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향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향로개구_종묘의궤_규장각.jpg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향로개구_종묘의궤_규장각.jpg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대표명칭= {{PAGENAME}}
+
|대표명칭= 향로
 
|한자표기= 香爐
 
|한자표기= 香爐
 
|영문명칭=
 
|영문명칭=
13번째 줄: 13번째 줄:
 
|관련단체=
 
|관련단체=
 
|관련장소= [[종묘|종묘(宗廟)]]
 
|관련장소= [[종묘|종묘(宗廟)]]
|관련물품=
+
|관련물품= [[향합|향합(香盒)]]
 
|관련유물유적=
 
|관련유물유적=
 
}}
 
}}
  
 
=='''정의'''==
 
=='''정의'''==
 +
조선시대 의례에서 향을 피우는 데 사용하는 제기(祭器)이다.
  
 
=='''내용'''==
 
=='''내용'''==
 +
뚜껑의 손잡이는 용머리[龍頭] 모양이다.<br/>
 +
몸체에는 2개의 손잡이와 3개의 다리가 부착되어 있다.<br/>
 +
종묘 제례의 [[신관례|신관례(晨祼禮)]] 때 혼(魂)을 내려 모시는 의식에 [[향합|향합(香盒)]]과 짝을 이루어 사용되었다.<br/>
 +
[[상례]]에서는 조석전(朝夕奠)과 삭망전(朔望奠) 등의 각종 전(奠) 의식에서 사용되었다.<br/>
 +
[[향좌아|향좌아(香座兒)]]라고 하는 탁자에 향로, 향합을 올려두었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향로(香爐) || [[향합|향합(香盒)]]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
 +
| 향로(香爐) || [[향좌아|향좌아(香座兒)]] || A는 B에 올려졌다 || A ekc:goesWith B
 +
|-
 +
| 향로(香爐) || [[종묘의궤|『종묘의궤(宗廟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향로(香爐)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향로(香爐) || [[순조국장도감의궤|『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향로(香爐) || [[정조국장도감의궤|『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향로(香爐)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향로(香爐) || [[순비책봉의궤|『순비책봉의궤(淳妃冊封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향로(香爐) || [[제례|제례(祭禮)]]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 향로(香爐) || [[상례|상례(喪禮)]]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시각자료'''==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
<gallery>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향로개구_종묘의궤_규장각.jpg|향로개구<ref>『종묘의궤(宗廟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향로_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_고궁.png|향로<ref>《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향로_순조국장도감의궤이_중박.jpg|향로<ref>『순조국장도감의궤이(純祖國葬都監儀軌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향로_순조국장도감의궤삼_중박.jpg|향로<ref>『순조국장도감의궤삼(純祖國葬都監儀軌三)』</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향로_정조국장도감의궤_규장각.jpg|향로<ref>『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향로02_정조국장도감의궤_규장각.jpg|향로<ref>『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향로_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이_중박.jpg|향로<ref>『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이(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향로_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삼_중박.jpg|향로<ref>『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삼(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三)』</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향로_순비책봉의궤_규장각.jpg|향로<ref>『순비책봉의궤(淳妃冊封儀軌)』</ref>
 +
</gallery>
  
 
=='''주석'''==
 
=='''주석'''==
32번째 줄: 72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국립고궁박물관, 2014.
 
* 궁중유물전시관, 『종묘대제문물』, 궁중유물전시관, 2004.
 
* 궁중유물전시관, 『종묘대제문물』, 궁중유물전시관, 2004.
 
* "[http://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538LJE&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EC%A2%85%EB%AC%98%EC%B9%9C%EC%A0%9C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1866~1899년,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online</online></html>, 국립고궁박물관.
 
* "[http://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538LJE&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EC%A2%85%EB%AC%98%EC%B9%9C%EC%A0%9C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1866~1899년,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online</online></html>, 국립고궁박물관.
 
*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 제기도설(祭器圖說)]", 「오례의」『세종실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online</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 제기도설(祭器圖說)]", 「오례의」『세종실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online</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kind=%EA%B0%80%EC%9D%B4(%E6%96%9D%E5%BD%9D)&dataType=n&&lmenuType=a_3 가이(斝彝)]",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
* 박봉주,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kind=%ED%96%A5%EB%A1%9C(%EA%B0%9C%EA%B5%AC)_%E9%A6%99%E7%88%90(%E8%93%8B%E5%85%B7)&dataType=n&&lmenuType=a_3 향로(香爐)]",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 박봉주,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009&category=A&sWord=%EA%B0%80%EC%9D%B4 가이(斝彝)]",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박봉주,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1546&category=A&sWord=향로 향로(香爐)]",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박봉주,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1547&category=A&sWord=향로 향로개구(香爐蓋具)]",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8&cp_code=cp0237&index_id=cp02370054&content_id=cp023700540001&search_left_menu=2 제기 종류]",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콘텐츠닷컴.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8&cp_code=cp0237&index_id=cp02370054&content_id=cp023700540001&search_left_menu=2 제기 종류]",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콘텐츠닷컴.
 
* "[http://www.jongmyo.net/sub/clothes/clo_jegi.asp 제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종묘대제』<sup>online</sup></online></html>, 종묘제례보존회.
 
* "[http://www.jongmyo.net/sub/clothes/clo_jegi.asp 제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종묘대제』<sup>online</sup></online></html>, 종묘제례보존회.
47번째 줄: 89번째 줄:
 
* 하은미,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하은미,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유용한 정보===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물품]]
 
[[분류:물품]]

2017년 10월 28일 (토) 19:13 기준 최신판


향로(香爐)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대표명칭 향로
한자표기 香爐
유형 의례 물품
시대 조선
용도 길례(吉禮)-제례(祭禮)에 사용
관련장소 종묘(宗廟)
관련물품 향합(香盒)



정의

조선시대 의례에서 향을 피우는 데 사용하는 제기(祭器)이다.

내용

뚜껑의 손잡이는 용머리[龍頭] 모양이다.
몸체에는 2개의 손잡이와 3개의 다리가 부착되어 있다.
종묘 제례의 신관례(晨祼禮) 때 혼(魂)을 내려 모시는 의식에 향합(香盒)과 짝을 이루어 사용되었다.
상례에서는 조석전(朝夕奠)과 삭망전(朔望奠) 등의 각종 전(奠) 의식에서 사용되었다.
향좌아(香座兒)라고 하는 탁자에 향로, 향합을 올려두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향로(香爐) 향합(香盒)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A ekc:goesWith B
향로(香爐) 향좌아(香座兒) A는 B에 올려졌다 A ekc:goesWith B
향로(香爐) 『종묘의궤(宗廟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향로(香爐)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향로(香爐) 『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향로(香爐)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향로(香爐)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향로(香爐) 『순비책봉의궤(淳妃冊封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향로(香爐) 제례(祭禮)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향로(香爐) 상례(喪禮)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종묘의궤(宗廟儀軌)』
  2.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3. 『순조국장도감의궤이(純祖國葬都監儀軌二)』
  4. 『순조국장도감의궤삼(純祖國葬都監儀軌三)』
  5.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6.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7.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이(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二)』
  8.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삼(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三)』
  9. 『순비책봉의궤(淳妃冊封儀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국립고궁박물관, 2014.
  • 궁중유물전시관, 『종묘대제문물』, 궁중유물전시관, 2004.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1866~1899년,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online, 국립고궁박물관.
  • "제기도설(祭器圖說)", 「오례의」『세종실록』,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 박봉주, "향로(香爐)",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 박봉주, "향로(香爐)",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박봉주, "향로개구(香爐蓋具)",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제기 종류", 『문화콘텐츠닷컴』online, 문화콘텐츠닷컴.
  • "제기", 『종묘대제』online, 종묘제례보존회.

더 읽을거리

  • 김종일, 「조선후기 종묘제기와 유기장의 제작기술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김종임, 「조선왕실 금속제기 연구 : 종묘제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제277호, 한국미술사학회, 2013.
  • 손명희, 「조선의 국가 제사를 위한 그릇과 도구」『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국립고궁박물관, 2015, 85~136쪽.
  • 이귀영,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 하은미,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