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楊州 檜巖寺址 禪覺王師碑) |
|
대표명칭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Royal Preceptor Seongak at Hoeamsa Temple Site, Yangju |
한자 | 楊州 檜巖寺址 禪覺王師碑 |
주소 | 경기 양주시 회암동 산8-1번지 회암사(귀부),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불교중앙박물관(비신)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387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9월 2일 |
찬자 | 이색(李穡) |
서자 | 권중화(權仲和) |
각자 | 미상 |
서체 | 예서(隷書) |
승려 | 나옹(懶翁) |
건립연대 | 1377년 |
승탑 | 원주 영전사 보제존자사리탑 |
|
정의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회암사지(檜巖寺址)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선각왕사 나옹(禪覺王師 懶翁, 1320-1377)의 탑비.
내용
개요
높이 3.06m, 너비 1.6m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楊州 檜巖寺址 禪覺王師碑)는 화강암으로 만들었으며, 형식은 당비(唐碑)의 형식을 닮은 복고풍의 것으로 이수(螭首)를 별도로 만들지 않았다. 비신(碑身)[1] 윗부분에 두 마리의 용을 깊게 조각하고 그 중앙에 제액(題額)을 만들어‘禪覺王師之碑(선각왕사지비)' 6자를 새겼다.[2] 귀부(龜趺)는 큰 돌을 단순한 조각기법으로 새겨 다소 추상적으로 다루어 놓았으나, 이수에 새겨진 용의 조각은 정갈하면서도 역동적이다.[3] 비문의 글은 이색(李穡)이 짓고, 글씨는 권중화(權仲和)가 썼다.
비는 1997년까지 제자리를 지키고 있었지만, 성묘객의 실화로 일어난 산불에 훼손돼 보존처리된 후 불교중앙박물관에 보관되었다. 원위치에는 귀부와 함께 모조비가 세워져있다.[4] 나옹의 비는 간략한 내용의 신륵사비도 있고 영전사 탑지로 추정되는 탑지도 있어 비문 자료가 다수이다.[5] 1963년에 보물 제107호로 지정되었다.
비문
비문의 내용은 일반 비와 달리 나옹의 생애 마지막 부분에서부터 시작한다. 나옹은 1370년(공민왕 19)에 왕이 행차한 자리에서 공부선(功夫選)[6] 을 주관하고 회암사(檜巖寺)에 돌아가 왕사(王師)로 책봉되었다. 그리고 회암사에서 영원사(瑩源寺)로 이주하도록 왕명을 받고 내려가던 중 신륵사에서 입적하자 회암사로 돌아와 탑을 세우고 사리는 신륵사에 봉안하였다는 이야기로 비문의 내용을 이어가고 있다. 나옹이 입적하는 장면 이후에는 다시 생애 처음으로 돌아가 나서 나옹이 영해 출신으로 출가하여 수행한다는 내용으로 시작한다. 그 이후로는 나옹은 중국에 가서 지공(指空)을 찾아뵙고 평산처림(平山處林)과 문답하여 법을 전수받았으며 고려에 돌아와 오대산에 주석하다 여러 산을 순례 수행하고 회암사에 주석하던 생애를 기술하고 있다.[7]
비문의 예서체
비의 건립 당시는 중국에서도 원나라와 명나라를 통틀어 예서(隸書)가 쓰이지 않았던 때였기에, 당시 우리나라의 예서 연구 수준을 짐작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동국금석평(東國金石評)』에서 “나옹 비는 팔분서(八分書)[8]인데, 매우 정리가 잘되어 있지만 신비로운 글씨체는 아니다”라고 평하였으나, 결구(結句)[9]도 엄정하고 필력도 씩씩하고 굳세어 예법을 깊이 터득한 것으로서, 중국의 『희평석경(熹平石經)』을 방불케 하는 기념비적인 작품이다.[10]
비문 보러가기 |
• "회암사지선각왕사비", 금석문세부정보, |
지식관계망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와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양주 회암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불교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양주 회암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양주 회암사지 | 양주 회암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권중화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 혜근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원주 영전사 보제존자사리탑 | 혜근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시각 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 ↑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작가갤러리,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단. - ↑ 행복한 놀부, "양주 회암사 선각왕사비 귀부",
『네이버 블로그 - 절(터) 찾아 떠나는 여행』online , 작성일: 2007년 12월 9일. - ↑ "회암사지선각왕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고려 공민왕 때 승려에게 실시한 시험. "공부선",
『두산백과』online . - ↑ "회암사지선각왕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예서 이분쯤과 전서 팔분쯤을 섞어 만든 한자의 글씨체.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문장에서, 특히 긴 편지에서 끝을 맺는 어구. 한시에서 같은 시가의 끝의 구절
- ↑ 이도남,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작가갤러리,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단. - 행복한 놀부, "양주 회암사 선각왕사비 귀부",
『네이버 블로그 - 절(터) 찾아 떠나는 여행』online , 작성일: 2007년 12월 9일. - "회암사지선각왕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이도남,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