개념]] [[분류:의례]]

2017년 11월 4일 (토) 10:58 기준 최신판

아헌례
(亞獻禮)
대표명칭 아헌례
한자표기 亞獻禮
이칭 아헌(亞獻)
유형 의례
관련개념 길례, 제례



정의

조선시대 제례에서 제사를 지낼 때 아헌관이 두 번째로 신위(神位)에 술잔을 올리는 의절이다.

내용

초헌관(初獻官)이면, 아헌관(亞獻官)왕세자, 종헌관(終獻官)영의정(頜議政)이 담당한다. 초헌례를 하고, 영의정아헌관을 맡게 되면 의정(議政)종헌례를 맡는다. 나머지 길례의 제사에서 초헌관이 정1ㆍ2품, 아헌관이 정2품을 맡게 되면 종헌관은 종2품ㆍ3품 당상관이 맡는다.[1] 의식은 집례(執禮)아헌례의 시행을 말하면 시작하며, 아헌례를 담당한 아헌관(亞獻官)이 술잔을 받아서 헌작(獻爵)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초헌례와 달리 헌작(獻爵)하는 술은 앙제(盎齊)를 사용한다. 아헌례 의식은 시기별로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집준자(執尊者)가 따른 술을 아헌관에게 전하면, 아헌관이 술잔을 집사자(執事者)에게 전하여 주고, 집사자가 술잔을 신위에 올리고 모두 제자리로 돌아가면 의식이 끝난다. [2] 축문을 읽지 않고, 헌가에서 정대업(定大業)을 연주하고 무무(武舞, 선왕의 무공을 칭송하는 춤)를 춘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아헌례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왕세자 아헌례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종친 아헌례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백관 아헌례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제례 아헌례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아헌례 초헌례 A는 순서상 B의 뒤이다 A edm:isNextInSequence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706년 종묘의궤가 편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4550 126.994100 종묘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훈정동 1-2에 위치한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國朝五禮序例』 卷1, 「吉禮」 “齋官”; 『世宗實錄五禮儀』 卷128, 「吉禮序例」 “獻官”
  2. 『國朝五禮序例』 卷1, 「吉禮」 “齋官”; 『國朝五禮儀』 卷1, 「吉禮」 “春秋及臘祭社稷儀”, “王世子釋莫文宣王儀“
  3. 문화재청, 『종묘대제』, 문화재청, 2010, 23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國朝五禮儀』
  • 『世宗實錄五禮儀』
  • 김문식ㆍ김지영 외 4명,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 김문식ㆍ송지원, 「국가제례의 변천과 복원」, 『서울 20세기 생활ㆍ문화변천사』, 서울시정개발원, 2001.
  • 이욱, 「근대 국가의 모색과 국가의례의 변화-1894~1908년 국가 제사의 변화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95,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 이욱, 「조선전기 유교국가의 성립과 국가제사의 변화」, 『한국사연구』 118, 한국사연구회, 2002.

더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