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비(숟가락)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비(匕)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대표명칭
한자표기
유형 의례 물품
시대 조선
용도 길례(吉禮)-제례(祭禮)에 사용
관련장소 종묘(宗廟)



정의

조선시대 의례에서 기장[黍]이나 피[稷], 희생, 채소 등을 제기에 담을 때 쓰는 도구이다.

내용

용도에 따라 서직비(黍稷匕), 생체비(牲體匕), 소비(疏匕)가 있으며 모두 가시나무로 만든다.
서직비는 햇곡식을 떠서 궤(簋), 보(簠) 등의 제기에 담을 때 사용되었으며, 『종묘의궤』에서는 가시나무가 아닌 유기로 만들고 손잡이에 문양을 새겼다고 한다.
생체비는 소, 돼지, 양의 고기를 떠서 조(俎)에 담을 때 사용되었으며, 소비는 채소, 과일 등을 떠서 변(籩), 두(豆) 등의 제기에 담을 때 사용되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비(匕) 궤(簋)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A ekc:goesWith B
비(匕) 보(簠)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A ekc:goesWith B
비(匕) 조(俎)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A ekc:goesWith B
비(匕) 변(籩)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A ekc:goesWith B
비(匕) 두(豆)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A ekc:goesWith B
비(匕) 『종묘의궤(宗廟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비(匕)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비(匕) 제례(祭禮)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종묘의궤(宗廟儀軌)』
  2. 『종묘의궤(宗廟儀軌)』
  3.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국립고궁박물관, 2014.
  • 궁중유물전시관, 『종묘대제문물』, 궁중유물전시관, 2004.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1866~1899년,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online, 국립고궁박물관.
  • "제기도설(祭器圖說)", 「오례의」『세종실록』,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 박봉주, "비(匕)",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이정민, "서직비(黍稷匕)",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제기 종류", 『문화콘텐츠닷컴』online, 문화콘텐츠닷컴.
  • "제기", 『종묘대제』online, 종묘제례보존회.

더 읽을거리

  • 김종일, 「조선후기 종묘제기와 유기장의 제작기술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김종임, 「조선왕실 금속제기 연구 : 종묘제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제277호, 한국미술사학회, 2013.
  • 손명희, 「조선의 국가 제사를 위한 그릇과 도구」『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국립고궁박물관, 2015, 85~136쪽.
  • 이귀영,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 하은미,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