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학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21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정의'''==
 
=='''정의'''==
우리말과 글의 연구를 목적으로 조직된 단체. 현재의 한글학회의 전신 <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0002&cid=62048&categoryId=62048 네이버지식백과] 참조</ref>
+
우리말과 글의 연구를 목적으로 조직된 단체. 현재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A%B8%80_%ED%95%99%ED%9A%8C 한글학회]의 전신 <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0002&cid=62048&categoryId=62048 네이버지식백과] 참조</ref>
 
+
[[파일:조선어학회.jpg|400픽셀]]
+
  
 
=='''내용'''==
 
=='''내용'''==
 +
 +
==='''시대적 배경'''<ref>[https://blog.naver.com/kimbh0522/221444567195 네이버블로그]를 참고</ref>===
 +
 +
*1930~40 년대는 조선에 대한 일본의 탄압이 최정점에 이른 시기였다. 일본은 1929년에 경제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A%B3%B5%ED%99%A9 대공황]을 겪은 이후, 1910년대에 사용한 무단통치 방식을 1930년대부터 다시 사용하며 민족 말살정치를 시작했다.
 +
 +
*일본은 황국 신민화라는 명목으로 [https://ko.wikipedia.org/wiki/%EB%82%B4%EC%84%A0%EC%9D%BC%EC%B2%B4 내선일체]와 [https://ko.wikipedia.org/wiki/%EC%9D%BC%EC%84%A0%EB%8F%99%EC%A1%B0%EB%A1%A0 일선동조]를 강조, 조선의 민족성을 말살시키기 위해 황국 신민 서사 암송을 강요하고, 조선총독부에서는 조선어와 조선의 역사를 교육하는 것을 금지했으며,조선인들에게 [https://ko.wikipedia.org/wiki/%EC%B0%B8%EB%B0%B0 신사참배]와 [https://ko.wikipedia.org/wiki/%EC%B0%BD%EC%94%A8%EA%B0%9C%EB%AA%85 창씨개명]을 강요했다.
 +
 +
*일본은 나라의 말과 글에는 혼과 정신이 담겨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의 말과 글을 없애는 일에 가장 공을 들였다.
 +
 +
*그리하여 용기있는 학자들이 뜻을 모아 조선어학회를 설립하게 된다.
 +
 +
==='''설립'''<ref>[https://blog.naver.com/kimbh0522/221444567195 네이버블로그]를 참고</ref>===
 +
 +
*1907년 [[주시경]]과 [https://ko.wikipedia.org/wiki/%EC%A7%80%EC%84%9D%EC%98%81 지석영]의 주도로 설립된 국문연구소
 +
 +
*조선어 연구회(1921)에서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A%B8%80%EB%82%A0 가갸날] 제정(1926)
 +
 +
*마지막으로 이 두 단체를 계승한 조선어학회설립(1931)
 +
 +
 +
==='''활동'''<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8678&cid=59011&categoryId=59011 네이버 캐스트] 참고 </ref>===
 +
 +
*조선어학회는 조선 민중의 지지를 받아가며 민족어 3대 규범집(『한글 맞춤법 통일안(조선어 철자법 통일안)』(1933),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1936), 『외래어표기법 통일안』(1941)을 완성하였다. 3대 규범집은 다가올 민족국가 즉 독립국가에서 곧바로 국어 규범으로 쓸 수 있기 때문에 항일 투쟁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
 +
*조선어학회는 민족어 규범으로 된 『조선어대사전』을 기어코 출판하고자 하였다. 사전 편찬은 민족어를 영구히 유지하는 효과를 가져 오고, 더 나아가 이를 통해 민족정신을 앙양하기 때문에 항일 투쟁의 성격을 지니게 된다.
 +
 +
*조선어학회의 인사들은 우리 말글이 침략자들에 의해 말살되는 것을 보고 목숨을 걸고 항쟁하였다. 이러한 조선어학회의 사업은 일제의 조선 통치에 반하는 행위였다.
 +
 +
 +
*[[이극로]]는 조선어사전의 완성을 통해 우리말과 조선의 혼을 영구히 유지하고자 하였다. 조선어사전 편찬을 완수해 놓으면, 때가 돌아오는 날 즉 조국이 광복되는 날에 민족어를 되살릴 수 있다고 확신하였던 것이다.
 +
 +
*민족 독립의 준비 차원에서 조선어사전 편찬이 추진되었다. 이와 같은 이극로의 발언은 사전 편찬에 참여하고 있던 모든 전임위원의 인식이었다고 볼 수 있다.
 +
 +
*한징, 이극로를 포함하여 사전편찬에 관여한 사람들의 노고로 드디어 『조선어사전』의 원고가 나왔다. 우리말사전의 제목은 『조선어사전』으로 되어 있었다.
 +
 +
 +
*조선어학회는 1940년 3월 7일에 조선총독부 도서과에 조선어대사전 출판허가원을 제출하였다. 조선어대사전의 용어로 16만 어휘, 삽화 3천여 매를 완성하였다.
 +
 +
*『조선어사전』 원고는 많은 부분 일제로부터 삭제와 정정을 조건으로 1940년 3월 12일 조선총독부 도서과의 출판 허가를 받았다.
 +
 +
*일제 침략자들이 일본어로 해설하여 간행한 『조선어사전』(1920)보다 약 3배가 많은 조선어 어휘를 조선어학회의 사전편찬 위원들이 수집·주해하였다는 사실에서 조선 문화의 우월성을 민족어사전 편찬을 통해 입증하였다고 볼 수 있다.
 +
 +
 +
 +
==='''사건'''<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0002&cid=62048&categoryId=62048 네이버 지식백과-한국근현대사사전]</ref>===
 +
*조선어학회 사건
 +
42년 10월 이른바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회원 30여 명이 일제에 의해 검거, 투옥되었다. 해방 후 49년 한글학회로 다시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한글학회는 29년의 <조선어사전> 편찬사업을 이어받아 1957년 6권의 <큰사전>을 완간했다.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
 
==='''이미지'''===
 
==='''이미지'''===
 +
<gallery mode=packed hight 200px >
 +
파일:조선어학회2.jpg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8678&cid=59011&categoryId=59011 조선어 표준어 사정 위원회 제1독회 기념(1935.1.4)]
 +
파일:조선어학회4.jpg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8678&cid=59011&categoryId=59011 조선어 표준어 사정회 제2독회 기념사진 (1935.8.8)]
 +
파일:조선어학회5.jpg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8678&cid=59011&categoryId=59011 조선어 표준어 사정회 제3독회 기념사진(1936.7.3)]
 +
파일:조선어학회3.jpg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8678&cid=59011&categoryId=59011 조선어 표준어 사정위원 현충사 참배사진(1936.7.3)]
 +
파일:조선어학회6.jpg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8678&cid=59011&categoryId=59011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 <조선어학회, 1936>]
 +
파일:조선어학회7.jpg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8678&cid=59011&categoryId=59011 조선어사전]
 +
</gallery>
  
 
==='''동영상'''===
 
==='''동영상'''===
<html>
+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FIitapAm8E8"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800" height="480" src="http://digerati.aks.ac.kr/Dhlab/hufs/2019-1a/lcy/말모이영화소개영상.mp4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center>
+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Leu4J3aqNXM"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html>
▲관련영화 <말모이,2019>
+
</center>
+
==='''전자지도'''===
+
  
 +
==='''네트워크 그래프'''===
 +
 +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800" height="480" src="http://digerati.aks.ac.kr/Dhlab/hufs/2019-1a/lcy/graph/malmoe.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조선어학회가 사전을 만들기 위해 했던 노력들에 대한 영화인 말모이와 모티브가 된 조선어학회의 인물들과 단체 간의 관계를 나타낸 네트워크 그래프 입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2019년 6월 25일 (화) 01:28 기준 최신판

정의

우리말과 글의 연구를 목적으로 조직된 단체. 현재 한글학회의 전신 [1]

내용

시대적 배경[2]

  • 1930~40 년대는 조선에 대한 일본의 탄압이 최정점에 이른 시기였다. 일본은 1929년에 경제 대공황을 겪은 이후, 1910년대에 사용한 무단통치 방식을 1930년대부터 다시 사용하며 민족 말살정치를 시작했다.
  • 일본은 황국 신민화라는 명목으로 내선일체일선동조를 강조, 조선의 민족성을 말살시키기 위해 황국 신민 서사 암송을 강요하고, 조선총독부에서는 조선어와 조선의 역사를 교육하는 것을 금지했으며,조선인들에게 신사참배창씨개명을 강요했다.
  • 일본은 나라의 말과 글에는 혼과 정신이 담겨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의 말과 글을 없애는 일에 가장 공을 들였다.
  • 그리하여 용기있는 학자들이 뜻을 모아 조선어학회를 설립하게 된다.

설립[3]

  • 조선어 연구회(1921)에서 가갸날 제정(1926)
  • 마지막으로 이 두 단체를 계승한 조선어학회설립(1931)


활동[4]

  • 조선어학회는 조선 민중의 지지를 받아가며 민족어 3대 규범집(『한글 맞춤법 통일안(조선어 철자법 통일안)』(1933),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1936), 『외래어표기법 통일안』(1941)을 완성하였다. 3대 규범집은 다가올 민족국가 즉 독립국가에서 곧바로 국어 규범으로 쓸 수 있기 때문에 항일 투쟁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 조선어학회는 민족어 규범으로 된 『조선어대사전』을 기어코 출판하고자 하였다. 사전 편찬은 민족어를 영구히 유지하는 효과를 가져 오고, 더 나아가 이를 통해 민족정신을 앙양하기 때문에 항일 투쟁의 성격을 지니게 된다.
  • 조선어학회의 인사들은 우리 말글이 침략자들에 의해 말살되는 것을 보고 목숨을 걸고 항쟁하였다. 이러한 조선어학회의 사업은 일제의 조선 통치에 반하는 행위였다.


  • 이극로는 조선어사전의 완성을 통해 우리말과 조선의 혼을 영구히 유지하고자 하였다. 조선어사전 편찬을 완수해 놓으면, 때가 돌아오는 날 즉 조국이 광복되는 날에 민족어를 되살릴 수 있다고 확신하였던 것이다.
  • 민족 독립의 준비 차원에서 조선어사전 편찬이 추진되었다. 이와 같은 이극로의 발언은 사전 편찬에 참여하고 있던 모든 전임위원의 인식이었다고 볼 수 있다.
  • 한징, 이극로를 포함하여 사전편찬에 관여한 사람들의 노고로 드디어 『조선어사전』의 원고가 나왔다. 우리말사전의 제목은 『조선어사전』으로 되어 있었다.


  • 조선어학회는 1940년 3월 7일에 조선총독부 도서과에 조선어대사전 출판허가원을 제출하였다. 조선어대사전의 용어로 16만 어휘, 삽화 3천여 매를 완성하였다.
  • 『조선어사전』 원고는 많은 부분 일제로부터 삭제와 정정을 조건으로 1940년 3월 12일 조선총독부 도서과의 출판 허가를 받았다.
  • 일제 침략자들이 일본어로 해설하여 간행한 『조선어사전』(1920)보다 약 3배가 많은 조선어 어휘를 조선어학회의 사전편찬 위원들이 수집·주해하였다는 사실에서 조선 문화의 우월성을 민족어사전 편찬을 통해 입증하였다고 볼 수 있다.


사건[5]

  • 조선어학회 사건

42년 10월 이른바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회원 30여 명이 일제에 의해 검거, 투옥되었다. 해방 후 49년 한글학회로 다시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한글학회는 29년의 <조선어사전> 편찬사업을 이어받아 1957년 6권의 <큰사전>을 완간했다.

멀티미디어

이미지

동영상

네트워크 그래프

조선어학회가 사전을 만들기 위해 했던 노력들에 대한 영화인 말모이와 모티브가 된 조선어학회의 인물들과 단체 간의 관계를 나타낸 네트워크 그래프 입니다.

참고문헌

기여

주석

  1. 네이버지식백과 참조
  2. 네이버블로그를 참고
  3. 네이버블로그를 참고
  4. 네이버 캐스트 참고
  5. 네이버 지식백과-한국근현대사사전