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김육 초상(반신상)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육 초상(반신상)
배한철, "'냉철한 두뇌와 뜨거운 가슴'의 소유자", 라이프, 『중앙시사매거진』online, 작성일: 2016년 10월 26일.
한자명칭 金堉 肖像
작가 맹영광
제작시기 1644년
소장처 실학박물관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26.3×17.4㎝


정의

중국인 화원 호병이 조선시대 문신인 김육(1580∼1658)의 모습을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맹영광(孟永光)이 그린 김육초상으로 작은 화첩에 반신상으로 그려졌다. 김육병자호란 이후, 1643년 12월부터 1644년 7월까지 심양관에서 소현세자원손보양관(元孫輔養官)으로 있을 때 그곳에서 만난 남경 출신의 한인 화가 맹영광이 이별을 아쉬워하며 그려준 초상화이다. 김육은 다음과 같은 시를 지어 그에 대한 고마움을 표현하였다.

Quote-left.png 신묘하구나, 남경의 맹화사. 초상 그리는데 털 끝조차 빠뜨리지 않았네 고국에 돌아가 어찌 감히 그대 은혜를 잊겠는가. 내 초상 볼 때마다 그대 얼굴 생각하리.
神妙南京孟畫師. 寫眞毫髮細無遺. 東歸何敢忘君惠,. 吾面看時子面思.
Quote-right.png
출처: 실학박물관. 『청풍김씨 김육가문 기증자료 보고서』, 실학박물관, 2014. 18쪽.[1]


조선의 인물을 중국인 화가가 그린 특별한 예이며 초상화 속 인물과 화가와의 교류까지 알 수 있어 주목되는 작품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김육 초상>은 전신이 아닌 흉상으로, 양각이 귀 밑으로 늘어진 사모를 쓰고 청색 편복을 입은 모습이다. 청색 두루마기의 옷 주름 사이사이에 음영을 넣어 입체감이 느껴진다. 얼굴은 자연스런 운염법을 사용하여 음영을 넣었고 코와 미간은 가는 선묘를 사용하였다.[2] 하얀 수염이 특징적인데 작가인 맹영광도 이에 대한 을 그림에 남겼다.
화면의 우측에 “영의정잠곡김문정공소진(領議政潛谷金文貞公小眞)” 이라고 표제가 있고 좌측에는 맹영광의 다음과 같은 찬문이 있다.

Quote-left.png 눈처럼 흰 수염과 신선 같은 풍채에서 내면의 덕이 풍겨 군자라면 그를 보고 누구라도 알아 볼 것이다. 맹영광이 초상을 그리고 찬한 것이다.
雪鬢霞儀外形內德 君子觀之是無不識 右盟永光寫眞讚.
Quote-right.png
출처: 실학박물관. 『청풍김씨 김육가문 기증자료 보고서』, 실학박물관, 2014. 18쪽.[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육 초상(반신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김육 초상(반신상) 김육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김육 초상(반신상) 맹영광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육 초상(반신상) 실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김육 맹영광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김육 초상(반신상) 맹영광의 김육 초상(반신상) 찬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맹영광의 김육 초상(반신상) 찬문 맹영광 A는 B에 의해 지어졌다 A dcterms:creator B
사모 김육 초상(반신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편복 김육 초상(반신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두루마기 김육 초상(반신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644년 김육 초상(반신상)이 제작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160470 127.3006060 김육 초상(반신상)실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실학박물관. 『청풍김씨 김육가문 기증자료 보고서』, 실학박물관, 2014. 18쪽.
  2. 정은주, 「赴京使行에서 제작된 朝鮮使臣의 肖像」, 『명청사연구』 제33집, 명청사학회, 2010, 28쪽.
  3. 실학박물관. 『청풍김씨 김육가문 기증자료 보고서』, 실학박물관, 2014. 18쪽.
  4. 배한철, "'냉철한 두뇌와 뜨거운 가슴'의 소유자", 라이프, 『중앙시사매거진』online, 작성일: 2016년 10월 26일.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김육 초상", 『Google Arts & Culture』online, Google.

더 읽을거리

  1.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2. 논문
    • 정은주, 『조선시대 명청사행 관련 회화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