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복식 콘텐츠 제작 2020"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강좌 개요==
 
==강좌 개요==
  
* 강좌명: '''한국 복식 콘텐츠 제작'''
+
* 강좌명 : '''한국 복식 콘텐츠 제작'''
* 주 수강대상: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과 전통의상학 전공 과정 2020년 2학기 수업
+
* 주 수강대상 :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과 전통의상학 전공 과정 (2020년 2학기 수업)
 
<!--
 
<!--
* 담당강사: [http:// ]
+
* 담당강사 : [http:// ]
* 강의실:  
+
* 도메인 지원 :
* 디지털 강의실: http://dh.aks.ac.kr/Edu/wiki/index.php/한국_복식_콘텐츠_제작_2020, ftp://digerati.aks.ac.kr (User ID: student)
+
* 오프라인 강의실 : 대학원동 305
 +
* 온라인 강의실: http://dh.aks.ac.kr/Edu/wiki/index.php/한국_복식_콘텐츠_제작_2020, ftp://digerati.aks.ac.kr (User ID: student)
 
-->
 
-->
 
----
 
----
* '''디지털 정보 환경에서 우리나라 전통 복식에 관한 다양한 지식 정보를 소통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한다.'''<br/>
+
* '''디지털 정보 환경'''에서 우리나라 '''전통 복식'''에 관한 다양한 지식 정보를 소통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한다.<br/>
* '''수강생들은 이 강의를 통해 '복식(服飾)에 관한 지식'의 세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지식 요소를 조사하여 이를 범주화 하고, 각각의 범주에 속하는 자원들의 핵심적인 속성을 정의하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복식(服飾)에 관한 지식'을 디지털 세계에 옮겨 놓을 수 있는 '틀'을 구성한다.'''<br/>
+
* 수강생들은 이 강의를 통해 ''''복식(服飾)에 관한 지식'의 세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지식 요소를 조사하여 이를 '''범주화'''하고, 각각의 범주에 속하는 '''자원들의 핵심적인 속성'''을 정의하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복식(服飾)에 관한 지식'을 '''디지털 세계'''에 옮겨 놓을 수 있는 ''''틀''''을 구성한다.<br/>
* '''아울러 시대, 지역, 신분, 품계, 관직, 궁중 의례, 가정 의례, 일상 생활, 종교 등 그 시대의 복식을 설명하는 데에 필요한 다양한 지식과 개념·용어들을 복식 콘텐츠로 편찬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br/>
+
* 아울러 시대, 지역, 신분, 품계, 관직, 궁중 의례, 가정 의례, 일상 생활, 종교 등 그 시대의 복식을 설명하는 데에 필요한 다양한 '''지식과 개념·용어'''들을 복식 '''콘텐츠로 편찬'''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br/>
* '''또한 복식에 관한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파하기 위한 시각화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콘텐츠 제작에 활용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
* 또한 복식에 관한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파하기 위한 '''시각화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콘텐츠 제작에 활용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강의 일정==
 
==강의 일정==
48번째 줄: 49번째 줄:
 
==수강생==
 
==수강생==
 
<!--
 
<!--
* [[]] ○○○○학 ○사과정
+
* [[]] 전통의상학 ○사과정
 
-->
 
-->
 
==실습==
 
==실습==
63번째 줄: 64번째 줄:
  
 
----
 
----
===To-be===
+
===To-be (벤치마크)===
  
  
97번째 줄: 98번째 줄:
  
 
===데이터 시각화 (Data Visualization)===
 
===데이터 시각화 (Data Visualization)===
* [[데이터의 시각화: 네트워크 그래프]]
+
* [[데이터의 시각화 : 네트워크 그래프]]
 
* [[MakeGraph 2018|나의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방법]]
 
* [[MakeGraph 2018|나의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방법]]
 
* [[Network Graph in Wiki | 위키 문서로 네트워크 그래프를 만드는 방법]]
 
* [[Network Graph in Wiki | 위키 문서로 네트워크 그래프를 만드는 방법]]

2020년 8월 25일 (화) 03:42 판

강좌 개요

  • 강좌명 : 한국 복식 콘텐츠 제작
  • 주 수강대상 :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과 전통의상학 전공 과정 (2020년 2학기 수업)

  • 디지털 정보 환경에서 우리나라 전통 복식에 관한 다양한 지식 정보를 소통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한다.
  • 수강생들은 이 강의를 통해 '복식(服飾)에 관한 지식'의 세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지식 요소를 조사하여 이를 범주화하고, 각각의 범주에 속하는 자원들의 핵심적인 속성을 정의하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복식(服飾)에 관한 지식'을 디지털 세계에 옮겨 놓을 수 있는 '틀'을 구성한다.
  • 아울러 시대, 지역, 신분, 품계, 관직, 궁중 의례, 가정 의례, 일상 생활, 종교 등 그 시대의 복식을 설명하는 데에 필요한 다양한 지식과 개념·용어들을 복식 콘텐츠로 편찬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 또한 복식에 관한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파하기 위한 시각화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콘텐츠 제작에 활용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강의 일정

수강생

실습

Before




As-is


To-be (벤치마크)


읽을거리

기반 기술 참고자료

디지털 교실 환경 설정

온톨로지 (Ontology)

위키 (Wiki)

데이터 시각화 (Data Visualization)

전자지도 (Digital Map)

콘텐츠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