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9번째 줄: 29번째 줄:
 
==지도==
 
==지도==
 
<center>
 
<center>
<googlemap lat="33.380983" lon="126.545413" zoom="5">
+
<googlemap lat="33.380983" lon="126.545413" zoom="10">
 
</googlemap>
 
</googlemap>
 
</center>
 
</center>

2017년 6월 21일 (수) 01:25 판

국가 정보[1]

요약

이성계가 고려를 멸망시키고 건국한 나라이며 1392년부터 1910년까지 한반도를 통치하였다.

자세한 정보

1392년 즉위한 태조(太祖) 이성계에서 1910년 마지막 임금인 순종(純宗)에 이르기까지 27명의 왕이 승계하면서 518년간 지속되었다. 14세기 후반에 이르러 고려왕조는 권문세족(權門勢族)이 발호하는 가운데, 정치체제가 약화되고 왕권이 쇠퇴하였으며, 밖으로는 이민족(異民族)의 침입이 계속되는 등, 혼란을 거듭하였다. 이러한 때에 이성계는 여진족(女眞族)·홍건적(紅巾賊) ·왜구 등을 물리쳐 명성을 높이며 중앙정계에 진출, 조준(趙浚)·정도전(鄭道傳) 등의 신진사대부와 손을 잡고,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을 단행하여 구세력인 최영(崔瑩) 일파를 숙청하고, 또 전제개혁(田制改革)을 단행하여 경제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마침내 1392년 7월 16일 개성의 수창궁(壽昌宮)에서 선양(禪讓)의 형식으로 왕위에 올라 나라를 개창하니, 이를 역성혁명(易姓革命)이라고도 한다.

정치

조선의 모든 관료는 동반(東班:문관) ·서반(西班:무관)으로 구분되고, 이들 동 ·서반의 품계는 정(正) ·종(從) 각 9품으로 나누어 도합 18품계를 정하여 각 관등의 품계를 일정하게 하였다. 18품계의 관등은 다시 정책결정관인 당상관(堂上官)과 행정집행관인 당하관(堂下官)으로 나뉘며, 당하관은 다시 참상관 ·참하관으로 구분되는데, 참하관은 참외(參外)라 하여 직계가 낮은 실무자였다.

경제

조선은 고려 후기에 국가의 재정이 파탄되고 민생이 피폐하였던 경험을 살려 초기부터 국가를 부강시키고 민생을 안정시키는 방향으로 경제구조를 대폭 개편하였다. 국초부터 농본민생주의(農本民生主義)를 내세워 농업발달을 위한 여러 가지 제도와 함께 양반관료의 경제적 기반인 토지정책에 유의하였다.

사회

조선은 양반 중심의 사회였다. 양반이란, 원래 문관 벼슬을 가리키는 동반(東班)과 무관 벼슬을 가리키는 서반(西班)을 함께 부르던 말로, 관직에 있는 사람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었다. 이것이 조선에서는 벼슬한 사람만이 아니라 벼슬을 할 수 있는 신분을 지칭하는 말로 그 뜻이 변하였다. 양인에는 직업의 종류와 귀천에 따라 사(士) ·농(農) ·공(工) ·상(商)의 구별이 있었으나 왕권이 확고해지고, 관료조직이 정비되어 가면서 관료들은 지배층으로서의 사회적 지위를 굳혀 마침내 향리나 농민과 뚜렷이 구별되는 신분을 마련하였다. 하급관리 ·지방행정실무자 ·기술관 등은 별도로 중인(中人)신분을 이루었고, 농업 ·상업 ·수공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이른바 상민(常民)이 되었다. 한편, 그 밑에는 천민신분으로 노비 ·광대 ·사당 ·무당 ·창기 ·백정 등이 이에 속하였다. 특히 노비는 공공기관이나 개인에 소속되어 매매 ·증여 ·상속의 대상이 되었다.

문화

건축·서예·회화

조선의 건축은 크게 목조건축과 석조건축으로 나눌 수 있다. 목조건축은 초기에는 주심포(株心包) 양식이 우세하였으나 차차 다포(多包)집이 성행하였다. 석조건축은 석탑 ·부도(浮屠) 등이 있으나, 불교의 침체와 더불어 별다른 발전을 이루지 못하였다.

공예

조선시대 공예의 특색으로는 인공적인 면의 배격과 공간(空間) ·백색(白色)의 존중을 들 수 있으며, 이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든 공예 부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도자기도 회화와 마찬가지로 임진왜란을 계기로 전 ·후기로 나뉘어지는데, 전기는 분청사기와 백자가, 후기는 청화백자가 성행하였다.

음악

조선은 의례의 일환으로 음악을 중요시하여 국초부터 음악을 담당하는 관청으로 아악서(雅樂署)와 전악서(典樂署)를 설치하였다. 특히, 세종 때 박연(朴堧)을 비롯한 음악가들은 수십 종의 악기를 새로 만들어내거나 개량하고, 악곡과 악보를 새로 정리하여 궁중음악의 기초를 확립, 마침내 아악(雅樂)을 대성시켰다. 이 무렵 동양음악 연구에 있어 귀중한 자료인 《악학궤범(樂學軌範)》을 편찬하였으며, 그 후 《악장가사(樂章歌詞)》도 간행되었다. 궁중음악과 별도로 민간에서는 당악(唐樂) ·향악(鄕樂) 등의 속악도 발달하였고, 농악무 ·무당춤 ·승무 등의 민속무용이 유행하기도 하였다. 한편, 산대놀이라는 가면극과, 인형극인 꼭두각시놀음이 민간사회에 보급되면서 조선 후기에 걸쳐 널리 유행하였다. 산대놀이는 양주 ·통영 ·안동 등의 것이 특히 유명하다.


지도

노드&관계

노드 관계 노드
조선 ~은 ~에 위치해 있다. 한반도
조선 ~의 수도는 ~이다. 서울
조선 ~의 초대 임금은 ~이다. 이성계

기여

각주

  1. <출처> 두산백과, 조선

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Class

클래스 노드
도깨비 갓파, 구미호, 한국의 도깨비, 오니, 땅거미, 덴구, 여우, 여와, 저승사자, 삼신할매, 염라대왕(2), 걸귀, 놋페라보, 구로보즈, 로쿠로쿠비, 야차
공간 중국의 귀, 일본의 요괴, 도노, 일본(2017), 도쿄,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교토 니조카와라, 오사카 코토나미 정, 도깨비 다리, 김공 선정지비, 김성수 생가, 교토, 안동하회마을, 삼매리, 곡성, 한국, 조선
작품 꼬비꼬비, 신과 함께(2017), 요괴, 별신마을각시,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천년여우여우비, 갓파쿠와여름방학, 곡성, 괴물, 이누야샤, 도깨비, 요괴인간벰, 전설의고향, 차우, 조롱박형제, 금방망이 은방망이
문헌 《서유기》,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 김서방 도깨비, 도노 모노가타리, 무지나, 신설백물어, 증여리물어, 유빈호치 신문, 쿠마노의 민화, 금석 이야기, 비형랑 설화, 하세오조시, 구미호 이야기, 삼국유사, 금강설화, 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문콘 게임, 드라마, 영화, 웹툰, 애니영화, 애니시리즈
캐릭터 가오나시, 쿠, 여우비, 손오공, 퇴마사
시대 현대, 에도시대

Relation

관계어 노드
은 -의 등장인물이다 가오나시 →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쿠 → 갓파쿠와여름방학, 여우비 → 천년여우여우비
은 -의 캐릭터다 가오나시 → 오니, 가오나시 → 땅거미, 가오나시 -> 놋페라보, 쿠 → 갓파, 여우비 → 구미호, 손오공《서유기》
은 -지역의 요괴이다 갓파도노, 덴구일본(2017), 여우 →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구로보즈 → 도쿄, 우마왕중국, 나찰녀중국,
는 -를 만들었다. 여와인간
는 - 관련 설화이다.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한국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한국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한국의 도깨비, 구미호한국의 도깨비,도노 모노가타리덴구 , 도노 모노가타리여우, 도노 모노가타리갓파 , 금석 이야기오니 , 비형랑설화도깨비, 신과 함께(2017)한국의 도깨비,금방망이 은방망이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금석 이야기 → 헤이안 시대,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꼬비꼬비
는 -와 관련된 공간이다. 도깨비 다리한국의 도깨비, 김공 선정지비한국의 도깨비, 김성수 생가한국의 도깨비,

교토금석 이야기 , 교토하세오조시, 안동하회마을 → 별신마을각시,곡성곡성, 한강둔치 → 괴물, 삼매리 → 차우, 한국도깨비,한국곡성, 한국괴물, 한국차우,금석 이야기교토, 금강설화일본, 덴구일본

는 -에 등장한다. 오니하세오조시. 일본의 요괴하세오조시, 저승사자신과 함께(2017),저승사자요괴. 구미호전설의고향, 삼신할매전설의고향 ,염라대왕(2)전설의고향 , 걸귀전설의고향,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땅거미에도시대, 오니에도시대, 여우에도시대, 오니금강설화, 갓파현대, 입이찢어진여자현대, 도깨비꼬비꼬비
는 -에 속한다. 구미호여우, 여우일본의 요괴, 덴구일본의 요괴, 구미호 이야기삼국유사, 구미호일본의 요괴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방이설화, 도깨비드라마, 요괴인간벰드라마, 전설의고향드라마, 신의 이미지가 부여된 뱀, 인간에게 해를 주는 뱀, 인간의 배우자로서의 뱀, 덴구 다오시덴구, 덴구 와라이덴구,덴구 쓰부테덴구, 덴구 유스리덴구, 덴구 다이코덴구, 덴구 가쿠시덴구, 덴구 마쓰덴구, 덴구 노히덴구, 입이찢어진여자야마우바, 입이찢어진여자일본의 요괴, 유키 온나일본의 요괴
은 -를 소재로 했다 곡성오니, 곡성덴구, 괴물오니, 괴물갓파, 차우오니, 차우덴구, 천년여우여우비여우,천년여우여우비구미호,꼬비꼬비한국의 도깨비,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오니,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땅거미,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놋페라보,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구로보즈,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야마우바,금석 이야기일본의 요괴, 요괴인간벰오니, 도노 모노가타리일본의 요괴, 이누야샤일본의 요괴, 이누야샤야차, 조롱박형제요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