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原州 令傳寺址 普濟尊者塔) |
|
답사 이후 추가 예정 | |
대표명칭 |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
---|---|
영문명칭 | Stupas of Buddhist Monk Boje from Yeongjeonsa Temple Site, Wonju |
한자 | 原州 令傳寺址 普濟尊者塔 |
주소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358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소유자 | 국유 |
관리자 | 국립중앙박물관 |
크기 | 높이 3.92m |
건립시대 | 고려시대 |
관련승려 | 혜근(慧勤) |
관련탑비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
정의
강원도 원주시 영전사지(令傳寺址)에서 발견된 고려 말의 승려 혜근(慧勤, 1320-1376)의 승탑.
내용
개요
고려 후기의 승려인 혜근(慧勤)의 사리탑으로 모두 2기이다.[1] 혜근은 고려 후기의 고승으로 호는 나옹(懶翁), 시호는 선각(禪覺)이며 1371년(공민왕 18)에 왕사(王師)가 되어 왕으로부터 보제존자(普濟尊者)라는 호를 받았다.[2]
두 탑은 보통 승려의 사리탑과는 달리 석탑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더욱이 거의 같은 양식으로 2기를 건립하였다는 점도 특이한 예이다.[3]
이 탑들은 1915년 일본인에 의해 경복궁(景福宮)으로 옮겨졌고, 1990년에는 당시 국립중앙박물관(현 국립고궁박물관) 정원으로 이전되었으며, 현재는 용산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야외 전시장에 있다.[4]
이 탑들이 있었던 영전사지(令傳寺址)는 관련 기록이 전혀 전해지지 않으며, 1912년에 이 탑들을 조사하였던 세키노 다다시(關野貞)는 “폐영전사지”로 기록하고 있어 당시에도 유래를 알 수 없을 정도로 황폐화된 절터였던 것으로 보인다.[5]
출토유물
1915년 탑들을 원래의 위치에서 서울로 옮길 때 두 탑 모두에서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가 발견되었으며, 한 탑에서는 약 20cm 정사각형의 납석제(蠟石製) 탑지(塔誌)[6]가 발견되었다.[7]
동탑과 서탑에서 출토된 사리장엄구에는 시주자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고, 탑지 앞뒤 면에는 보제존자의 사리를 1과씩 각각 주탑(主塔)과 동탑에 봉안한다는 내용과 공덕주, 장인(匠人)의 이름들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홍무 21년(1388) 무진 4월에 목사(牧使)[8] 강은(姜隱)이 이를 기록하였음이 새겨져 있어, 두 탑 모두 1388년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9]
도인(道人) 각수(覺修)가 왕사(王師) 보제존자(普濟尊者)의 사리(舍利) 1과(粿)를 주탑(主塔)에 안치(安置)하였고, 비구니(比丘尼) 묘관(妙寬)도 보제존자(普濟尊者)의 사리 1과를 동탑(東塔)에 봉안(奉安)하였다. 대공덕주(大功德主) 봉익대부(奉翊大夫) 서윤현(徐允賢)의 법명(法名)은 각희(覺喜)이며, 처씨(妻氏)는 단산군부인(丹山郡夫人) 장씨(張氏)이니 법명(法名)은 묘연(妙然)이다. (이상은 전면부분(前面部分)이다) |
||
출처: "영전사지보제존자사리탑", 금석문 세부정보, |
지식관계망
- 나옹 혜근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양주 회암사 나옹선사부도 | 혜근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1381년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혜근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 혜근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1379년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 혜근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1379년 |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 혜근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1388년 |
양주 회암사 나옹선사부도 | 양주 회암사 | A는 B에 있다 |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양주 회암사 | A는 B에 있다 |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 여주 신륵사 | A는 B에 있다 |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 여주 신륵사 | A는 B에 있다 | |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
혜근 | 순천 송광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혜근 | 양주 회암사 | A는 B를 중창하였다 | |
혜근 | 양주 회암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혜근 | 여주 신륵사 | A는 B에서 입적하였다 | 1376년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혜근",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강병희,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강병희,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탑을 세우게 된 내력이나 시주자 등의 이름을 적은 글로 탑 내부에서 발견된다. 주로 금속이나 돌에 새겨 넣는 경우가 많은데, 탑의 제작 연대를 아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솔출판사 편집부, 『한국 미의 재발견 - 용어 모음』, 솔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탑지",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영전사지 보제존자사리탑",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고려와 조선시대에, 지방 행정 단위의 하나인 목을 맡아 다스리던 정3품 외직 문관
- ↑ 강병희,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천왕사 은도금 집모양 육각 사리기",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천왕사 석제 사리 항아리",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참고문헌
- "영전사지보제존자사리탑",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강병희,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영전사지 보제존자사리탑",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원주 영전사 터 보제존자사리탑",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 국립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