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대대(왕실남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이미지= 궁중기록화 복식 왕실남성 대 01.jpg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왕실남성 대 01.jpg
|대표명칭= 대대(大帶)
+
|사진출처= 『正祖國葬都監儀軌』
 +
|대표명칭= 대대
 +
|한자표기= 大帶
 
|이칭별칭=  
 
|이칭별칭=  
 +
|구분= 대
 
|착용신분= 왕실
 
|착용신분= 왕실
 
|착용성별= 남성
 
|착용성별= 남성
|복식구성= [[옥대|옥대(玉帶)]]
 
|관련복식= [[대례복|대례복(大禮服)]]
 
|복식구분= 대
 
|필드수= 7
 
 
}}
 
}}
  
 
=='''정의'''==
 
=='''정의'''==
[[대례복]][[면복]] 일습 중 허리에 둘러 묶어 매는 역할
+
조선시대의 [[]][[왕세자]], [[왕세손]], 대한제국 [[황제]]와 [[황태자]]가 [[제례]]나 [[책례]], [[가례]] 등의 의례를 행할 때 허리에 둘러 묶는 띠이다.<ref>최연우,『면복』, 문학동네, 2015, 33쪽.</ref>
  
{{교열|정의|대례복인 면복에서 허리에 둘러 묶는 것이다.|정주영}}
+
=='''내용'''==
 +
견직물을 사용해 만드는데, 겉은 흰색으로 하고, 안은 붉은 색으로 하며, 가장자리에는 홍색과 녹색으로 가선을 두른다. 전체 형태는 허리에 두르는 부분인 ‘[[요|요(繞)]]’와 아래로 늘어뜨린 부분인 ‘[[신|신(紳)]]’으로 이루어진다. [[대대(왕실남성)|대대]]의 앞부분 양쪽 끝에 술을 단 끈을 하나씩 늘어뜨렸는데, 이는 고려시대의 [[유약|유약(紐約)]]을 본뜬 것이다. 대대를 묶기 위한 [[유약]]으로 남색 견사로 엮은 가는 술띠[絛兒]를 쓰다가 1713년(숙종 39)부터 [[광다회]]로 바뀌었다. 허리에 묶는 끈이 가는 술띠일 때는 장식용으로만 부착되었는데 [[광다회]]로 바뀌면서 실질적인 허리띠 역할을 했다. 조선시대에는 [[옥대]]와 [[대대(왕실남성)]]를 함께 착용했다.<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61~62쪽.</ref>
  
=='''내용'''==
+
=='''지식 관계망'''==
===복식구성===
+
===관계정보===
===착용신분===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가 착용 하였다.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황제]] || 대대(왕실남성) ||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
|-
 +
| [[왕]] || 대대(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
|-
 +
| [[왕세자]] || 대대(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
|-
 +
| 대대(왕실남성)||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A ekc:mentions B
 +
|-
 +
| [[황제의 대례복]]  ||대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왕의 대례복]]  || 대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왕세자의 대례복]]|| 대대(왕실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대대(왕실남성)|| [[상의원]]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대대(왕실남성)|| [[면복각]] || A는 B에 보관되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
  
===착용상황===
+
===시간정보===
국가 의례, 혼례 등의 [[대례복]]을 입을 때 착용 하였다.
+
===공간정보===
  
===기본 형태===
+
=='''시각자료'''==
견직물을 사용해 만드는데, 겉은 흰색으로 하고, 안은 붉은 색으로 하며, 가장자리에는 홍색과 녹색으로 가선을 두른다. 전체 형태는 허리에 두르는 부분인 ‘[[요|요(繞)]]’와 아래로 늘어뜨린 부분인 ‘[[신|신(紳)]]’으로 이루어졌다. 대대의 앞부분 양쪽 끝에 술을 단 끈을 하나씩 늘어뜨렸는데, 이것은 고대의 [[뉴약|뉴약(紐約)]]을 본뜬 것이다. [[뉴약]]은 남색 견사로 엮은 가는 술띠[絛兒]를 쓰다가 1713년(숙종 39)부터 [[광대회]]로 바뀌었다. 가는 [[술띠]]일 때는 장식용으로만 부착되었는데 [[광다회]]로 바뀌면서 허리에 묶는 실질적인 끈 역할을 한다. [[혁대]]에는 작은 칼, 불을 피울 부싯돌, 그리고 기타 여러 가지 생활도구를 매달기 때문에 무게가 가볍지 않아 허리에 고정시키기 위해 [[혁대]]를 두르고 그 위에 천으로 만든 [[대대]]를 둘러싸 가슴 앞에서 잡아 묶는다. 생필품을 매단 [[혁대]]를 지속적으로 거정하기에 이라는 실로 짠 끈을 대대의 묶음 부분에 둘러매 [[혁대]]와 [[대대]] 두 허리띠가 하나로 고정되어 혁대가 대대 밖으로 빠져 나오지 않게 한다. 조선시대에는 [[옥대]]와 [[대대]]를 함께 착용 했다. <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61~62쪽.</ref>
+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왕 대대 종묘의궤 규장각.jpg | |『宗廟儀軌』의 대대.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왕실남성 대 01.jpg|『正祖國葬都監儀軌』 왕의 대대.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왕실남성 대 01.jpg|『正祖國葬都監儀軌』 왕의 대대.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대대(왕실남성)02.jpg|『大韓禮典』 황제의 대대.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대대(왕실남성)02.jpg|『大韓禮典』 황제의 대대.
 
</gallery>
 
</gallery>
  
===기타===
+
===영상===
  
=='''관련항목'''==
+
=='''주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references/>
!항목A!!항목B!!관계
 
|-
 
|[[황제]]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황태자]]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왕]]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왕세자]]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PAGENAME}}'''  || [[대례복]] ||A는 B의 부분이다
 
|}
 
  
 
=='''참고문헌'''==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국립민속박물관,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 金明淑,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金明淑,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한국복식학회지』 18권, 1992.
+
*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服飾』 18권, 한국복식학회, 1992.
* 金明淑,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國葬都監儀軌 服玩圖設을 통한 考察-」, 『한국복식학회지, 7권, 1983.
+
* 金明淑,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國葬都監儀軌 服玩圖設을 통한 考察-」, 『服飾』 7권, 한국복식학회, 1983.
 
* 金明淑, 「한국과 중국의 袞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金明淑, 「한국과 중국의 袞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김진구, 「背戌의 연구」, 『복식문화연구』 5권 4호, 복식문화학회, 1997.
 
* 김진구, 「보션과 청의 명칭 연구」, 『복식문화연구』 6권 3호, 복식문화학회, 1998.
 
* 손경자, 「버선의 연구」, 『복식』 2권, 한국복식학회, 1978.
 
 
*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이은진, 조효진, 「조선말기 왕실복식 소재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1권 3호, 한복문화학회, 2008.
 
* 이은진, 조효진, 「조선말기 왕실복식 소재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1권 3호, 한복문화학회, 2008.
* 이혜경,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4권 4호, 한복문화학회, 2001
+
* 이혜경,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4권 4호, 한복문화학회, 2001.
 
* 인윤실, 「조선왕조시대 금박에 관한 연구」, 『복식』 2권, 한국복식학회, 1978.
 
* 인윤실, 「조선왕조시대 금박에 관한 연구」, 『복식』 2권, 한국복식학회, 1978.
 
* 전혜숙,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의의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전혜숙,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의의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최규순, 「이 시대의 진정한 ‘紳士’를 위하여」, 『 전통 의생활 연구』, 제 2집, 단국대학교 전통복식연구소, 2008.
 
* 최규순, 「황제와 황후의 복식 어떻게 변화했나」,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 최규순, 「이 시대의 진정한 ‘紳士’를 위하여」, 『전통 의생활 연구』 제2집, 단국대학교 전통복식연구소, 2008.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주석'''==
 
<references/>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분류:복식]]

2017년 12월 18일 (월) 23:54 기준 최신판


대대
(大帶)
『正祖國葬都監儀軌』
대표명칭 대대
한자표기 大帶
구분
착용신분 왕실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시대의 왕세자, 왕세손, 대한제국 황제황태자제례책례, 가례 등의 의례를 행할 때 허리에 둘러 묶는 띠이다.[1]

내용

견직물을 사용해 만드는데, 겉은 흰색으로 하고, 안은 붉은 색으로 하며, 가장자리에는 홍색과 녹색으로 가선을 두른다. 전체 형태는 허리에 두르는 부분인 ‘요(繞)’와 아래로 늘어뜨린 부분인 ‘신(紳)’으로 이루어진다. 대대의 앞부분 양쪽 끝에 술을 단 끈을 하나씩 늘어뜨렸는데, 이는 고려시대의 유약(紐約)을 본뜬 것이다. 대대를 묶기 위한 유약으로 남색 견사로 엮은 가는 술띠[絛兒]를 쓰다가 1713년(숙종 39)부터 광다회로 바뀌었다. 허리에 묶는 끈이 가는 술띠일 때는 장식용으로만 부착되었는데 광다회로 바뀌면서 실질적인 허리띠 역할을 했다. 조선시대에는 옥대대대(왕실남성)를 함께 착용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제 대대(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대대(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 대대(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대대(왕실남성)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A ekc:mentions B
황제의 대례복 대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의 대례복 대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대례복 대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대대(왕실남성) 상의원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대대(왕실남성) 면복각 A는 B에 보관되었다 A edm:formerLocation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최연우,『면복』, 문학동네, 2015, 33쪽.
  2.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61~62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민속박물관,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 金明淑,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服飾』 18권, 한국복식학회, 1992.
  • 金明淑,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國葬都監儀軌 服玩圖設을 통한 考察-」, 『服飾』 7권, 한국복식학회, 1983.
  • 金明淑, 「한국과 중국의 袞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이은진, 조효진, 「조선말기 왕실복식 소재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1권 3호, 한복문화학회, 2008.
  • 이혜경,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4권 4호, 한복문화학회, 2001.
  • 인윤실, 「조선왕조시대 금박에 관한 연구」, 『복식』 2권, 한국복식학회, 1978.
  • 전혜숙,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의의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규순, 「이 시대의 진정한 ‘紳士’를 위하여」, 『전통 의생활 연구』 제2집, 단국대학교 전통복식연구소, 2008.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