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왕의 대례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장정보
 
{{복장정보
 
|이미지= 궁중기록화 복장 면복02.JPG
 
|이미지= 궁중기록화 복장 면복02.JPG
|복식명칭= 면복 일습(9장복)
+
|사진출처= 『왕실문화도감』, 19쪽
 +
|복식명칭= 면복(9장복)
 
|복식구분= 예복
 
|복식구분= 예복
 
|착용성별= 남성
 
|착용성별= 남성
|착용신분= [[]]
+
|착용신분= [[황태자]]
 
|필드수= 5
 
|필드수= 5
 
}}
 
}}
 +
  
 
==정의==
 
==정의==
국가의 [[제례]]를 올리거나 [[혼례]]를 올릴 때 또는 즉위할 때 착용하는 예복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8쪽.</ref>
+
조선시대의 면복은 1402년(명나라 영락 원년)에 사여받은 것을 기본 규정으로 삼았는데 국가의 [[길례]](吉禮), [[가례]](嘉禮), [[흉례]](凶禮) 등, 다양한 성격의 의례에 사용되었다. 즉위 시에는 물론, 종묘사직에 제사 지낼 때, 설날이나 동지 등의 하례식에, 또 절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5468&cid=46649&categoryId=46649 망궐례](望闕禮)에 그리고 혼례인 가례 때의 일부 의식에 착용했다. 흉례에서는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4905&cid=46635&categoryId=46635 대렴]의(大斂衣)로도 사용되었다.<ref>김문식·김지영·박례경·송지원·심승구·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101쪽.</ref> 면복은 [[면관(冕冠)]]과 곤복(袞服) 즉 [[면복 상의|면복 상의(冕服 上衣)]]를 합쳐 말하는 것으로 입는 사람의 지위에 따라 [[면관(冕冠)]]에 늘어뜨린 줄인 류(旒)와 곤복에 새겨진 장문(章紋)의 개수가 다르다. [[황태자]]의 면복은 9류면(旒冕), 9장복(章服)이다. <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8쪽.</ref>
  
 
==내용==
 
==내용==
면복은 [[면관|면관(冕冠)]]과 곤복(袞服) 즉 [[의|의(衣)]]를 합쳐 말하는 것으로 입는 사람의 지위에 따라 [[면관|면관(冕冠)]]에 달린 류(旒)와 곤복에 새겨진 장문의 개수가 다르다. <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8쪽.</ref><br />
 
[[왕]]의 면복은 [[황태자]]와 같은 9류면(旒冕), 9장복(章服)이다.
 
 
 
===복식구성===
 
===복식구성===
[[면관|면관(冕冠)]], [[|의(衣)]], [[상(왕실남성)|상(裳)]], [[중단(왕실남성)|중단(中單)]], [[대대(왕실남성)|대대(大帶)]], [[옥대|옥대(玉帶)]], [[폐슬(왕실남성)|폐슬(蔽膝)]], [[패옥(왕실남성)|패옥(佩玉)]], [[후수(왕실남성)|후수(後綬)]], [[적석|적석(赤舃)]], [[적말|적말(赤襪)]], [[규|규(圭)]], [[방심곡령(왕실남성)|방심곡령(方心曲領)]]
+
[[면관(冕冠)]], [[면복 상의|의(衣)]], [[면복 하상|상(裳)]], [[중단(왕실남성)|중단(中單)]], [[대대(왕실남성) | 대대(大帶)]], [[옥대(왕실남성)|옥대(玉帶)]], [[폐슬(왕실남성)|폐슬(蔽膝)]], [[패옥(왕실남성) | 패옥(佩玉)]], [[후수(왕실남성) | 후수(後綬)]], [[적석|적석(赤舃)]], [[적말|적말(赤襪)]], [[규(왕실남성)|규(圭)]], [[방심곡령(왕실남성)|방심곡령(方心曲領)]]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3번째 줄: 23번째 줄:
 
!항목A!!항목B!!관계
 
!항목A!!항목B!!관계
 
|-
 
|-
|[[]]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황태자]]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
| [[국조오례의]]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대한예전]]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면관|면관(冕冠)]]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면관]]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의(衣)]]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면복 상의|의]]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상(왕실남성)|상(裳)]]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면복 하상|상]]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중단(왕실남성)|중단(中單)]]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중단(왕실남성)|중단]]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폐슬(왕실남성)|폐슬(蔽膝)]]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폐슬(왕실남성)|폐슬]]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후수(왕실남성)|후수(後綬)]]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후수(왕실남성)|후수]]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패옥(왕실남성)|패옥(佩玉)]]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패옥(왕실남성)|패옥]]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대대(왕실남성)|대대(大帶)]]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대대(왕실남성)|대대]]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옥대|옥대(玉帶)]]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적말]]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적말|적말(赤襪)]]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적석]]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적석|적석(赤舃)]]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왕실남성)|규]]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규|규(圭)]]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방심곡령]]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방심곡령(왕실남성))|방심곡령(方心曲領)]]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PAGENAME}}''' || [[상의원]] || A는 B에서 제작한다.
|-
 
| '''{{PAGENAME}}''' || [[상의원]] || A는 B에서 제작한다
 
|-
 
| '''{{PAGENAME}}''' || [[면복각]] || A는 B에서 보관한다
 
 
|}
 
|}
 +
 +
===시간정보===
 +
 +
===공간정보===
  
 
==시각자료==
 
==시각자료==
===사진===
+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면복02.JPG|면복 차림의 영친왕<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9쪽.</ref>
+
파일: 궁중기록화 복장 면복02.JPG|면복 차림의 영친왕. 『왕실문화도감』, 19쪽.
 
</gallery>
 
</gallery>
 +
 +
===영상===
  
 
==주석==
 
==주석==
69번째 줄: 71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국립고궁박물관, 2013).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최연우, 『면복』(문학동네, 2015).
+
*김문식·김지영·박례경·송지원·심승구·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
 
 +
===더 읽을거리===
 +
*국립고궁박물관(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
===유용한 정보===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장]]
 
[[분류:복장]]

2017년 6월 10일 (토) 14:26 판



()
[[file:|360px|thumb|center|『왕실문화도감』, 19쪽]]
착용신분 황태자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시대의 면복은 1402년(명나라 영락 원년)에 사여받은 것을 기본 규정으로 삼았는데 국가의 길례(吉禮), 가례(嘉禮), 흉례(凶禮) 등, 다양한 성격의 의례에 사용되었다. 즉위 시에는 물론, 종묘사직에 제사 지낼 때, 설날이나 동지 등의 하례식에, 또 절일 망궐례(望闕禮)에 그리고 혼례인 가례 때의 일부 의식에 착용했다. 흉례에서는 대렴의(大斂衣)로도 사용되었다.[1] 면복은 면관(冕冠)과 곤복(袞服) 즉 면복 상의(冕服 上衣)를 합쳐 말하는 것으로 입는 사람의 지위에 따라 면관(冕冠)에 늘어뜨린 줄인 류(旒)와 곤복에 새겨진 장문(章紋)의 개수가 다르다. 황태자의 면복은 9류면(旒冕), 9장복(章服)이다. [2]

내용

복식구성

면관(冕冠), 의(衣), 상(裳), 중단(中單), 대대(大帶), 옥대(玉帶), 폐슬(蔽膝), 패옥(佩玉), 후수(後綬), 적석(赤舃), 적말(赤襪), 규(圭), 방심곡령(方心曲領)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황태자 왕의 대례복 A는 B를 착용한다.
대한예전 왕의 대례복 A는 B를 기록한다.
면관 왕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왕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왕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중단 왕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폐슬 왕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후수 왕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패옥 왕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대대 왕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적말 왕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적석 왕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왕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방심곡령 왕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왕의 대례복 상의원 A는 B에서 제작한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김문식·김지영·박례경·송지원·심승구·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101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8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김문식·김지영·박례경·송지원·심승구·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더 읽을거리

  • 국립고궁박물관(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