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백제문화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74번째 줄: 74번째 줄:
 
*************************************[[서존]]서존(徐存)
 
*************************************[[서존]]서존(徐存)
  
[[이천서씨]]는 통일신라 아간대부 [[서신일]](徐神逸),내의령 [[서필]](徐弼),내사령 [[서희]](徐熙),문하시중 [[서눌]](徐訥) 좌복야 [[서유걸]](徐惟傑),평장사 [[서정]](徐靖),우복야 [[서균]](徐均) 판대부사 서린(徐嶙), 평장사 [[서공]](徐恭) 추밀원사 [[서순]](徐淳) 등 7대가 연속 재상이 되어 고려의 최고 문벌 귀족 가문으로 성장한다.
+
[[이천서씨]]는 [[서신일]](徐神逸)(아간대부 정2품)- [[서필]](徐弼)(내의령 종1품) [[서봉]](徐逢)(광평시랑평장사 정2품) - [[서희]](徐熙)(내사령 종1품) - [[서눌]](徐訥)(문하시중 종1품) [[서유걸]](徐維傑)(좌복야 정2품) [[서유위]](徐維偉)(장야서령 정3품) [[서주행]](徐周行)(달성군) - [[서정]](徐靖)(판삼사사 종1품) [[서존]](徐存)(병부상서 정3품)-[[서균]](徐鈞)(우복야 정2품) [[서린]](徐嶙)(판대부사 정2품) [[서석]](徐碩)(시랑평장사 정2품)-[[서원]](徐元)(평장사 정2품) [[서공]](徐恭)(판삼사사 종1품) [[서순]](徐淳(徐諄)(동지추밀원사 종2품) [[서성]](徐成)(평장사 정2품) [[서염]](徐廉)(사복부령 종2품)에 걸쳐 칠대(7 대) 동안 연속 재상직에 임명된 고려 최고 [[문벌 귀족]] 가문이다.
  
 
[[고려]] 초기에 나라의 기틀의 튼튼히 한 [[서필]](徐弼)이다. 이어 손자 [[서희]](徐熙)와 증손자 [[서눌]](徐訥) [[서유걸]](徐惟傑) [[서유위]](徐惟偉) [[서주행]](徐周行), 고손자 [[서정(고려)|서정]](徐靖) [[서존]](徐存),[[서균(고려)|서균]](徐鈞) [[서린(고려)|서린]](徐璘), [[서원(고려)|서원]](徐元) [[서공(고려)|서공]](徐恭) [[서성(고려)|서성]](徐成) [[서순(고려)|서순]](徐淳),[[서숭조]],[[서희찬]],[[서능]](徐稜),[[서효손]],[[서신계]], [[서린(고려1)|서린]](徐鱗),[[서성윤]],[[서념]],[[서원경(고려)|서원경]],[[서충(고려)|서충]],[[서신(고려)|서신]],[[서윤(고려)|서윤]],[[서후상]],[[서윤현(고려)|서윤현]] 등이 15대를 이어 [[재상]]이 되었다.
 
[[고려]] 초기에 나라의 기틀의 튼튼히 한 [[서필]](徐弼)이다. 이어 손자 [[서희]](徐熙)와 증손자 [[서눌]](徐訥) [[서유걸]](徐惟傑) [[서유위]](徐惟偉) [[서주행]](徐周行), 고손자 [[서정(고려)|서정]](徐靖) [[서존]](徐存),[[서균(고려)|서균]](徐鈞) [[서린(고려)|서린]](徐璘), [[서원(고려)|서원]](徐元) [[서공(고려)|서공]](徐恭) [[서성(고려)|서성]](徐成) [[서순(고려)|서순]](徐淳),[[서숭조]],[[서희찬]],[[서능]](徐稜),[[서효손]],[[서신계]], [[서린(고려1)|서린]](徐鱗),[[서성윤]],[[서념]],[[서원경(고려)|서원경]],[[서충(고려)|서충]],[[서신(고려)|서신]],[[서윤(고려)|서윤]],[[서후상]],[[서윤현(고려)|서윤현]] 등이 15대를 이어 [[재상]]이 되었다.

2022년 9월 21일 (수) 17:18 판

한성백제문화제(漢城百濟文化祭)

백제한성시대부터 88서울올림픽 개최, 그리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송파구의 위대한 문화유산을 토대로 축제를 구현함으로써 구민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세계적인 축제로 도약

서울특별시 송파구에서 한성백제 문화를 주제로 매년 9월~10월 초에 개최하는 축제

매년 9월 말~10월 초 한성백제 시대의 도읍지였던 서울 송파구에서 개최되는 문화 축제로 1994년 제1회가 열렸다. 현재 송파구 지역은 기원전 18년부터 475년까지 약 500년간 한성백제 수도의 역할을 해 왔다. 때문에 송파에서는 백제의 다양한 유물과 유적들을 만나볼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풍납토성(사적 제11호), 몽촌토성(사적 제297호), 석촌동 고분군(사적 제243호) 등이 있다.

한성백제문화제에서는 백제의 문화를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대표적으로 한성백제혼불 채화식, 전통놀이 및 문화체험, 도전! 한성백제박사, 한성백제 어울마당, 한성백제 성곽돌기, 역사문화거리행렬 등이 진행된다.

온조왕(溫祚王)

백제의 시조 (재위 BC 18∼AD 28).

출생-사망 ? ~ 28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의 아들로 비류(沸流)의 동생이다. 《삼국사기》에는 주몽이 난을 피해 북부여(北扶餘)에서 졸본부여(卒本扶餘)로 왔을 때 졸본부여의 왕이 그에게 둘째딸을 시집보내 비류와 온조 형제가 태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다. 주몽이 졸본에서 월군(越郡)의 여자에게서 형제를 낳았다는 이야기도 있다고 전하고 있다. 그러나 비류와 온조 형제가 북부여 해부루(解扶婁) 왕의 서손(庶孫)인 우태(優台)와 졸본 사람 연타취발(延陁溴勃)의 딸인 소서노(召西奴)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내용의 건국설화도 있다. 소서노는 우태가 죽은 뒤 졸본에서 혼자 살았는데, 주몽이 졸본으로 와서 고구려를 세우고 소서노를 왕비로 삼아 비류와 온조 형제를 자신의 소생처럼 대우했다는 것이다. 왕비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으며 백제의 제2대 다루왕(多婁王, 재위 28~77) 등을 낳았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주몽이 북부여에서 낳았던 아들이 졸본으로 와서 태자가 되자 온조왕은 형인 비류와 함께 오간(烏干), 마려(馬黎) 등 열 명의 신하를 거느리고 남쪽으로 내려와 기원전 18년 하남(河南) 위례성(慰禮城)에 도읍을 정하고 나라를 세워 국호를 십제(十濟)라 하였다. 형인 비류는 미추홀(弥鄒忽)에 따로 터를 잡았다가 신하와 백성들을 이끌고 다시 위례로 합류했다. 그 뒤 온조왕은 위례로 올 때 백성들이 기꺼이 따랐다고 해서 나라 이름을 백제(百濟)로 고쳤고, 조상이 고구려와 함께 부여에서 나왔으므로 ‘부여(扶餘)’를 성씨로 하고 동명왕(東明王)의 묘당을 세웠다. 《삼국유사》에는 성씨를 ‘해(解)’로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온조왕은 동쪽의 낙랑(樂浪), 북쪽의 말갈(靺鞨)과 대립하며 백제의 영토를 꾸준히 넓혀갔다. 기원전 17년(온조왕 2) 족부(族父)인 을음(乙音)을 우보(右輔)로 삼아 군사를 맡겼고, 기원전 16년에는 말갈이 북쪽 국경을 침범해오자 직접 정예병을 이끌고 출정하여 그들을 크게 격파하였다. 기원전 15년에는 낙랑에 사신을 보내 우호관계를 맺었으나, 기원전 11년 백제가 마수성(馬首城)을 쌓고 병산(甁山)에 목책을 세운 일로 우호관계가 끊어졌다. 이 해에 말갈이 쳐들어와 위례성을 포위했으나 온조왕은 성을 굳건히 지키다가 퇴각하는 말갈군을 공격해 큰 승리를 거두었다. 기원전 9년에도 말갈족이 북쪽 국경을 쳐들어오자 왕은 직접 정예 기병을 이끌고 봉현(烽峴)으로 출정해 그들을 물리쳤다. 기원전 8년(온조왕 11)에는 낙랑이 말갈을 시켜 병산의 목책을 습격해 파괴하자 독산(禿山)과 구천(狗川) 두 곳에 목책을 세워 낙랑으로 가는 길을 막았다.

기원전 6년 왕의 어머니가 죽자 온조왕은 도읍을 옮길 계획을 세워 한산(漢山) 아래에 목책을 세워 위례성의 백성을 이주시켰다. 그리고 성과 대궐을 세워 이듬해인 기원전 5년(온조왕 14) 도읍을 옮겼다. 《삼국유사》 ‘왕력’ 편에는 지금의 광주(廣州)로 기록되어 있다. 이 때 백제의 영토는 북으로는 패하(浿河)에 이르고, 남으로는 웅천(熊川)이 경계였으며, 서쪽은 바다, 동쪽으로는 주양(走壤)에 닿았다. 도읍을 옮긴 뒤에 온조왕은 부락(部落)을 돌며 백성들을 위로하고 농업을 장려했으며, 한강(漢江) 서북쪽에 성을 쌓아 한성(漢城)의 주민을 나누어 이주시켰다. 기원전 4년(온조왕 15) 한성에 새 궁궐을 지었고, 기원전 2년(온조왕 17)에는 왕의 어머니를 기리는 묘당을 세웠다.

기원전 2년 낙랑이 쳐들어와 위례성을 불태우면서 낙랑, 말갈과의 대립이 확대되었다. 기원전 1년(온조왕 18) 겨울에도 말갈이 쳐들어왔으나 온조왕은 직접 군대를 거느리고 칠중하(七重河)에서 그들과 싸워 추장인 소모(素牟)를 붙잡아 마한(馬韓)으로 보냈다. 그리고 낙랑의 우두산성(牛頭山城)을 습격하기 위해 구곡(臼谷)으로 갔으나 큰 눈을 만나 회군하였다. 기원후 4년(온조왕 22)에는 석두성(石頭城)과 고목성(高木城)을 쌓았고, 부현(斧峴) 동쪽에서 말갈군을 물리쳤다.

이렇듯 나라가 커지고 강해지자 온조왕은 진한(辰韓)과 마한 병합을 추진했다. 기원후 6년에는 웅천(熊川)에 목책을 세웠으나 마한 왕의 항의를 받고 허물었다. 그러나 기원후 8년 사냥 가는 것으로 위장하고는 마한을 기습해 원산성(圓山城)과 금현성(錦峴城) 두 곳을 제외한 영토를 병합했다. 기원전 9년에는 원산성과 금현성도 점령해 그곳 백성들을 한산 북쪽으로 이주시켰으며, 대두산성(大豆山城)을 쌓았다.

마한을 병합한 온조왕은 기원후 10년 맏아들인 다루(多婁)를 태자로 삼아 그에게 군사를 맡겼다. 그리고 통치체계를 정비해 13년에는 나라의 민호(民戶)를 나누어 남부(南部)와 북부(北部)를 설치했으며, 15년에는 동부(東部)와 서부(西部)를 더 설치했다. 16년 옛 마한의 장수인 주근(周勤)이 우곡성(牛谷城)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온조왕은 직접 5천의 병사를 이끌고 이를 진압했다. 18년에는 탕정성(湯井城)을 쌓아 대두성(大豆城)의 주민을 나누어 이주시켰다. 그리고 원산성과 금현성을 수리하고 고사부리성(古沙夫里城)을 새로 쌓았다. 19년 가뭄으로 한강 유역에 큰 흉년이 들자 이듬해 봄에 온조왕은 직접 동쪽의 주양(走壤)과 북쪽의 패하(浿河)까지 순행하였고, 각지에 사신을 보내 농업과 잠업을 권장하고 급하지 않은 부역을 모두 중단케 했다. 22년 말갈이 술천성(述川城)과 부현성(釜峴城)을 공격해오자 왕은 병사를 보내 이를 막게 했다. 23년 우보인 을음이 죽자 부여 출신의 해루(解婁)를 새로 우보로 삼았다. 그리고 이 해에 한수 동북 지방의 15세 이상 장정을 징발해 위례성을 수리했다. 25년에는 남옥저(南沃沮) 구파해(仇頗解) 등이 귀순해오자 이들을 받아들여 한산 서쪽에 살게 했다.

온조왕은 기원후 28년(온조왕 46) 봄에 사망했고, 맏아들인 다루왕이 왕위를 계승했다. 장례에 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아 왕릉의 위치는 확인되지 않는다.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21(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에서 거행된다.

백제왕 계보

이천서씨서신일(徐神逸)(아간대부 정2품)- 서필(徐弼)(내의령 종1품) 서봉(徐逢)(광평시랑평장사 정2품) - 서희(徐熙)(내사령 종1품) - 서눌(徐訥)(문하시중 종1품) 서유걸(徐維傑)(좌복야 정2품) 서유위(徐維偉)(장야서령 정3품) 서주행(徐周行)(달성군) - 서정(徐靖)(판삼사사 종1품) 서존(徐存)(병부상서 정3품)-서균(徐鈞)(우복야 정2품) 서린(徐嶙)(판대부사 정2품) 서석(徐碩)(시랑평장사 정2품)-서원(徐元)(평장사 정2품) 서공(徐恭)(판삼사사 종1품) 서순(徐淳(徐諄)(동지추밀원사 종2품) 서성(徐成)(평장사 정2품) 서염(徐廉)(사복부령 종2품)에 걸쳐 칠대(7 대) 동안 연속 재상직에 임명된 고려 최고 문벌 귀족 가문이다.

고려 초기에 나라의 기틀의 튼튼히 한 서필(徐弼)이다. 이어 손자 서희(徐熙)와 증손자 서눌(徐訥) 서유걸(徐惟傑) 서유위(徐惟偉) 서주행(徐周行), 고손자 서정(徐靖) 서존(徐存),서균(徐鈞) 서린(徐璘), 서원(徐元) 서공(徐恭) 서성(徐成) 서순(徐淳),서숭조,서희찬,서능(徐稜),서효손,서신계, 서린(徐鱗),서성윤,서념,서원경,서충,서신,서윤,서후상,서윤현 등이 15대를 이어 재상이 되었다.


대구달성서씨(大丘達城徐氏)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주행(徐周行 달성군)-서한(徐閈 군기소윤 종3품.차관)-서신(徐愼 이부판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무질(徐無疾 밀직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진(徐晉 판도판서 정3품.장관)-서기준(徐奇俊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영(徐穎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균형(徐鈞衡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 서익진(徐益進 판전객시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침(徐沈 조봉대부 정3품.장관) 서의(徐義 호조전서 정3품.장관) 이다

연산 서씨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직(徐稷 연성군)-서준영(徐俊英 연성군)- 서보(徐寶 연성군(連城君) 으로 이어진다.

부여 서씨 계보는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춘(徐椿 판내부사사 정2품.부총리 재상) 서박(徐樸 봉례공) 으로 이어진다.

남양당성 서씨 계보는 서간(徐趕 태사.남양군. 종1품. 국무총리 재상)-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적(徐迪남양군)으로 이어진다.


중화 서씨(中華徐氏) 계보는 단군조선 여수기(余守己)-번한조선(番韓朝鮮) 서우여(徐于餘)-고조선(古朝鮮) 소호(少昊), 고도(皋陶), 백익(伯益)의 아들 약목(若木)-서국(徐國)에 30세 서구왕(駒王=徐駒王), 32세 서언왕(徐偃王)-진나라 재상 서복(徐福)-삼국시대(三國時代) 서선(徐宣),서유자(徐孺子; 徐穉) 서서(徐庶), 오(吳) 나라에는 서성(徐盛),부여 동명왕(東明王),백제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신라 서두라(徐豆羅)- 남송(南宋) 서희(徐煕), 서도(徐道), 서도(徐度), 서숙향(徐叔嚮), 서중융(徐仲融), 서문백(徐文伯), 서사백(徐嗣伯)- 북제(北齊) 서지재(徐之才), 서임경(徐林卿), 서동경(徐同卿)- 원위(元魏) 서건(徐謇), 서웅(徐雄)- 수 나라 서민제(徐敏齊) -.명나라 말기 호족 서수휘(徐壽輝)청나라- 지리학자 서하객(徐震客),대학자 서광계(徐光啓)


서씨일가연합회(徐氏一家聯合會)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