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최익현 초상(모덕사)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최익현 초상(모덕사)
홍대인, "충남도, 최익현 초상‧노혁 왕지 보물 지정 추진", 『타임뉴스』online, 작성일: 2014년 09월 01일.
한자명칭 崔益鉉 肖像
작가 채용신
제작시기 1909년
소장처 청양 모덕사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99.3x62.7cm


정의

조선시대 문신, 우국지사인 최익현(1833~1906)의 모습을 그린 어진.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최익현의 초상화는 여러 점이 전해오는데 그중 국립중앙박물관본, 충남 청양 모덕사본, 경기 포천 채산사본 등 채용신이 그린 것들이 유명하다. 그 외에 심의 초상화로 춘산영당본 등이 전한다.
모덕사본 <최익현 초상>은 화폭 우측 상단에 ‘조선국 면암 최익현 선생의 73세 초상(有明朝鮮國勉菴崔先生七十三歲像)’이라 쓰여 있고, 족자 배면 왼쪽 아래 ‘기유년(1909) 음력 10월 상순에 전 정산군수 채용신이 이모함(己酉陽月上澣前定山郡守蔡龍臣移摹)’이라고 적혀있는데, 이 초상화는 1905년에 자신이 그렸던 작품을 범본으로 하여 1909년 10월에 다시 이모한 작품이다.[1]
모덕사본 <최익현 초상>은 1986년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기존에 제작된 영정을 선택해 표준영정으로 지정한 경우이다. 이성계 표준영정, 세종대왕 표준영정, 황희 표준영정, 이이 표준영정, 이순신 표준영정, 김정희 표준영정, 김대건 표준영정, 유인석 표준영정, 신사임당 표준영정, 신채호 표준영정, 이제현 표준영정, 안향 표준영정 등 총 13점이 이에 해당한다.
비록 이모본이지만, 애초에 주인공을 직접 대면하고 그린 원본의 화가 역시 채용신이었던 만큼 최익현의 외양과 풍모를 핍진하게 재현한 완성도 높은 작품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모덕사본 <최익현 초상>은 실제 인물크기보다 2분의 1 정도 작은 전신좌상으로 오삼에 단령을 입은 정장관복본이다. 사모는 높이가 매우 낮고 모정이 둥글며 양각의 길이가 짧고 앞 쪽으로 많이 굽어 있어 조선말기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흉배고종 때에 개정된 당산문관용 쌍학흉배를 달았고 각대는 정2품용 삽금대이다.[2] 배경은 없고 바닥에 화문석이 깔려 있다.
얼굴은 전체적으로 뚜렷한 윤곽선을 사용하고 얼굴의 굴곡을 수많은 선묘로 묘사하는 서양화법을 구사하여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하였다. 최익현의 강직한 성품이 얼굴에 잘 드러나는 모습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익현 초상(모덕사)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최익현 초상(모덕사) 표준영정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최익현 초상(모덕사) 최익현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최익현 초상(모덕사) 채용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최익현 초상(모덕사) 청양 모덕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단령 최익현 초상(모덕사)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사모 최익현 초상(모덕사)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쌍학흉배 최익현 초상(모덕사)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삽금대 최익현 초상(모덕사)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09년 최익현 초상(모덕사)이 제작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4460330 127.0085530 최익현 초상(모덕사)청양 모덕사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주석

  1.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408쪽.
  2.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408-409쪽.
  3. 홍대인, "충남도, 최익현 초상‧노혁 왕지 보물 지정 추진", 『타임뉴스』online, 작성일: 2014년 09월 01일.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조선미, "최익현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1. 단행본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2. 논문
    • 김진아, 『蔡龍臣筆 崔益鉉 肖像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