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이 표준영정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이 표준영정
21세기 세종, "율곡 이이- 통찰력이 깃든 지성의 힘", 『다음 블로그 - 꿈꾸는 집현전』online, 작성일: 2013년 11월 13일.
작가 김은호
제작시기 1965
소장처 한국은행
유형 (어진, 진영, 초상, 기타)
크기(세로×가로) 150×85㎝ (별도 입력값이 없을 경우, "×㎝"를 삭제할 것)


정의

조선의 문신인 율곡 이이를 묘사한 표준영정이다.

내용

표준영정의 제작 및 보관

화폐권 발행과 표준 영정

  • 율곡 초상화 논란

1972년에 5,000원권이 발행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율곡의 콧날이 날카롭고 매섭게 표현되어 마치 서양사람 같다는 비판이 일었다. 이것은 5,000원권의 원판을 영국의 토마스 데라루 사에 제작 의뢰한 결과 빚어진 일이었다.[1]

  • 화폐권 발행을 위한 표준 영정의 제작

이외에도 역사적인 인물의 동상이나 영정을 제작할 때마다 인물들의 모습이 조금씩 차이가 나 사회적인 물의를 빚는 일이 많았다. 이런 이유로 정부는 1973년 6월 선현의 동상 건립 및 영정 제작에 관한 심의절차를 제정하여 동상이나 영정 제작 등에는 반드시 정부가 최종 승인한 표준영정만 사용하도록 조치했다. 한국은행은 1973년 9월에 발행한 500원권의 충무공 초상부터 표준영정을 사용했다. 또한 이미 시중에 유통되고 있던 10,000원권과 5,000원권의 초상도 표준영정으로 바꾸어 실어야 했다. 이에 따라 1977년 적당한 높이의 코와 온화한 표정의 율곡 초상이 실린 5,000원권이 새롭게 발행되었다.[2]

표준영정에 묘사된 모습

영정에서 이이는 흰 도포를 입은 채 앉아 있다. 이는 그의 강직한 성품을 잘 드러내는 듯 하다. 또한 온화하면서도 곧은 눈빛이 인상적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이 표준영정 표준영정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이이 표준영정 이이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이이 표준영정 김은호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이이 표준영정 강릉 오죽헌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주석

  1. 『한국의 박물관 : 화폐』. 네이버 참조: '표준영정 은행권', 『한국의 박물관 : 화폐』online, 한국박물관연구회.
  2. 『한국의 박물관 : 화폐』. 네이버 참조: '표준영정 은행권', 『한국의 박물관 : 화폐』online, 한국박물관연구회.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이강철, 『역사 인물 초상화 대사전』, 현암사, 2003.
    • 김형우, 『고승진영』, 대원사, 2006.
    • 신대현, 『진영과 찬문』, 혜안, 2006.
    • 한국국학진흥원 한국유교문화박물관, 『초상, 형상과 정신을 그리다 -2009 정기기획전』, 한국국학진흥원, 2006.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초상화 초본』, 열린박물관, 2007.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