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DH 교육용 위키
Hufs신민정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6월 25일 (화) 23:53 판

(비교) ← 이전 판 | 최신판 (비교) | 다음 판 → (비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전두환은 대한민국 제11·12대 대통령이다.

생애

1931년 경상남도 합천에서 아버지 전상우와 어머니 김점문 사이에서 6남 4녀 중 4남으로 태어났다. 학창시절 내내 전두환의 학업 성적은 우수했지만, 가정 형편이 곤궁하였던 전두환은 대학 진학의 꿈을 접고 학비가 들지 않는 육군종합학교갑종장교 모집에 응시하여 합격했으나 형 전기환의 군 입대로 인한 부모의 반대로 입학하지 않았고, 중앙로의 병사구 사령부에 붙은 육군사관학교 생도 모집에 응시하였다. 한국군 최초의 육군사관학교 정규 4년제 모집 과정에 합격한 그는 1951년 진해의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였다.같은 해 5월 16일에 5.16 군사 쿠데타가 발생하자 그는 육군사관학교로 가서 육사 생도들의 5.16 군사 쿠데타 지지 시위를 주도해 국가재건최고회의 부의장 박정희의 총애을 받았다.
1969년 4월 14일, 전두환 중령은 육사11기 이후의 동창회인 북극성회(北極星會)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12월 1일 육군참모총장실 수석부관이 되었다. 1979년 10월 26일에 대통령 박정희가 궁정동에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에 의해 저격당하는 10.26 사건이 발생했다. 국무총리 최규하가 대통령 권한대행직으로 일시 권력을 승계했다. 이 날 전두환은 부하들에게 막강한 권한을 가진 합동수사본부의 설치 기안을 명령했다.10월 27일 새벽 비상국무회의에서 박정희 대통령 유고안이 내려졌고, 계엄사령부가 설치되자 전두환 소장은 곧 계엄사령부 예하 합동수사본부 본부장에 임명돼 박정희 대통령 피살사건의 수사 지시 명령을 받았다. 1979년 11월 중순부터, 전두환하나회 동기와 후배들을 규합하여 군사 반란을 일으킬 모의를 했다. 같은해 12월 6일 최규하는 제10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이후 혼란한 정국을 틈타 노태우, 정호용, 유학성, 황영시 등이 주도하는 비밀 군내 친목단체 하나회의 육사 11기 출신 장교들을 주축으로 하여 신군부를 형성했고, 일부 선후배 기수들을 끌어들였다. 이를 배경으로 전두환신군부12.12 군사반란을 일으키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
국군보안사령관으로 재직 중 10.26 사건으로 대통령 박정희가 암살당한 상황에서 국군보안사령관 겸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장 자격으로 10.26 사건 수사를 맡았다. 그러던 중 12.12 군사반란를 일으켜 군을 장악하였다. 이후 중장으로 진급하고 중앙정보부장 서리를 겸직하였고 5.17 내란을 통한 반란으로 헌정을 중단시킨다. 5.18 민주화운동 유혈진압 이후 전두환은 1980년 8월에 정치인, 군인, 교수, 기업인, 종교인 등으로 구성된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를 신설함과 동시에 사회악 일소를 명분으로 사회정화운동을 실시하여 정치계와 사회 저변에 대규모 탄압작전을 시작한다.
취임하자마자 연좌제를 폐지하고, 야간통행금지, 심야영업금지령을 해제했다. 이후 야간통행금지는 잠시 부활했다가 완전히 폐지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헌법개정안을 공고하였다. 정당해산령을 내려 여러 정당을 해산시킨 후 1980년 10월 27일에 국민투표를 거쳐 새 헌법을 공포하였다(7년단임 대통령제). 그리고 1981년 1월에는 새로 창당한 민주정의당에 입당하고 당 총재에 취임, 그 후 새 헌법에 따른 간접선거로 12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전두환은 취임 후 허문도가 주장하는 3S 정책을 시행했다. 스포츠(Sports), 성 개방(Sex), 영상 산업 진흥(Screen)을 3S 정책이라 불렀는데, 이는 한국, 일본에서 공통적으로 있었던 정부에 대한 불만을 돌리기 위한 정책이었다.
부천 경찰서 성고문 사건,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 등으로 정권에 대한 반발과 대통령 직선제 등 민주화 요구가 강했다. 그러나 1987년 대통령 간선제를 유지하겠다는 4.13 호헌조치를 발표하고, 간선제의 여당후보로 노태우를 내세웠다.
1987년 이한열이 최루탄을 맞아 숨지는 사건을 계기로 6월민주항쟁이 일어나자 6.29 선언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받아들였다.


관련 사건

관련 작품

참고문헌

기여

주석

  1. 전두환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