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楊州 檜巖寺址 無學大師塔)
BHST Hoeamsa Muhak stupa.jpg
대표명칭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영문명칭 Stupa of Buddhist Monk Muhak at Hoeamsa Temple Site, Yangju
한자 楊州 檜巖寺址 無學大師塔
이칭 무학대사홍융탑(無學大師洪融塔)
주소 경기 양주시 회암동 산8-1번지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388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9월 2일
소유자 양주 회암사
관리자 양주 회암사
크기 높이 2.7m
건립시대 조선시대
관련승려 자초(自超)
관련탑비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정의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회암사(檜巖寺)에 있는 조선 초기의 승려 무학대사 자초(無學大師 自超, 1327-1405)승탑.

내용

개요

고려 말, 조선 초에 활동하였던 무학대사 자초(無學大師 自超)의 묘탑(墓塔)이다. 회암사(檜巖寺) 터의 북쪽 능선 위에 있는데, 뒤쪽에는 스승인 나옹 혜근(懶翁 惠勤, 1320-1376)의 승탑과 함께 나옹의 스승인 지공(指空, ?-1363)의 승탑도 있고, 왼쪽 능선 아래에는 현재의 회암사가 있다.[1]

무학대사탑과 함께 서 있는 무학대사비(無學大師碑)의 기록에 따르면, 이 승탑은 무학이 입적한 지 2년 만인 1407년(태종 7) 조선 불교계를 주도하였던 고승 무학대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되었다.[2]

양식

탑의 형태는 구름무늬를 조각한 8각의 바닥돌 위에 받침부분인 기단(基壇)[3]이 놓이고 탑신(塔身)[4]과 머리장식부분이 포개져 있는 모습이다. 기단의 아래·윗돌은 연꽃모양의 돌이고, 8각형의 가운데돌 각 면에는 모양이 서로 다른 꽃조각이 있다. 탑신은 몸돌이 둥근 모양으로 표면에 용과 구름이 가득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8각으로 처마 부분에는 목조 건축을 흉내낸 모양들이 새겨져 있다. 지붕 꼭대기에는 둥근 돌 하나만 올려놓아 간소화된 형태를 보인다.[5]

탑 주변에는 난간을 둘렀는데, 이것은 석단 중앙에 위치하는 탑을 보호하는 일종의 장식물로서의 역할을 한다. 지공선사 부도(指空禪師 浮屠)나옹선사 부도(懶翁禪師 浮屠)와 같은 구형(球形)[6] 부도 형식의 예에 속하지만, 8각의 석단을 마련하고 그 중심에 부도를 봉안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또한 표면에 새겨진 무늬의 조각수법도 매우 뛰어나서 조선 전기 석조 미술품을 대표하는 매우 뛰어난 수작이다.[7]

1963년 9월 2일 보물 제388호로 지정되었다.[8]

지식관계망

  • 지공, 나옹, 무학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자초 A는 B를 위한 비이다 1828년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자초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1407년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양주 회암사 A는 B에 있다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양주 회암사 A는 B에 있다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김창균,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10월 14일.
  2. 서지민,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건축물의 기초가 되는 단
  4. 탑기단과 상륜 사이 탑의 몸
  5.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6. 공처럼 둥근 모양
  7. 서지민,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