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패옥(왕실남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2번째 줄: 12번째 줄:
  
 
==정의==
 
==정의==
* 덕의 상징으로 좌우에 늘이어 차는 .
+
덕의 상징으로 좌우에 늘이어 차는 옥이다.
  
 
==복식구성==
 
==복식구성==
21번째 줄: 21번째 줄:
 
==기본정보==
 
==기본정보==
 
===착용신분===
 
===착용신분===
*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
*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착용상황===
* 국가 의례, 혼례 등의 [[대례복]]을 입을 때.  
+
[[가례]], [[제례]] 등의 국가 의례를 행하거나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 등의 행사에 착용한다.
  
===기본 형태<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6쪽.</ref> ===
+
===형태<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6쪽.</ref> ===
* 형(珩), 황(璜), 거(琚), 우(瑀), 충아(衝牙)로 구성.
+
형(珩), 황(璜), 거(琚), 우(瑀), 충아(衝牙)로 구성된다. 형은 가로로 길쭉한 모양이고 가장 윗부분에 있고, 그 아래에 거 2개와 우 1개가 있는데, 우가 가운데에 있고 거는 양옆에 있다. 가장 아래에는 황과 충아가 있는데, 가운데에 충아가 있고 황은 양옆에 있다.
* 형은 가로로 길쭉한 모양이고 가장 윗부분에 있음.
+
{{Blockquote|잡패(雜佩)는 좌우(左右)의 패옥(佩玉)이다. 위에 가로댄 것을 형(珩)이라 하니, 아래에서 세 개의 끈을 매달고 진주조개를 꿰며, 가운데 끈의 중간에 하나의 큰 구슬을 꿰니, 이것을 우(瑀)라 한다. 끝에 하나의 옥을 매다는데 두 끝이 모두 뽀족하니, 이것을 충아(衝牙)라 한다. 양 곁의 끈 중간에 각기 하나씩 옥을 매다는데, 길쭉하고 넓적하며 네모지니, 이것을 거(琚)라 한다. 그 끝에 각각 한 옥을 매다는데, 반벽(半璧)과 같으며 안으로 향했으니, 이것을 황(璜)이라 한다. 또 두 개의 끈으로 구슬을 꿰어 위로 형(珩)에 매달고, 양 끝은 아래로 우(瑀)에 교차시켜 꿰고 아래로 두 황(璜)에 매다니, 사람이 걸어가면 충아(衝牙)가 황(璜)에 부딪쳐 소리가 난다. 여씨(呂氏)가 말하기를 '비단 옥뿐만이 아니요 뿔송곳과 화경, 바늘과 대통 등 모든 찰만 한 것은 모두 이것이다.'라 하였다.(集傳: 雜佩者, 左右佩玉也. 上橫曰珩, 下繫三組, 貫以蠙珠, 中組之半, 貫一大珠, 曰瑀. 末懸一玉, 兩端皆銳, 曰衝牙. 兩旁組半, 各懸一玉, 長博而方, 曰琚, 其末各懸一玉, 如半璧而內向, 曰璜. 又以兩組貫珠, 上繫珩, 兩端下交貫瑀而下繫於兩璜, 行則衝牙觸璜而有聲也. 呂氏曰, '非獨玉也. 觿燧箴(針)管凡可佩者皆是也.')
* 그 아래에 거 2개와 우 1개가 있는데, 우가 가운데에 있고 거는 양옆에 있음.
 
* 가장 아래에는 황과 충아가 있는데, 가운데에 충아가 있고 황은 양옆에 있음.
 
{{Blockquote|잡패(雜佩)는 좌우(左右)의 패옥(佩玉)이다. 위에 가로댄 것을 형(珩)이라 하니, 아래에서 세 개의 끈을 매달고 진주조개를 꿰며, 가운데 끈의 중간에 하나의 큰 구슬을 꿰니, 이것을 우(瑀)라 한다. 끝에 하나의 옥을 매다는데 두 끝이 모두 뽀족하니, 이것을 충아(衝牙)라 한다. 양 곁의 끈 중간에 각기 하나씩 옥을 매다는데, 길쭉하고 넓적하며 네모지니, 이것을 거(琚)라 한다. 그 끝에 각각 한 옥을 매다는데, 반벽(半璧)과 같으며 안으로 향했으니, 이것을 황(璜)이라 한다. 또 두 개의 끈으로 구슬을 꿰어 위로 형(珩)에 매달고, 양 끝은 아래로 우(瑀)에 교차시켜 꿰고 아래로 두 황(璜)에 매다니, 사람이 걸어가면 충아(衝牙)가 황(璜)에 부딪쳐 소리가 난다. 여씨(呂氏)가 말하기를 󰡒비단 옥뿐만이 아니요 뿔송곳과 화경, 바늘과 대통 등 모든 찰만 한 것은 모두 이것이다.󰡓 하였다.(集傳: 雜佩者, 左右佩玉也. 上橫曰珩, 下繫三組, 貫以蠙珠, 中組之半, 貫一大珠, 曰瑀. 末懸一玉, 兩端皆銳, 曰衝牙. 兩旁組半, 各懸一玉, 長博而方, 曰琚, 其末各懸一玉, 如半璧而內向, 曰璜. 又以兩組貫珠, 上繫珩, 兩端下交貫瑀而下繫於兩璜, 行則衝牙觸璜而有聲也. 呂氏曰, 非獨玉也. 觿燧箴(針)管凡可佩者皆是也.)
 
 
|출처= 『詩經』, 「鄭風」, '女曰鷄鳴'.}}
 
|출처= 『詩經』, 「鄭風」, '女曰鷄鳴'.}}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00px>
+
 
파일:9패옥오례의서례.jpg|『國朝五禮儀序例』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왕실남성 패옥 01.jpg|『正祖國葬都監儀軌』
+
* [[패옥]]은 [[혁대]]에 걸어야 하지만 조선 전기 [[면복]]에는 [[혁대]]를 착용하지 않았으므로 [[대대]]에 걸었을 것이고, 조선 후기에 [[혁대]]를 착용하면서부터 [[혁대]]에 걸었을 것이다.<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6쪽.</ref>  
</gallery>
 
* [[패옥]]은 [[혁대]]에 걸어야 하지만 조선 전기 [[면복]]에는 [[혁대]]를 착용하지 않았으므로 [[대대]]에 걸었을 것이고, 조선 후기에 [[혁대]]를 착용하면서부터 [[혁대]]에 걸었을 .<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6쪽.</ref>  
 
  
 
===기타===
 
===기타===
* '''상징'''
+
'''상징'''<br />
** 덕의 상징으로, [[패옥]]을 찬 채 걸으면 황과 충아가 서로 부딪쳐 ‘쟁쟁[鏘鏘]’하고 소리를 내, 군자는 이 소리를 들으면서 사악한 마음이 자신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다스림.<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2쪽.</ref>
+
덕의 상징으로, [[패옥]]을 찬 채 걸으면 황과 충아가 서로 부딪쳐 ‘쟁쟁[鏘鏘]’하고 소리를 내, 군자는 이 소리를 들으면서 사악한 마음이 자신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다스리는 것이다.<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2쪽.</ref>
  
==관련항목==
+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항목A!!항목B!!관계
 
!항목A!!항목B!!관계
 
|-
 
|-
|[[황제]]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 [[황제]]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
| [[왕]]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
| [[왕세자]]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
| '''{{PAGENAME}}''' || [[책례]] || A는 B에 착용하였다
 +
|-
 +
| '''{{PAGENAME}}''' || [[가례]] || A는 B에 착용하였다
 
|-
 
|-
|[[황태자]]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 '''{{PAGENAME}}''' || [[제례]] || A는 B에 착용하였다
 
|-
 
|-
|[[왕]]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
|[[왕세자]]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 '''{{PAGENAME}}''' || [[왕의 대례복]] ||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
 
|-
|[[왕세손]]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 '''{{PAGENAME}}''' || [[왕의 조복]] ||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
 
|-
|'''{{PAGENAME}}'''  ||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
| '''{{PAGENAME}}'''  || [[왕세자의 대례복]] ||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
 
|-
|'''{{PAGENAME}}'''  || [[면복각]] ||A는 B에서 소장한다
+
| '''{{PAGENAME}}'''  || [[왕세자의 조복]] ||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
|-
 +
| '''{{PAGENAME}}''' || [[상의원]] || A는 B에서 제작되었다
 
|}
 
|}
 +
===시간정보===
 +
===공간정보===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00px>
 +
파일:9패옥오례의서례.jpg|『國朝五禮儀序例』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왕실남성 패옥 01.jpg|『正祖國葬都監儀軌』
 +
</gallery>
 +
===영상===
 +
 +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인용 및 참조===
* 권현주, 「접섭대(䪓韘帶)에 관한 연구」, 『中央아시아硏究』, V.11, 중앙아시아학회, 2005.
+
*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下』,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 金明淑,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한국복식학회지』 18권, 1992.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역사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문화재청, 2007.
+
* 金明淑,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國葬都監儀軌 服玩圖設을 통한 考察-」, 『한국복식학회지, 7권, 1983.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 金明淑, 「한국과 중국의 袞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이강칠 외,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현암사, 2003.
+
*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 이은진, 조효진, 「조선말기 왕실복식 소재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1권 3호, 한복문화학회, 2008.
* 周錫保, 『中國古代服飾史』, 中國戱劇出版社, 1983.
+
* 이혜경,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4권 4호, 한복문화학회, 2001
 +
* 인윤실, 「조선왕조시대 금박에 관한 연구」, 『복식』 2권, 한국복식학회, 1978.
 +
* 전혜숙,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의의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규순, 「이 시대의 진정한 ‘紳士’를 위하여」, 『전통 의생활 연구』, 제 2집, 단국대학교 전통복식연구소, 2008.
+
* 최규순, 「황제와 황후의 복식 어떻게 변화했나」,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최영선, 「朝鮮時代 文武百官 祭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홍나영, 「佩玉에 관한 硏究」, 『韓國服飾』 8,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1990.
 
* 홍나영, 「佩玉에 관한 硏究」, 『韓國服飾』 8,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1990.
  
==주석==
+
===더 읽을거리===
<references/>
+
===유용한 정보===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분류:복식]]

2017년 7월 23일 (일) 00:28 판


패옥
(佩玉)
궁중기록화 복식 왕실남성 패옥 01.jpg
대표명칭 패옥
한자표기 佩玉
구분 기타
착용신분 왕실
착용성별 남성



정의

덕의 상징으로 좌우에 늘이어 차는 옥이다.

복식구성

기본정보

착용신분

착용상황

가례, 제례 등의 국가 의례를 행하거나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 등의 행사에 착용한다.

형태[1]

형(珩), 황(璜), 거(琚), 우(瑀), 충아(衝牙)로 구성된다. 형은 가로로 길쭉한 모양이고 가장 윗부분에 있고, 그 아래에 거 2개와 우 1개가 있는데, 우가 가운데에 있고 거는 양옆에 있다. 가장 아래에는 황과 충아가 있는데, 가운데에 충아가 있고 황은 양옆에 있다.

Quote-left.png 잡패(雜佩)는 좌우(左右)의 패옥(佩玉)이다. 위에 가로댄 것을 형(珩)이라 하니, 아래에서 세 개의 끈을 매달고 진주조개를 꿰며, 가운데 끈의 중간에 하나의 큰 구슬을 꿰니, 이것을 우(瑀)라 한다. 끝에 하나의 옥을 매다는데 두 끝이 모두 뽀족하니, 이것을 충아(衝牙)라 한다. 양 곁의 끈 중간에 각기 하나씩 옥을 매다는데, 길쭉하고 넓적하며 네모지니, 이것을 거(琚)라 한다. 그 끝에 각각 한 옥을 매다는데, 반벽(半璧)과 같으며 안으로 향했으니, 이것을 황(璜)이라 한다. 또 두 개의 끈으로 구슬을 꿰어 위로 형(珩)에 매달고, 양 끝은 아래로 우(瑀)에 교차시켜 꿰고 아래로 두 황(璜)에 매다니, 사람이 걸어가면 충아(衝牙)가 황(璜)에 부딪쳐 소리가 난다. 여씨(呂氏)가 말하기를 '비단 옥뿐만이 아니요 뿔송곳과 화경, 바늘과 대통 등 모든 찰만 한 것은 모두 이것이다.'라 하였다.(集傳: 雜佩者, 左右佩玉也. 上橫曰珩, 下繫三組, 貫以蠙珠, 中組之半, 貫一大珠, 曰瑀. 末懸一玉, 兩端皆銳, 曰衝牙. 兩旁組半, 各懸一玉, 長博而方, 曰琚, 其末各懸一玉, 如半璧而內向, 曰璜. 又以兩組貫珠, 上繫珩, 兩端下交貫瑀而下繫於兩璜, 行則衝牙觸璜而有聲也. 呂氏曰, '非獨玉也. 觿燧箴(針)管凡可佩者皆是也.') Quote-right.png
출처: 『詩經』, 「鄭風」, '女曰鷄鳴'.



기타

상징
덕의 상징으로, 패옥을 찬 채 걸으면 황과 충아가 서로 부딪쳐 ‘쟁쟁[鏘鏘]’하고 소리를 내, 군자는 이 소리를 들으면서 사악한 마음이 자신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다스리는 것이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황제 패옥(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패옥(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왕세자 패옥(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패옥(왕실남성) 책례 A는 B에 착용하였다
패옥(왕실남성) 가례 A는 B에 착용하였다
패옥(왕실남성) 제례 A는 B에 착용하였다
패옥(왕실남성)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패옥(왕실남성) 왕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패옥(왕실남성) 왕의 조복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패옥(왕실남성) 왕세자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패옥(왕실남성) 왕세자의 조복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패옥(왕실남성) 상의원 A는 B에서 제작되었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6쪽.
  2.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6쪽.
  3.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2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 金明淑,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한국복식학회지』 18권, 1992.
  • 金明淑,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國葬都監儀軌 服玩圖設을 통한 考察-」, 『한국복식학회지, 7권, 1983.
  • 金明淑, 「한국과 중국의 袞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이은진, 조효진, 「조선말기 왕실복식 소재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1권 3호, 한복문화학회, 2008.
  • 이혜경,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4권 4호, 한복문화학회, 2001
  • 인윤실, 「조선왕조시대 금박에 관한 연구」, 『복식』 2권, 한국복식학회, 1978.
  • 전혜숙,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의의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규순, 「황제와 황후의 복식 어떻게 변화했나」,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홍나영, 「佩玉에 관한 硏究」, 『韓國服飾』 8,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1990.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